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재성(2012), “국제개발과 민관협력, 이슈와 정책제언,”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7(1), 11-28. | 미소장 |
2 | 김성규(2012), “기업의 글로벌 사회적 책임 (Global CSR) 과 개발협력,”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7(1), 29-43. | 미소장 |
3 | 김수연·표나성·정승화·최순규(2017), “비영리 조직과 기업 간 협력에 있어서의 성과 요인,” 무역연구, 13(6), 427-442. | 미소장 |
4 | 노한균(2011), “ODA 분야에서의 민관 협력 발전방향 모색: 기업의 해외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ODA 기초연구, 11-04. | 미소장 |
5 | 명재석·김용균(2021), “외국기업의 정치적 위험관리 전략으로서현지 CSR 의 효과 분석: 베트남 도시개발 진출 한국기업의비시장 전략 비교,” 동남아시아연구, 31(4), 83-131. | 미소장 |
6 | 서민교(2018), “한국기업의 글로벌 CSR 전략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LG 전자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22(4), 229-255. | 미소장 |
7 | 성현선(2017), “글로벌기업의 사회적책임 (CSR) 활동이 기업이미지, 관계지향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진출 한국 외식 기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8), 207-221. | 미소장 |
8 | 손혁상·박보기·김남경(2014),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한국의 민관협력사업(PPP)연구,” 국제지역연구, 23(2), 121-155 | 미소장 |
9 | 여현덕(2015), “국제개발협력에서 기업참여의 논리와 유형: 그 가능성과 한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3), 69-95. | 미소장 |
10 | 우시진·유혜방·정진섭(2021), “CSR 활동의 속성이 브랜드 태도에미치는 영향: 한·중 전자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제경영리뷰, 25(4), 31-43 | 미소장 |
11 | 유성상·이기석(2016),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의 민관협력(PPP)현황 및 쟁점 분석,” 국제개발협력연구, 8(3), 103-138. | 미소장 |
12 | 육수현(2021), “기업출연 공익법인의 사회공헌활동과 현지 전문NGO 의 상호작용: 베트남 중부지역 친환경 놀이터 건립사례 연구,” 동남아시아연구, 31(4), 169-214. | 미소장 |
13 | 이양복(2015), “다국적 서비스 기업의 글로벌 CSR: BT CSR 전략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6(4), 19-32. | 미소장 |
14 | 이양복·김창수(2016), “한국기업 해외자회사의 전략적 CSR 활동의 동인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국제경영연구, 27(1), 83-110. | 미소장 |
15 | 이종학·김민균(2020),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의 글로벌 CSR:삼성전자 CSR 전략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1(5), 74-96. | 미소장 |
16 | 조광걸(2009), “KOICA의 민관파트너십 (PPP) 개발협력사업 도입방안,”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4(3), 97-119. | 미소장 |
17 | 최호림(2019), “베트남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한 발전,” 인문사회 21, 10(2), 1487-1501. | 미소장 |
18 | 한충민·손성범·김경애(2016),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CSR 프로그램의 소비자효과 분석: CSR 대상, NGO 그리고 모국이미지 요인 중심으로,” 국제통상연구, 21(4), 51-80. | 미소장 |
19 | 한충민·응웬티한·김경애(2016), “개도국 시장에서의 자선적 CSR 효과: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국제경영연구,” 27(3), 111-137. | 미소장 |
20 | Austin, J. E.(2000),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nonprofits and businesse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29(1_suppl), 69-97. | 미소장 |
21 | Carroll, A. B.(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Business Horizons, 34, 39-48. | 미소장 |
22 | Husted, B. W., & Allen, D. B.(2006),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multinational enterprise: Strateg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7(6), 838-849. | 미소장 |
23 | Jamali, D.(2010), “The CSR of MNC subsidiaries in developing countries: global, local, substantive or diluted?,” Journal of business ethics, 93(2), 181-200. | 미소장 |
24 | Muller, A.(2006), “Global versus local CSR strategie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4(2-3), 189-198. | 미소장 |
25 | OECD. 2010. DAC Statistical Reporting Directive (DCD/DAC(2010)40/REV1). | 미소장 |
26 | Porter, M. E., & Kramer, M. R.(2006), “Strategy and society: the link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arvard Business Review, December, 84(12), 78-92. | 미소장 |
27 | Porter, M. E., & Kramer, M. R.(2011), “Creating shared value: How to reinvent capitalism,”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1-17 | 미소장 |
28 | Zhao, M.(2012), “CSR-based political legitimacy strategy: Managing the state by doing good in China and Russia,”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1(4), 439-460. | 미소장 |
29 | Visser, W.(1995). “Holism: A New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Business,” New Perspectives, 7, 41-43. | 미소장 |
30 | Visser, W.(2006), “Revisiting Carroll’s CSR pyramid,” Corporate citizenship in developing countries, 29-56. | 미소장 |
31 | Visser, W.(2008),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Oxford handbook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미소장 |
32 | World Bank (2012), World Bank Group Support to Public-Private Partnerships: Lessons from Experience in Client Countries. Independent Evaluation Group, World Bank Group. | 미소장 |
33 | 기아대책(2013), 삼성해피홈스쿨 지원사업 자료. | 미소장 |
34 | 기아대책 박닌성 희망학교 내부자료 2014-2101. | 미소장 |
35 |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0,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