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일본조선연구소의 연대(連帶)의 공명(共鳴) 방식과 일본인의 조선관에 대한 고찰을 목적한다. 한일회담 시기에 설립되어 반대운동의 이론적 기반으로서 일본 내 혁신 세력에게 존재감을 드러낸 조연은 ‘일・대만・한’에 대(対)한 ‘일・조・중’이라는 대항 방식으로서 연대를 구상해왔다. 이는 냉전의 대립구조를 둘러싼 전략적 사고가 반영된 사례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조연이 문학을 채용하는 방식에서도 표출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기관지 『조선연구(월보)』와 단행본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간의 이례적인 편집 사례를 들어 그 양상을 관찰하고자 한다. 그에 이어 기성의 조선 연구에 대한 문제의식과 기성 연구자들의 ‘조선관’에 대한 반성적 태도를 촉구하며, ‘일본인에 의한’, ‘새로운’ 조선 연구를 지향한 조연이 그들 내부에서 직접 마주하게 되는 ‘일그러진 조선관’의 배태된 한계를 검토한다. 이는 1960년대라는 당대 현상(現状)에 대한 분석의 일환일 뿐만 아니라, 양국 간 여전한 간두지세(竿頭之勢)의 형국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 모색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전후 일본에서 이행된 조선 연구의 일면을 오늘날의 형세와 비교・대조해 보려는 이 같은 시도는 현재 그리고 향후 한국학・일본학의 ‘올바른’ 정립을 위해서도 유의미하다고 여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려 전기 형정의 성격 =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early Goryeo period : 운영의 체계화와 관련 의례의 정비 윤훈표 p. 1-29

여말선초 대명(對明) 요하례(망궐례)의 거행과 의식 구조 변화 :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Yoha ritual for the Ming Dynasty during Goryeo·Joseon Dynasty / 고려 공민왕~조선 세종대를 중심으로 박윤미 p. 31-54

조선 유학자들의 출산에 대한 인식 : The view of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on purification for ancestral rites and the uncleanness of childbirth / 제사의 금기와 관련하여 정현정 p. 55-74

식민과 냉전의 틀을 넘어서는 ‘비판적 코리아 연구’에 공명하며 = Relating to the “critical study of Korea” beyond the colonial and Cold War framework : 板垣竜太(2021) 서평 김병문 [평] p. 75-101

일본조선연구소의 연대(連帶)의 공명(共鳴) 방식과 일그러진 조선관 = Nihon Chōsen Kenkyūjo's resonance of solidarity and its distorted view of Chōsen :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연속 심포지엄과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을 중심으로 주미애 p. 103-142

‘조선학’을 되돌아보기 위한 괄호들 : Parentheses to reexamine in “Joseon studies” : Takashi Hatada, Symposium Japan and Korea, translated by Miae Joo (Somyung Books, 2020) [서평] / 하타다 다카시 편, 주미애 옮김,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 제국 일본, 조선을 말하다』(소명출판, 2020) 조은애 [평] p. 143-173

조선후기 목민서 『先覺』의 편찬과 수령정치론 = Compilation of Mongminso’s SeonG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uryeong political theory 홍해뜸 p. 175-207

서광계(徐光啓)의 해상방어 전략과 조선 = Xu Guangqi(徐光啓)'s maritime defense strategy and Joseon 차혜원 p. 209-238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朝鮮研究月報』, 日本朝鮮研究所, 1962~1964. 미소장
2 『朝鮮研究』, 日本朝鮮研究所, 1964~1984. 미소장
3 井上學, 樋口雄一 編, 『日本朝鮮研究所初期資料:1961~1969』 1~3, 緑蔭書房, 2017. 미소장
4 『朝鮮學報』 第1輯, 朝鮮學會, 1951. 미소장
5 宇野田尚哉 編纂, 宋恵媛 解説, 『在日朝鮮文学会関係資料:一九四五-六〇』 第3号, 緑蔭書房, 2018. 미소장
6 朝鮮史研究会 編, 『朝鮮史研究会論文集』, 緑蔭書房, 1965~1970. 미소장
7 高崎宗司, 朴正鎭 編著, 『歸國運動とは何だったのか』, 平凡社, 2005. 미소장
8 佐藤勝巳, 『わが体験的朝鮮問題』, 東洋経済新報社, 1978. 미소장
9 寺尾五郎・野口肇・畑田重夫, 『私たちの生活と日韓會談』, 日本朝鮮硏究所, 1962. 미소장
10 伊藤智永, 『忘却された支配 : 日本のなかの植民地朝鮮』, 岩波書店, 2016. 미소장
11 安藤彦太郎 等, 『日・朝・中三國人民連帶の歴史と理論』, 日本朝鮮研究所, 1964. 미소장
12 朴春日, 『近代日本文学における朝鮮像』, 未来社, 1969. 미소장
13 하타다 다카시 편, 주미애 역,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소명출판, 2020. 미소장
14 신정화, 『일본의 대북정책』, 오름, 2004. 미소장
15 김숭배,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 비(非)서명국들」, 『일본비평』 제12권 제1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미소장
16 유지아, 「한국과 일본에서의 한일회담반대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한일관계사연구』제53권, 한일관계사학회, 2016. 미소장
17 이상숙, 「중소분쟁 시기 북한과 북베트남의 자주외교 비교」, 『통일정책연구』 제17권 2호, 통일연구원, 2008. 미소장
18 신승모, 「‘외지문학’에 나타난 신(信)과 불신(不信)」, 『일본학연구』 제27권,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미소장
19 장미현,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식민사상’ 제기와 ‘고도성장체제’ 비판」, 『역사문제연구』제27권, 역사문제연구소, 2012. 미소장
20 장박진, 「한일회담과 일본인의 ‘한국관’」, 『일본학』 제33집,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미소장
21 조서연, 「한일회담 시기 일본의 대북인식」,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18. 미소장
22 토모나가 겐조 저・윤일구 역, 「일본의 부락해방운동과 차별철폐를 위한 법정비」, 『인권법평론』6호,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 2011. 미소장
23 和田春樹, 高崎宗司 著, 『検証日朝関係60年史』, 明石書店, 2005. 미소장
24 高崎宗司, 「寺尾五郎の朝鮮論」, 『歸國運動とは何であったのか』, 平凡社, 2005. 미소장
25 板垣竜太, 「日韓會談反對運動と植民地支配責任論」, 『思想』 1029号, 岩波書店, 2010. 미소장
26 韓昇憙, 「冷戰下の日朝間の學術交流のあり方-日本朝鮮硏究所の日朝學術交流運動を中心に」, 『Quadrante』 21号, 東京外國語大学海外事情硏究所, 2019. 미소장
27 平木実, 「朝鮮学会の創立と天理大学」, 『朝鮮學報』 第174卷, 朝鮮学会, 2000. 미소장
28 中塚明, 「日本における朝鮮史硏究の軌跡と課題」, 『朝鮮史硏究会論文集』 第17集, 朝鮮史研究会, 1980. 미소장
29 旗田巍,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における古代日朝関係史の研究」, 『歴史学研究』 第284卷, 績文堂出版, 1964. 미소장
30 宮田節子, 「朝鮮史研究会のあゆみ--朝鮮史研究会の創設から一九七〇年まで(特集 戦後日本の朝鮮史学を振り返る)」, 『朝鮮史研究会論文集』 第48卷, 綠蔭書房, 2010. 미소장
31 宮田節子, 「差別発言問題と私の反省」, 『朝鮮研究』 第87号, 日本朝鮮研究所, 1969. 미소장
32 宮田節子, 「朝鮮史研究会のあゆみ--朝鮮史研究会の創設から一九七〇年まで(特集 戦後日本の朝鮮史学を振り返る)」, 『朝鮮史研究会論文集』 第48卷, 綠蔭書房, 2010. 미소장
33 宮田節子, 「連続シンポジウムについて」, 『東洋文化硏究』 第14号,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12. 미소장
34 野口雄一郎, 「対韓進出を競う日本資本--第三次訪韓経済視察団をめぐって」, 『世界』 第235号, 岩波書店, 1965. 미소장
35 日高六郎, 「日韓問題と日本の知識人--未来への摸索(国民文化会議シンポジウム)」, 『現代の眼』, 現代評論社, 1966. 미소장
36 佐藤勝巳, 「表現にみる部落差別と朝鮮人差別」, 『朝鮮硏究』 第150号, 日本朝鮮研究所, 1975. 미소장
37 古田梨奈, 「「日本朝鮮研究所」による差別語をめぐる運動の思想と実践」, 『大学院研究年報 総合政策研究科編』 第20巻, 中央大学大学院研究年報編集委員会, 2017. 미소장
38 梶村秀樹, 「私の反省(本誌昨年12月号掲載・座談会「日本における朝鮮研究の蓄積をいかに継承するか」に関連して)」, 『朝鮮研究』 第89号, 日本朝鮮研究所, 1969. 미소장
39 川崎勲, 「『広辞苑』の<北鮮><鮮人>の項の誤りについて」, 『朝鮮研究』 第124号, 日本朝鮮研究所, 1973. 미소장
40 寺尾五郎, 「運動と硏究における日本人の立場・朝鮮人の立場」, 『朝鮮硏究月報』 第11号, 日本朝鮮硏究所, 1962. 미소장
41 日本人文科学会 編, 『社会的緊張の研究』, 有斐閣, 1953. 미소장
42 朴春日, 「日本プロレタリア文學における朝鮮および朝鮮人像」(Ⅱ), 『朝鮮月報』 第8・9号, 朝鮮研究所, 1957. 미소장
43 朴春日, 「日本における朝鮮像-5-」, 『文化評論』 第50号, 新日本出版社, 1965. 미소장
44 吳林俊・村松武司, 「座談会 八・一五と文学の立場」, 『朝鮮硏究』 第88号, 日本朝鮮硏究所, 1969. 미소장
45 小沢孝子, 「ポヅナムの町 入選小説」, 『総合教育技術 : 学校管理職と中堅教師のための教育総合誌』 第16卷 第6号, 小学館, 196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