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동훈, 심성섭(2009). 여성의 벨리댄스 참여정도가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 (3), 121-130. |
미소장 |
2 |
강상훈(2020). 여가시간과 여가공간의 만족이 여가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2 (9), 135-150. |
미소장 |
3 |
강상훈, 권영현(2021). 여가활동만족도에서 여가시간, 여가비용과 거주지의 영향: 2018 대구사회 조사 사례. 호텔관광연구, 23 (1), 50-59. |
미소장 |
4 |
강현욱, 전태준(2012). 대학 운동선수의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 (3), 36-48. |
미소장 |
5 |
국토해양부(2010). 해양관광⋅레저 활성화 방안마련. 국토해양부 해양정책과. |
미소장 |
6 |
김경희(2010). 축제 서비스품질이 축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7 |
김기진(2001). 스쿠버다이빙시 잠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비교. 한국생활환경학회지, 8 (3), 256-262. |
미소장 |
8 |
김지흔, 정민주(2017). 골프장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삶의 질과의 영향관계 연구 -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 유통경영학회지, 20 (2), 76-85. |
미소장 |
9 |
김태환, 황선환(2020). 진지한 여가 비용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9 (6), 403-419. |
미소장 |
10 |
김홍설, 김태환, 황선환. (2018). 진지한 여가 수준에 따른 진지한 여가 비용의 하위요인 차이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281-290. |
미소장 |
11 |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5), 1-33. |
미소장 |
12 |
남을순(2018). 자원봉사자의 여가비용이 여가제약협상에 미치는 영향. 여가관광연구, 30, 1-19. |
미소장 |
13 |
문병민, 김영수, 김진국(2011). 스크린 골프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 경험과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4), 31-39. |
미소장 |
14 |
문화관광부(2006). 여가백서. 문화관광부 |
미소장 |
15 |
민경선(2016).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만족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소장 |
16 |
민병민, 류호상(2016). 스쿠버다이빙 활동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웰빙. 코칭능력개발지, 18 (4),3-12. |
미소장 |
17 |
박명국, 윤영선(2005). 레크리에이션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의 마케팅믹스 요인이 충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95-107. |
미소장 |
18 |
박세영(2011).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 (2), 331-353. |
미소장 |
19 |
박인혜(2011). 야구동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목표성향, 재미요인,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3), 105-115. |
미소장 |
20 |
백선경, 박주영(2010). 여성 필라테스 참가자의 운동욕구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2 (2), 429-446. |
미소장 |
21 |
백혜경, 남사웅(2005). 스쿠버 다이빙 활동 참여정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1, 61-72. |
미소장 |
22 |
서헌(2017). 여가의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주요개념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 (8), 367-377. |
미소장 |
23 |
송지준(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 21세기사. |
미소장 |
24 |
신명수, 오경아, 박성준(2019).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 (4), 1327-1337. |
미소장 |
25 |
심민보(2013). 체험의 유형과 관여도가 해양레저 스포츠 체험 후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6 |
오서진, 함석종(2018). 여가 동반자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여가 만족도.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4 (2), 77-92. |
미소장 |
27 |
오세이, 전태준, 박상일(2011). 아이스하키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4), 55-65. |
미소장 |
28 |
유동균(2014). 해양레저스포츠의 참여동기, 선택속성, 만족도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9 |
유동균, 정수봉, 최승국(2020). 스킨스쿠버 이용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 (1), 345-356. |
미소장 |
30 |
유현순, 하수영(2007). 인문,사회과학편 : 해양레저스포츠 서비스품질 마케팅믹스(4P’s) 요인이 참여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상스키와 스쿠버다이빙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6 (1), 485-494. |
미소장 |
31 |
이계석, 최성범, 한태용(2014).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 (2), 423-431. |
미소장 |
32 |
이광식, 구정철(2001). 스킨스쿠버 다이빙 시 하강중 발생하는 인체의 압력손상. 운동과학, 10 (2), 199-208. |
미소장 |
33 |
이문진, 황선환. (2014).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참가자의 여가만족과 운동중독, 배우자의 가족기능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 (3), 29-40. |
미소장 |
34 |
이민석, 강희엽, 이철원(2017).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 (1), 503-515. |
미소장 |
35 |
이성호, 김우형(2016). 스킨스쿠버 다이빙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감정반응 및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 (7), 497-506. |
미소장 |
36 |
이유진, 황선환(2020). 대학생의 여가참여형태에 따른 여가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융합과학회지, 9 (2), 1-19. |
미소장 |
37 |
이유찬, 홍찬정. (2018). 스킨스쿠버 다이빙 리조트 참여자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반응과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3, 261-271. |
미소장 |
38 |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9 |
지삼업(2005).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수정된 환경요인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 (6), 1107-1123. |
미소장 |
40 |
진한근, 윤양진, 정희중(2007). 스킨스쿠버다이빙 관련 법적 고찰과 개선방안. 스포츠와 법, 10 (4), 331-350. |
미소장 |
41 |
최순화(2021). 1인가구의 여가태도, 여가소비, 여가만족의 영향관계 분석: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3 (6), 151-165. |
미소장 |
42 |
황선환, 김태환, 이문진(2017). 진지한 여가 비용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 (2), 66-75. |
미소장 |
43 |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1), 20-33. |
미소장 |
44 |
Becchetti, L., Ricca, G. E., & Pelloni, A.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Caus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8 (3) 453-490. |
미소장 |
45 |
Lewinsohn, P. M., & Graf, M. (1973). Pleasant activities and depression. Jounal of Abnormal Psychology, 41, 261-268 |
미소장 |
46 |
Neulinger, J. (1981). The of leisure. 2nd ed. Springfield, lll : Charles C. Thomas. Pub. |
미소장 |
47 |
Richards, G. (1996).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uropean cultural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 (2), 261-283. |
미소장 |
48 |
Stebbins, R. A. (2016). Costs, constraints, and perseverance: A rejoinder to Lamont, Kennelly, and Moyl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8 (1), 1-4. |
미소장 |
49 |
Watson, G., & Johnson, D. (1972). Social Psychology: Issue and insights. Philadelphia. J. B. Lippincot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