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내가 희망하는 예술정책과 창작환경 박정의 p. 5-9
클래식은 올드가 아니야, 기준이지! : <불가불가> 배선애 p. 11-17
<불가불가> [토론] 사회: 엄현희 ; 지정발제: 배선애 ; [토론]: 권서의, 김유빈, 김재선, 박예림, 박한철, 배선애, 백승무, 신윤아, 오판진, 윤서현, 엄현희, 이진주, 이철희, 이태린 ; 정리: 박한철 p. 18-28
SF와 배리어 프리의 부/조화 : <순교> 전지니 p. 29-35
<순교> [토론] 사회: 엄현희 ; 지정발제: 전지니 ; [토론]: 권서의, 박예림, 변영미, 배선애, 엄현희, 오판진, 우수진, 윤서현, 이수현, 이홍도, 전인철 ; 정리: 이수현 p. 36-55
낯선 리얼에 가닿기 위한, 연극과 삶의 존재론적 실천방식 : <기후비상사태: 리허설> 남지수 p. 56-60
<기후비상사태: 리허설> [토론] 사회: 엄현희 ; 지정발제: 남지수 ; [토론]: 권서의, 김재선, 박지선, 박한철, 백승무, 신윤아, 엄현희, 오판진, 우수진, 윤서현 [외] ; 정리: 박한철 p. 61-75
소설 『아몬드』에서 뮤지컬 <아몬드>, 연극 <아몬드>까지 : 매체 변화에 따른 시점과 갈등 분석 엄현희 p. 77-83
『공연과이론』 발행과 드라마투르그 사업 [좌담] 사회: 배선애, 윤서현 ; [좌담]: 이혜경, 임혜경, 이은경, 김영균 ; 정리: 권서의 p. 85-95
고립과 연대, 안식처로서의 '집'을 마주하다 : <마주 보는 집>, <H>, <가로묘지주식회사> 이성곤 p. 96-100
존재의 가치와 소통의 의미를 묻는 다양한 질문들 : <나의 우주에게; Dear My Universe>, <자정의 달방>, <뉴 트롤리 딜레마> 배선애 p. 101-106
'집'으로 상징되는 현실인식 : <집주인>, <집으로 가는 길>, <발걸음 소리> 이은경 p. 107-115
다섯 개의 키워드로 동시대를 읽어내다 이성곤 p. 116-123
부조리한 국가와 개인의 희생 : <공포가 시작된다>, <타자기 치는 남자> 이은경 p. 124-133
다른 화법, 같은 전언 : 창작집단LAS <우투리: 가공할만한>, 드림플레이 테제21 <자본 2> 이인순 p. 134-139
'인간답게' 그리고 '연극답게'의 양면성 : 창작조직 성찬파 <반쪼가리 자작>, 극단 파수꾼 <7분> 이유라 p. 140-146
옛이야기를 지금 여기에 : 극단 모시는 사람들 <심청전을 짓다>, 극단 여행자 <베로나의 두 신사> 김소연 p. 147-154
혈연에 대한 재구와 단막이라는 형식 : 극단 프로젝트그룹 연희공방 <낯선 얼굴로 오는가>, 공연예술제작소 비상 <성난 파도 속에 앉아 있는 너에게> 전지니 p. 155-159
1970년대 번역희곡과 번역극의 지형도 홍창수 p. 161-172
햄릿과 광증의 멀티버스 임승태 p. 173-182
박본 안의 많은 것 : 작가 박본과의 만남 진행·정리: 윤서현 ; 통역: 정채영 p. 184-194
'이야기'주의자 김도영, 쓰고 말하다 : 작가 김도영과의 만남 [인터뷰] 김도영 [인터뷰이] ; 변영미 [취재] p. 195-207
순간순간을 단단하게 채우는 배우, 윤현길 : 배우 윤현길과의 만남 신윤아 p. 208-216
이상한 디자이너가 만드는 신기한 무대 영상의 세계 : 영상감독 윤민철과의 만남 이유라 p. 217-231
무대 위 캐릭터와 공명하는 의상의 힘 : 의상디자이너 박현주와의 만남 전지니 p. 232-243
한국 여성 마임가의 단편 마임 컬렉션 <만화경> 오판진 p. 270-275
기후위기를 호소하기 위해 연극이 할 수 있는 최선이란 : 기후비상사태: 리허설 김유빈 p. 276-280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과 연작의 묘미 : 트랙터 박미란 p. 281-288
셰익스피어를 삼킨 여우(女優)들 : 베로나의 두 신사 이진주 p. 289-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