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이문열로 하여금 민비에 대한 새로운 해석-‘조선의 잔 다르크’-을 시도케 한 정념(passion)이 무엇이며, 그것이 그의 유교적 복고주의 사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망국사를 소재로 한 이문열의 다른 작품군과 마찬가지로, 『여우사냥』 역시 조선이 망국에 이른 원인을 오로지 ‘일제의 침탈’에서 찾으려 하며, 일제에 저항한 민비는 조선을 지키려 한 애국적 지도자로 그려진다. 그러나 정작 이문열 자신은 이 작품에 대해 거듭 확신 없는 태도를 보여왔다는 점에 착목하여, 본 연구는 이문열의 내적 갈등이 『여우사냥』이 빚어낸 ‘명성황후’ 캐릭터의 허구성과 역사적 진실에 배치되는 반리얼리즘, 노골적인 반일 프레임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조상숭배와 혈통주의를 중시하는 유교적 복고주의에 바탕하고 있어, 그가 중시하는 문학의 리얼리즘에서는 ‘확신’할 수 없으나, 종교적 신념으로는 ‘긍정’할 수밖에 없는 내용임을 밝혔다. 또한, 이 작품을 계기로 활발해진 우리 사회의 ‘명성황후 붐’에 대해서도 지적인 성찰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delve into the cause of Munyol Yi’s literary passion to interpret the Queen Min as ‘Joan of Arc of Joseon’, and reveal its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Confucian revivalism. The writer, without exception, tries to attribute the cause of the fall of Joseon to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invasion of Joseon. Therefore, the Queen Min, who ardently resisted Japan, is described as an patriotic leader of the nation. Yi, however, does not seem to have conviction in this idea, for this interpretation comes out of anti-realistic and anti-Japanese frame that contradict to some historical facts. As this work comes from Yi’s Confucian revivalism indivisible from the faith in bloodline and ancestral worship, it has to be approved of by him for his religious faith, although it lacks in reality. This may require intellectual reflection on this popular, yet fictitious image of ‘the Empress Mi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대학의 강의 모니터링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s teaching monitoring program : investigation of teaching improvement support plans in the post-COVID-19 era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업 개선 지원 방안 탐색 한재범, 김효정, 신윤호 p. 2209-2222

가족주의 관점으로 본 방탄소년단 현상 연구 = A study on BTS phenomenon based on familism perspective 홍송희 p. 2223-2235

긍정심리학의 행복구조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적용 : Christian counseling related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n the structure of happiness of positive psychology : concentrated on studies by Seligman and Ben-Shahar / Seligman과 Ben-Shahar를 중심으로 고윤숙 p. 2237-2250

귀환재러한인들의 침치료 경험과 의료의 초국적 실천 = Acupuncture treatment experiences of ethnic Korean return migrants from Russia and transnational practice of medicine 구본규 p. 2251-2265

여대생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 on premenstrual syndrom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금정윤, 이성희 p. 2267-2282

'들다[入]' 어휘 의미의 통시적 고찰 = A diachronic study on the meaning of the word 'deulda[入]' 김민채 p. 2283-2297

신화 속 영웅을 통해 본 스포츠영웅의 조건 : The condition of a sports hero seen through a mythical hero : analysis of Odysseus and Lee Seungyeop / 오디세우스와 이승엽을 중심으로 김성태, 문혜은 p. 2299-2314

감정과 관련된 문법소의 기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s of grammartical[실은 grammatical] elements related to emotions 문병열 p. 2315-2329

장수 빵 가게 서울 태극당의 장수경영전략 연구 = A study on longevity management strategy of Seoul Taegeukdang long-lived bread shop 문승렬 p. 2331-2346

음양을 활용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 : A teaching method of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through the sound of Yin-Yang : focus on a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다문화 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신지원 p. 2347-2361

한국 영화에 표출된 문화적 정체성과 영상 번역 : Cultural identity of the father figure in Korean films and AVT / 아버지 표상을 중심으로 이주은 p. 2363-2378

대학 교양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cent research in flipped learning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임희주 p. 2379-2388

코로나19 시대의 의료기관 종사자의 불안 및 우울 관련요인 = The relating fa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 workers during COVID-19 era 정연자, 최성우 p. 2389-2404

유전자 편집기술의 정치·윤리적 규제와 아렌트의 '이해의 공적 담론' = Political and ethical regulation of gene editing technology and Arendt's 'public discourse of understanding' 천명주 p. 2405-2418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발달기대 수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on their children's value and development expectation levels 김미경, 리우즈양, 홍경선 p. 2419-2434

증강현실을 활용한 고위험 산욕 간호교육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에 주는 효과 = Effects of AR on academic success, self 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education on high risk puerperium nursing 김수미, 박순희 p. 2435-2450

양림동의 선교활동과 사회복지적 함의 = Missionary activities of Yangrimdong an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김진희 p. 2451-2462

청소년소설 서사를 활용한 청소년인문학 프로그램 연구 = A study on adolescent humanities program using adolescent novel narrative 박경희 p. 2463-2478

가정폭력맥락에서의 빚과 빚짐에 대한 시론적 연구 = An introductory study on debt and indebtedness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박언주 p. 2479-2492

교차조사토론(CEDA)이 학습자의 사고 확장에 미치는 효과 = The influence of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CEDA) on learners' expansion of mind 박영식, 박은하 p. 2493-2506

사회권 보장을 위한 최저임금제 연구 = A study on the minimum wage for social rights protection 정재철, 정신정, 오현희, 류선영, 강동근 p. 2507-2516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에 대한 결과기대가 운동열정과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 taekwondo athlete's expectations of performance on their enthusiasm for athletics and self-management 진천수, 김근국 p. 2517-2532

유아변인과 양육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s variables and parenting variables on child's social-competence 최유경 p. 2533-2547

유아평가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놀이 문해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y literac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assessment process 김은정 p. 2549-2563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eds on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 comparison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 초·중·고 비교 문유정 p. 2565-2580

이문열 『여우사냥』의 유교적 복고주의와 '반일' 프레임 = The Confucian revivalism and its anti-Japanese frame presented at Munyol Yi's play Fox Hunting 박선영 p. 2581-2596

의과대학생의 직업흥미와 성격유형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interest and personality type of medical students : focu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and big 5 / 홀랜드 직업흥미와 Big 5를 중심으로 김유라, 박원균, 박혜진 p. 2597-2607

대학생의 리더십코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code and self-efficacy 손주영 p. 2609-2622

감염병 우려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요소와 요구사항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anxiety factors and requirements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fears of infectious diseases 신남주 p. 2623-2636

어린이박물관 온라인 유아역사교육 현황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at the children's museum 이경하, 박세진 p. 2637-2651

구어 담화에 나타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종결기능 연결어미 사용 연구 = A study on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in spoken discourse of advanced Korean learners 정진현 p. 2653-2662

원조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aid effectiveness of aid volum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 / 정부지출의 매개변인효과를 중심으로 조문영 p. 2663-2677

대학 무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및 자기관리행동이 운동지속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behavior on their exercise adherence 조철규, 신민철 p. 2679-2688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major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of first-degree relatives / 성별, 전공 및 직계가족 창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우성, 김배근, 공윤엽 p. 2689-2704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문법적 말하기 오류 분석 연구 = The study of the analysis of grammatical speaking errors of beginners in Korean of Vietnamese 김현우 p. 2705-2715

농업인의 자가 신장운동이 통증 및 신체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farmers' self-stretching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pains and physical functions 백현희 p. 2717-2726

한국어 연결어미 ‘-려고’의 의미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a Korean connective ending, '-ryeogo' 송대헌 p. 2727-2740

간호대학생의 생리학 수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hysiology class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이영숙 p. 2741-2756

김정은 집권 10년간 북한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Korean People's Army during the decade of Kim Jong-Un's regime 이영철 p. 2757-2770

사회적경제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요인과 전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nd prospects for activation in social economy ecosystem 배영자, 엄태영 p. 2771-2782

K-POP의 유튜브 활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YouTube by K-POP 사기이, 장용재 p. 2783-279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xiety, coping with anxiety, and self-confidence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stume acting = 의상연기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불안대처, 자신감 간의 관계 Qing Zhao, Xin Xu, Heung Kou, Sukyoung Cho p. 2795-2804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설계 : Intelligent system desig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 evaluation : focus on colleg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홍광표 p. 2805-2818

특수대학원 비대면 강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적용과 몰입, 지속수강의도 간 관계 = A relationship between the ETAM of non-face-to-face lecture education service quality at special graduate schools, flow, and continuing course intention 김재금 p. 2819-2833

김연수 소설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using Kim Yeon-soo's novel : focus on New York Bakery / 「뉴욕제과점」을 중심으로 김인경 p. 2835-2844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의 경세시(經世詩) 일고(一考) = Consideration over Geumdae (錦帶) Lee Ga-hwan (李家煥)'s Gyeongsesi (經世詩) 명평자 p. 2845-2859

다큐멘터리 영화 <이바라키의 여름> 속의 재일코리안 표상 = Representation of Zainichi Koreans in the documentary film Summer of Ibaraki 정성희 p. 2861-2870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ocial welfare major cours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 지역사회 연계 사회복지전공 교과목 적용 및 분석 Woohong Cho p. 2871-2880

COVID-19 이후,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및 요구 =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difficulties and needs on the use of digital media after COVID-19 이은영 p. 2881-2896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동식(2021), “제의와 역사 -소설집 <아우와의 만남>에 관한 몇 가지의 주석”, 『아우와의만남』(이문열), 377-392,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미소장
2 나홍주(1987), 『오-명성황후!수탉이 울지 못하면 암탉이라도』, 서울: 아성출판사. 미소장
3 나홍주(1990), 『민비암살(⾓⽥房⼦著) 비판』, 서울: 미래문화사. 미소장
4 박돈규(2021), “이문열 “요즘 시국? 난 희망을 봤다””, 『조선일보』(1월 9일). 미소장
5 배상열(2017), 『(조선을 홀린 무당)진령군』, 서울: 청림. 미소장
6 윤치호(1895), “국역 윤치호 영문일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 3집』, . 미소장
7 이경재(2021), “민족이라는 아버지와의 만남 -이문열의 초기 소설에 잠재된 어떤 가능성”,『타오르는 추억』(이문열),382-400, 서울: 알에이치케이코리아. 미소장
8 이남호(1994), 『이문열 문학앨범』, 서울: 웅진출판. 미소장
9 이문열(1984), “장려(壯麗)했느니, 우리 그 낙일(落⽇)”,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25-53,서울: 문이당. 미소장
10 이문열(2021), “아우와의 만남”, 『이문열 중단편전집 5 아우와의 만남』, 174-176, 서울:알에이치코리아. 미소장
11 이문열(1995), 『여우사냥』, 서울: 살림. 미소장
12 이문열(2004), “역사와 관점”, 『신들메를 고쳐매며』, 157-166, 서울: 문이당. 미소장
13 황현 저, 이장희 옮김(2008), 『매천야록』 上, 서울: 명문당. 미소장
14 황현 저, 김종익 옮김(2016), 『오하기문』,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15 ⾓⽥房⼦(1988), 『閔妃暗殺』, 東京: 新潮⽂庫. 미소장
16 ON多COM(2022), “영상다큐 꿈꾸는 사람들의 바이오그래피 이문열 part 1”,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