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포츠인권교육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how to improve human rights education in sport 박성주 p. 1-12
스포츠시설 이용 고객의 확장 마케팅믹스 요인과 소비행동 : Extended marketing mix factors and consumption behavior in sports facility customers : focused on lifesty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 뉴실버세대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김형우, 이승만, 김태형 p. 13-26
노인의 몸짓언어 관점에서 본 스포츠의 일면 = Aspects of sports from the point of view of body language in the elderly 백소하, 이경숙 p. 27-39
코로나-19 전후 올림픽대회 육상 상위선수들의 종목별 기록과 체격 비교 = Comparison of the record and physique of the top athletes in the athletics events at the olympic games before and after Covid-19 성봉주, 고병구, 송욱, 서지원 p. 41-52
해양스포츠 관광지의 사회적 책임인식에 따른 관광지동일시 및 환경책임행동의 구조적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ness of tourist-destination identification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ility behaviors according to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of marine sports tourist 송정명 p. 53-66
남자 중학생들의 이동능력 특성과 학생건강체력 요인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between locomo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factors i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최상협, 손민지, 전진홍, 양혜경, 이용호 p. 67-79
스포츠와 공간 : Sport and space : transition of new sport actor from disciplinary society to management society / 규율적 공간에서 관리적 공간으로의 이행과 새로운 스포츠 행위자의 탄생 진현주 p. 81-90
코로나19이후 MZ세대는 왜 골프에 열광하게 되었는가? = Why did the MZ generation become enthusiastic about after COVID-19? 유은혜, 이철원, 이민석 p. 91-102
'체화된 의식의 지향성'에 근거한 운동 체험의 본질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연구 = Research for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lived experience of exercise on the basis of the ‘intentionality of embodied consciousness’ 이영국 p. 103-116
빅데이터 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포츠 O2O 앱 서비스 사용자의 리뷰 분석 = An analysis of user reviews on sports O2O app service using big data and text network analysis 김태중, 김미혜 p. 117-131
유소년 수영 참여자의 스트레치코드 및 스윔패들을 이용한 근력훈련이 자유형 기록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and and water based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freestyle record and efficiency among youth age group swimmers 황경주, 김정훈 p. 133-145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전통무용 미디어 담론 분석 = The analysis of trends in media discours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using big data 조하나 p. 147-15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골프레슨 인식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golf lesson perception using big data analysis : based on COVID-19 / 코로나19를 기준으로 이현우, 이정은 p. 161-175
배드민턴클럽 지도자의 핵심역량 상대적 중요도 = Relativ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of badminton club leader 류민아 p. 177-187
청소년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참여만족, 긍정적 감정, 운동지속 및 추천의사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youth gol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exercise adherence, and recommendation 정지영, 정승훈 p. 189-209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변화 탐색 = Exploring health-related life changes in the elderly under the COVID-19 pandemic : 지난 2년간의 경험 예운, 김경오 p. 211-227
광복 이후 한국탁구의 재건 과정 = Re-construction process of Korean table tennis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최흥희, 김재우 p. 229-241
그룹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혈중 호르몬 농도 및 심혈관질환 관련 혈액 변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oup exercise on serum hormone levels and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blood components in menopausal women 김다애, 김은숙, 김도현, 윤성진 p. 243-256
생활체육 태권도 수강자의 지각된 교육서비스 품질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leisure satisfaction of taekwondo learners :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 학습전이의 매개효과 민병석 p. 257-271
재무비율 및 종합지수분석을 통한 국내 프로야구단 경영성과 분석 = A study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using analyzing financial ratio and composite index 장주화, 김일광 p. 273-288
스쿠버다이버의 여가만족이 여가비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leisure costs of scuba divers 김지은, 이영준, 오세이 p. 289-302
절단장애인의 일상생활 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f rehabilitative exercise interventions to improve daily functions of individuals with amputation 이후경, 김정자, 민은기, 진주연 p. 303-321
스포츠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범국가적 대응조직의 성과와 과제.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a 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sport : a case of the ‘special investigation task force on human rights in sports’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 1, 국가인권위원회 ‘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의 진단과 정책을 중심으로 김현수, 홍덕기 p. 323-342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정보 속성이 시청태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formation attributes of YouTube home training broadcasting contents on an attitude toward watching and intention to watch : using ELM and TRA / 정교화가능성 모델과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양영민, 김동규, 한진욱 p. 343-357
프로야구 뉴미디어 사업자의 콘텐츠 특성과 태도 및 관람의도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baseball new media company, attitudes, and visit intentions : focus on MZ generation / MZ세대를 대상으로 김동규, 한진욱 p. 359-371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 활동 안전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fety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using big data 김선희, 김범, 서일한 p. 373-383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초등학생 표적도전 양궁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 사례분석 = Case analysis application of target challenge archery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기보배, 김현우 p. 385-403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사용한 베이비 붐 세대 테니스 참여자들의 지각된 가치 분석 = Analysis on the perceived value for baby boomer tennis participants by using the extended model of goal directed behavior 정대조, 이철원, 김민정 p. 405-416
여가공간에서 고객충성도를 결정하는 물리적 환경, 가격인식 및 고객 만족의 역할 = The role of physical environment, price percep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determining customer loyalty in the leisure space 한지훈 p. 417-427
아이스하키 선수의 지각된 압박, 완벽주의 성향과 번아웃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ressure, perfectionism and burnout among ice hockey players 서영준, 김매이 p. 429-445
대학생의 목표 내용이 심리적 욕구, 동기와 행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goal content on psychological needs, motiv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장해민, 송용관 p. 447-461
Golf 다운스윙 시 신체 중심과 자세 변화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changes in body center and posture during golf downswing : PGA golfers / PGA 골퍼 장재관, 류재균 p. 463-473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동훈, 심성섭(2009). 여성의 벨리댄스 참여정도가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 (3), 121-130. 미소장
2 강상훈(2020). 여가시간과 여가공간의 만족이 여가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2 (9), 135-150. 미소장
3 강상훈, 권영현(2021). 여가활동만족도에서 여가시간, 여가비용과 거주지의 영향: 2018 대구사회 조사 사례. 호텔관광연구, 23 (1), 50-59. 미소장
4 강현욱, 전태준(2012). 대학 운동선수의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 (3), 36-48. 미소장
5 국토해양부(2010). 해양관광⋅레저 활성화 방안마련. 국토해양부 해양정책과. 미소장
6 김경희(2010). 축제 서비스품질이 축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7 김기진(2001). 스쿠버다이빙시 잠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비교. 한국생활환경학회지, 8 (3), 256-262. 미소장
8 김지흔, 정민주(2017). 골프장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삶의 질과의 영향관계 연구 -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 유통경영학회지, 20 (2), 76-85. 미소장
9 김태환, 황선환(2020). 진지한 여가 비용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9 (6), 403-419. 미소장
10 김홍설, 김태환, 황선환. (2018). 진지한 여가 수준에 따른 진지한 여가 비용의 하위요인 차이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281-290. 미소장
11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5), 1-33. 미소장
12 남을순(2018). 자원봉사자의 여가비용이 여가제약협상에 미치는 영향. 여가관광연구, 30, 1-19. 미소장
13 문병민, 김영수, 김진국(2011). 스크린 골프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 경험과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4), 31-39. 미소장
14 문화관광부(2006). 여가백서. 문화관광부 미소장
15 민경선(2016).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만족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16 민병민, 류호상(2016). 스쿠버다이빙 활동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웰빙. 코칭능력개발지, 18 (4),3-12. 미소장
17 박명국, 윤영선(2005). 레크리에이션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의 마케팅믹스 요인이 충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95-107. 미소장
18 박세영(2011).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 (2), 331-353. 미소장
19 박인혜(2011). 야구동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목표성향, 재미요인,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3), 105-115. 미소장
20 백선경, 박주영(2010). 여성 필라테스 참가자의 운동욕구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2 (2), 429-446. 미소장
21 백혜경, 남사웅(2005). 스쿠버 다이빙 활동 참여정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1, 61-72. 미소장
22 서헌(2017). 여가의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주요개념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 (8), 367-377. 미소장
23 송지준(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 21세기사. 미소장
24 신명수, 오경아, 박성준(2019).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 (4), 1327-1337. 미소장
25 심민보(2013). 체험의 유형과 관여도가 해양레저 스포츠 체험 후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6 오서진, 함석종(2018). 여가 동반자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여가 만족도.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4 (2), 77-92. 미소장
27 오세이, 전태준, 박상일(2011). 아이스하키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4), 55-65. 미소장
28 유동균(2014). 해양레저스포츠의 참여동기, 선택속성, 만족도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9 유동균, 정수봉, 최승국(2020). 스킨스쿠버 이용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 (1), 345-356. 미소장
30 유현순, 하수영(2007). 인문,사회과학편 : 해양레저스포츠 서비스품질 마케팅믹스(4P’s) 요인이 참여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상스키와 스쿠버다이빙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6 (1), 485-494. 미소장
31 이계석, 최성범, 한태용(2014).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 (2), 423-431. 미소장
32 이광식, 구정철(2001). 스킨스쿠버 다이빙 시 하강중 발생하는 인체의 압력손상. 운동과학, 10 (2), 199-208. 미소장
33 이문진, 황선환. (2014).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참가자의 여가만족과 운동중독, 배우자의 가족기능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 (3), 29-40. 미소장
34 이민석, 강희엽, 이철원(2017).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 (1), 503-515. 미소장
35 이성호, 김우형(2016). 스킨스쿠버 다이빙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감정반응 및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 (7), 497-506. 미소장
36 이유진, 황선환(2020). 대학생의 여가참여형태에 따른 여가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융합과학회지, 9 (2), 1-19. 미소장
37 이유찬, 홍찬정. (2018). 스킨스쿠버 다이빙 리조트 참여자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반응과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3, 261-271. 미소장
38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9 지삼업(2005).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수정된 환경요인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 (6), 1107-1123. 미소장
40 진한근, 윤양진, 정희중(2007). 스킨스쿠버다이빙 관련 법적 고찰과 개선방안. 스포츠와 법, 10 (4), 331-350. 미소장
41 최순화(2021). 1인가구의 여가태도, 여가소비, 여가만족의 영향관계 분석: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3 (6), 151-165. 미소장
42 황선환, 김태환, 이문진(2017). 진지한 여가 비용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 (2), 66-75. 미소장
43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1), 20-33. 미소장
44 Becchetti, L., Ricca, G. E., & Pelloni, A.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Caus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8 (3) 453-490. 미소장
45 Lewinsohn, P. M., & Graf, M. (1973). Pleasant activities and depression. Jounal of Abnormal Psychology, 41, 261-268 미소장
46 Neulinger, J. (1981). The of leisure. 2nd ed. Springfield, lll : Charles C. Thomas. Pub. 미소장
47 Richards, G. (1996).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uropean cultural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 (2), 261-283. 미소장
48 Stebbins, R. A. (2016). Costs, constraints, and perseverance: A rejoinder to Lamont, Kennelly, and Moyl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8 (1), 1-4. 미소장
49 Watson, G., & Johnson, D. (1972). Social Psychology: Issue and insights. Philadelphia. J. B. Lippincot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