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중국 명대 홍무제에 의해 반포된 ‘육유’ 6조목의 가르침은 명대 초기의 전란 등으로 혼란한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향약의 鄕治思想과 함께 유교의 실천 도덕 사상이 되었다. 그 후 청대에 ‘육유’에 해설을 붙인 서적인 『六諭衍義』가 정치사회에 수용된 후 琉球와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전역에 널리 수용되었다. 즉 중국에서 유구, 유구에서 사츠마, 그리고 사츠마에서 일본 본토에 정착된 『육유연의』는 도쿠가와 막부의 臣民 교화 수단으로 변용되었다.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민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和解本 『六諭衍義大意』를 발간하게 하고, 이를 민중들에게 교육시켜 도리를 깨닫게 하였다. 그래서 서민 내부에서는 상호부조의 풍습을 양성시키는 한편, 외부의 힘으로 정부 정책에 순종시킬 목적이 있었다. 요시무네의 이러한 교육 장려에는 사회 질서유지와 교화의 도덕 교육서로 일본화시킨 『육유연의대의』 보급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한 ‘강제교육론’이라는 과정이 있다. 그러한 결과의 단서로 『육유연의』에는 양심과 도리를 중심으로 한 상호부조나 공정성이 강조되었다. 그런데 『육유연의대의』에서는 상하 주종 관계의 신분에 따라 각자의 직분에 충실해야 하는 도덕교육이 보다 강조되었다.

『육유연의』가 중국 이외의 유구 왕국과 에도막부의 무가 정권에 주목된 것은 중국어 학습과 서민의 도덕교육에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구의 정순칙은 초기 중국어 학습에 목적을 두었지만, 이후 서민 도덕서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에도시대의 오규 소라이는 주로 어학 서적으로서의 의미만 인정하려고 하였다. 거기에 반해 도쿠가와 요시무네와 무로 큐소는 『육유연의』와 『육유연의대의』에 막부 통치에 순응하는 백성을 양성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권선 사상 이해에 중요한 요소가 있는 『육유연의』의 일본 전파와 수용을 중심으로 한 도덕교육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麗末鮮初 문인들의 邵雍 漢詩 수용과 이해 =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Shao Yong's poems in the period of Yeomal-Suncho 류화정 p. 7-32

澤堂 李植의 喪·祭禮 儀節 硏究 = A study on Taekdang Yi Sik's funeral and ancestral rite procedures 정길연 p. 33-63

조선후기 한 지방 士族의 세상 읽기 : Reading the world of a young 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 the teenage experience revealed in his diary Hawailok and the process of Confucian socialization / 『河窩日錄』에 나타난 10代의 경험과 성장 과정 김종석 p. 95-123

儒敎的 宗敎性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Confucian religion : focusing on Sungkyunkwan and Sungkyunkwan rite / 成均館과 成均館 儀禮를 중심으로 김성실 p. 125-157

긍정심리학과 유교적 행복·덕윤리와의 통섭 = Consolid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y and Confucian happiness and virtue ethics 최용성, 성지은 p. 159-186

姜澹雲의 「金陵雜詩」에 묘사된 김해 = Gimhae depicted in Kang Dam-un's 「Geumreung Japsi」 이성혜 p. 187-219

지성과 직관에 대한 고찰 : The study on intelligence and intuition : focusing on Henri Bergson and Wang, Yang-Ming / 베르그손과 왕양명을 중심으로 양선진 p. 221-249

마테오 리치의 우주론과 심성론 고찰 : A study on Matteo Ricci's cosmology and mindfulness : focusing on the Cheonjusileui / 『천주실의』를 중심으로 안유경 p. 251-279

일본의 『육유연의』 수용과 도덕교육 = Acceptance and moral education of 『Rikiyuengi』 in Japan 성해준 p. 281-308

오키나와 시오야만 운가미의 의례 구조와 특징 =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Okinawa's Shioya Ungami 이현숙 p. 309-337

壬午禍變을 목격한 史官들의 일기 = Diaries of officers who witnessed Im-Oh-Hwa-Byun : 자료의 현황과 진위 검토를 중심으로 김명재 p. 65-93

『唐話纂要』に見られる岡島冠山の善悪観 = Okajima Kanzan's view of good and evil as seen in Towasanyo. 2, 第六巻の和漢奇談を中心に 耿蘭 p. 339-376

退溪詩作中呈現的中華印象考 = A study on the impression of China presented in the poems of Toegye 李燕 p. 377-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