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해양경찰의 조직문화가 공공봉사동기(PSM)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maritime police / 하상군 1

목차 1

국문초록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논의 3

1. 공공봉사동기(PSM)의 의미 3

2. 조직문화의 의미 4

3. 선행연구의 검토 4

Ⅲ. 연구설계 5

1. 연구모형 및 가설 5

2. 연구방법 6

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7

4.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8

Ⅳ. 연구결과 분석 12

1. 인구사회학적 특성 12

2. 직무관련 특성 12

3. 상관관계분석 14

4. 해양경찰관의 조직문화가 PSM에 미치는 영향 15

5. 가설검증 15

Ⅴ. 결론 16

참고문헌 18

Abstract 2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산업기밀 유출 사례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 Countermeasures through industrial secret leak case analysis 백남설, 김선일 p. 5-22

보기
유사수신과 다단계식 기망행위 범죄예방 대책 =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fund-rasing business crime and multi-level marketing fraud 양승돈 p. 23-43

보기
해킹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향 = Review on the direction of criminal law responding to hacking 이성대 p. 44-66

보기
테러수단 변화에 대응한 효과적인 정책대안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change of the means of terrorism 조용민, 전주상 p. 67-90

보기
해양경찰의 조직문화가 공공봉사동기(PSM)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maritime police 하상군 p. 91-110

보기
자율주행자동차와 경찰활동에 관한 소고 : Self-driving cars and police activities : focusing on changes in traffic police activities above level 4 / Level 4단계 이상에서 교통경찰 활동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승진, 정용기 p. 111-130

보기
Unsafe system and women abuse in Chin State, Myanmar = 미얀마 친주에서의 안전하지 않은 제도와 여성학대에 관한 연구 Din Na, EuiGab Hwang p. 131-146

보기
在韩外国人劳动者的劳动权益保障制度研究 =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익보장제도에 대한 연구 朴晶敏, 黄智仙 p. 147-161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채서일(2006),「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엠북스. 미소장
2 김서용⋅조성수⋅박병주(2010), “공직동기(PSM)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한국행정학보」, 44(1): 147-177. 미소장
3 양병화(2006),「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4 오현규(2018). “공무원 동기와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개인의 조절초점을 반영한 PSM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미소장
5 유효상(2018), “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경찰학교 신임순경 교육생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 윤병훈⋅최응렬(2013), “해양경찰의 조직문화와 공공봉사동기(PSM)간 영향관계”,「한국경찰연구」, 12(3): 173-196. 미소장
7 이지혜(2017), “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태도와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적합성(P-J Fit)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소장
8 이청아(2019),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미소장
9 정민제(2012), “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소장
10 하상군(2013),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PSM)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사회과학연구」, 20(3): 180-203. 미소장
11 한에스더⋅이근주(2012), “조직경험과 업무특성이 공공봉사동기(PSM)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행정논총」, 50(2): 89-112. 미소장
12 Brewer, G. A. & Seldon, S. C. (1998). “Whistle Blowers in the Federal Civil Service: New Evidence of the Public Service Ethic”,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8(3): 413-439. 미소장
13 Cameron, K. S., & Quinn, R. E. (1999).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NY: Addison Wesley Inc. 미소장
14 Coursey, D. H., Perry, J. L., Brudney, J. L., & Littlepage, L. (2008). “Psychometric verification of Perry’s public service motivation instrument: Results for volunteer exemplar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8(1): 79-90. 미소장
15 Perry, J. L. & Wise, L. (1990). “Motivational Bases of Public Serv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0: 367-373. 미소장
16 Rainey, H. G., & Steinbauer, P. (1999). “Galloping Elephants: Developing Elements of a Theory of Effective Government Organization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9: 1-32. 미소장
17 Vandenabeele, W.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elf-reported performance: more robust evidence of the PSM-Performance relationship.”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75(1): 11-3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