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자녀양육세대의 주거이동 및 주거의식 : 한국과 일본의 비교 = Residential movement and residential consciousness of the child-rearing household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조현주 ; 이상운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2

2. 이론적 배경 2

3. 연구 방법 3

3.1. 조사 방법 및 조사 대상 3

3.2. 조사내용과 분석 방법 3

4. 자녀양육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거 특성 3

4.1. 조사대상자 및 가구 관련 특성 3

4.2. 주거 특성 5

5. 자녀양육세대 주거이동 특성 6

5.1. 현 주택으로의 주거이동 요인과 선택이유 6

5.2. 향후 주거이동 의향과 이동 예정 주택 조건 7

6. 자녀양육세대의 주택 소유의식과 지원정책 선호 8

6.1. 주택 소유의식 8

6.2. 자녀양육세대를 위한 지원정책에 대한 선호 9

7. 결론 10

REFERENCES 1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항만산업도시 재생을 위한 통합적 워터프론트 계획방향 연구 : Integrated waterfront design direction for port industrial city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land use and water-dependent public facilities of False Creek Vancouver / 밴쿠버 폴스크릭의 워터프론트 토지이용 및 수공간에 밀접한 공공시설 사례를 통한 디자인방안 제안 이금진 p. 3-12

보기
중국 선양시 고층 아파트 외장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exterior color of high-rise apartments in Shenyang, China 송미영, 김준봉 p. 13-20

보기
자녀양육세대의 주거이동 및 주거의식 : Residential movement and residential consciousness of the child-rearing household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한국과 일본의 비교 조현주, 이상운 p. 21-32

보기
역사적 건축 보존과 지속 가능한 그린 리모델링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 building preservation with a perspective of sustainable green remodeling : focusing on a LEED-certified case / LEED 인증을 획득한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희, 김석경, 유선주 p. 33-44

보기
건축의 공공성 향상을 위한 건축전문기관 사례 비교연구 : Architectural institutes for improving architectural public concern : cases involving architectural centers in Netherlands, Denmark and Norway /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의 건축센터를 중심으로 백주화, 김세용 p. 45-55

보기
LH 노후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 사업방향과 유형 결정에 관한 연구 : Remodeling decision of LH aged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focused on deriving the determining factors for remodeling / 리모델링 결정요인 도출을 중심으로 박성식, 박윤재, 김명식 p. 57-67

보기
사례연구를 통한 메타버스 건축디자인에 대한 고찰 = Architectural design in metaverse case study 이지헌, 차승현 p. 69-80

보기
사무 건축의 경계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undary space in office architecture 펑젠보 p. 81-89

보기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콜라주 건축 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t-digital images in architecture : a comparative analysis of post-digital and the avant-garde architecture collages / 아방가르드 콜라주와의 표현 방식 차이를 중심으로 신우정, 최춘웅 p. 91-101

보기
감염병전문병원 외래진료부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Architectural planning of outpatient departments in infectious diseases hospitals 최광석 p. 103-113

보기
지역별 고령층 정주여건 특징에 관한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onditions of the elderly by region : based on the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alysis /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양혜연, 김태일 p. 115-125

보기
공공청사건축의 탈권위주의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 Post-authoritarian design of public offices : focused on the plaza and facade of metropolitan city halls that emerged after local autonomy /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등장한 한국 광역 시청사의 광장과 입면을 중심으로 이호승 p. 127-138

보기
국내 설계조직의 재택근무 활성화 저해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deactivating factors for telework within architectural design organization 김형준, 오주현, 박재준, 김한수, 정성원, 김동현 p. 139-150

보기
충돌의 몽타주 : Montage of collision : generating spatial and programmatic complexity in tall office buildings : focused on the Danam Building remodeling project in Seoul / 고층업무시설의 공간 및 프로그램 복합화 제안 : 서울 중구 단암빌딩 리모델링 계획안 한다빈, 최원준 p. 151-160

보기
팔작지붕 불전의 안허리 차이와 용마루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The relativity of Anheoli and Yongmaru of the hipped and gable roof 위소연 p. 161-169

보기
중국건축의 활주의 변용에 관한 연구 : The progression of rafter supporting columns in Chinese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tylization of Qingyan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 송대부터 청대까지 경첨(擎檐)의 양식화를 중심으로 백소훈 p. 171-181

보기
한국 전통목조건축물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에 관한 기능주의적 접근 = Functionalist approach on typology and historical changes of ‘Daegong’ and ‘Dongjajoo’ in traditional Korean roof frame structures 김다은, 전봉희 p. 183-193

보기
1960-70년대 서울의 주택 정책과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housing policy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Seoul, 1960-70s 김동욱, 전봉희 p. 195-206

보기
궁중 연향 왕실 방석(方席)에 관한 연구 = Royal cushions during royal family banquets 석진영 p. 207-218

보기
노마디즘 측면에서 본 텐트 파빌리온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features of tent pavilions in terms of nomadism 김란수 p. 219-226

보기
주거지 생활도로 개선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연구 : Evaluation criteria for pedestrian environments to improve neighborhood streets : focused on the residential area aroun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충북대학교 주변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하, 변나향 p. 227-236

보기
강화된 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는 고효율 복합단열재 개발 =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hybrid insulation for reinforced fire safety code in Korea 고귀한, 최은수, 권영철 p. 237-246

보기
전통한옥의 평면유형에 따른 비틀림비정형 평가 = Evaluation of torsional irreg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timber house according to plan type 이민위, 김영민 p. 247-254

보기
마이크로 강섬유가 혼입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인성지수 평가 = Evaluation on toughness index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ith microsteel fibers 이혜진, 김학영, 양근혁, 이영호 p. 255-262

보기
건설산업의 대내외 환경변화분석과 정책효과 진단을 통한 건설기능인 일자리 정책 혁신방향 도출 = A suggestion on the direction of policies for construction workers by environmental analysis and policy evaluation 임소람, 이슬기 p. 263-273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