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전국 17개 시⋅도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을 관리하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 2,160개소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여 2021년 8월 기준 기관 및 이용자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유형별 서비스 이용 현황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장애 유형에서 언어재활서비스, 미술심리재활서비스, 감각발달재활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서비스 이용자 현황은 6세 미만(12,555명/29.1%)에서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연령대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셋째, 지역 및 서비스 영역별 평균 단가 현황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 단가는 41,610원이었으며,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등)이 대체로 단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서비스 영역별로는 감각발달재활서비스, 놀이심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서비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역별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은 경기, 서울, 경남, 부산, 경북 순으로 많이 운영을 하고 있었으며, 제공인력은 경기, 서울, 부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대기자 수는 서울, 경기, 인천, 전남 순으로 대기자 수가 많았으며, 평균 대기기간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순으로 길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특성, 서비스 단가, 제공 인력 활용 측면에서 발달재활서비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찬반 논쟁과 성공적인 통합교육 : The pros and cons of inclusive education for deaf students and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an analysis of FGI content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의 FGI 내용분석 이학준, 권순우, 정병종 p. 1-28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문헌연구 =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황미정, 김유리, 박윤희 p. 29-57

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제한점 :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metaverse educational use in the educational field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점으로 이미경, 이학준, 권욱동 p. 59-9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장애인 돌봄 연구의 동향 = Text mini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are for disabled people 김정석, 곽정란, 김미선, 박세경 p. 91-122

미국의 장애학생 대상 합리적 편의 제공 관련 법제 고찰 = A study on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provision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K-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옥민욱, 홍정숙, 표윤희 p. 123-152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parenting stress, and the mental health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go, family, and community resiliencies / 자아탄력성, 가족탄력성, 지역사회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숙, 박재연 p. 153-176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이용 실태조사 연구 = The current use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김동일, 박준영, 이주영, 김민하 p. 177-193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sher, S. R., & Gazelle, H. (1999). Loneliness, peer relations, and language disorder in childhood.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9, 16-33. 미소장
2 Ju, O. I. (2020).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ffect of Parents' Servic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 382-393. [주옥인. (2020). 장애 아동의 발달재활서비스가 부모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382-393.] 미소장
3 Kang, J. B., & Cho, J. M. (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2), 91-116. [강정배, 조정민 (2014). 발달재활서비스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2), 91-116.] 미소장
4 Kang, M. H., Kim, J. H., Park, J. H.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Disabled Children. Seou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강민희, 김지혜, 박지혜(2011). 장애아동 재활치료 이용의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미소장
5 Kim, J. H., Park, J. Y., Cho, Y. K., Sim, C. H., & Lee, U. J. (2013). A Study on the Quality Manage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Program(11-1352000- 001057-01). Seou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김정희, 박주영, 조윤경, 심창호, 이의정 (2013). 발달재활서비스 질 관리 방안 연구 (11-1352000- 001057-01).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미소장
6 Kim, J. H., Kim, K. R., & Kang, J. B. (2015). A Study on Supporting Status and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1(2), 251-281. [김정희, 김경란, 강정배 (2015). 장애아동 재활서비스 지원 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251-281.] 미소장
7 Kim, J. H., Cho, Y. K., Park, J. Y., Lee, E. J. (2014).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Based on Service and Personnel of Service Providing Center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1), 1-23. [김정희, 조윤경, 박주영, & 이의정. (2014).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의 서비스 및 인력 현황과 개선방안. 발달장애연구, 18(1), 1-23.] 미소장
8 Kim, S. J. (2008). Present Status and Desir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Voucher Program for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13(4), 691-706. [김수진 (2008). 치료지원 바우처사업 대상아동의 장애유형과 연령에 따른 재활치료 실태 및 부모욕구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13(4), 691-706.] 미소장
9 Kim, S. Y., & Bae, H. A. (2013). The disabled child support policy in consider of health and medical law system -Focusing o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13(4), 1723–1753. [김소연, 배현아 (2013).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법과정책연구, 13(4), 1723-1753.] 미소장
10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21). A Study Proposal on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oul: Author. [한국장애인개발원 (2021).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 효과성 및 개선방안 연구 제안서.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미소장
11 Korea Disabled Welfare Center Association (2017).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Seoul: Author.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2017). 발달재활서비스 운영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미소장
12 Lee, M. J., Lee, K. J., & An, H. K.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Treatment Proje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inimum operating standards of service providers.(10-24). Seou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이미정, 이경준, 안효금 (2010).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 개선방안 연구: 서비스 제공기관의 최저운영기준을 중심으로(연구 10-24).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미소장
13 Ministy of Health and Welfare. (2021). 2021 Guide to the Family Support Proje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es. Sejong: Author. [보건복지부 (2021). 2021년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14 Moon, J. W. (2015). Improvement Dire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1), 1-23. [문장원 (2015). 발달재활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발달장애연구, 19(1), 1-23.] 미소장
15 Oh, H. K., Yang, S. M., & Chun, H. Y.(2009). Survey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Us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오혜경, 양숙미, 전혜연 (2009). 장애아동 재활치료 이용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16 Park, H. R., Bae, I. H., & Lee, Y. H. (2019).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ediatric Medical Personnel on Speech-Language Disorders and Rehabilitatio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8(4), 155-161. [박화란, 배인호, 이용환 (2019). 언어장애와 언어재활에 대한 소아청소년과 의료인의 인식과 이해. 언어치료연구, 28(4), 155-161.] 미소장
17 Seo, D. M. & Min, S. H. (2010).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12, 79-93. [서동명, 민선화 (2010).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12, 79-93.] 미소장
18 Shin, M. H, Seo, E. H, Song, S. J., Kim, E. K., Won, Y. S., Rho, W. K., Kim, J. M., Kang, S. Y., Lim, H. Y. (2017).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신명희, 서은희, 송수지, 김은경, 원영실, 노원경, 김정민, 강소연, 임호용 (2017).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19 Yang, I. M. (2020). Qualit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Quality Factors for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6(4), 89-116.] [양일모. (2020). 발달재활서비스 품질요인 규명에 관한 질적 연구. 정서· 행동장애연구, 36(4), 89-116.] 미소장
20 Yang, S. M., Oh, H. K., & Chun, D. I. (2010). The influence of the effectiveness, process and environment of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on the service satisfactio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12, 1-14. [양숙미, 오혜경, 전동일 (2010). 장애아동 재활치료 서비스의 치료과정과 환경, 치료효과가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12, 1-14.] 미소장
21 Yoon, J. E., Lee, J. Y. (2019). Implications for the US Medicaid Role Expansion for People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9, 59-67. [윤지은, & 이진용. (2019). 자폐성장애인을 위한 미국 메디케이드의 역할 확대와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9, 59-67.] 미소장
22 Whitehouse, A. J., Watt, H. J., Line, E. A., & Bishop, D. V. (2009). Adult psychosocial outcom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nd autism.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4(4), 511-5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