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유튜브 플랫폼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학습자중심 토론교육의 중요성 연구 = A critical review on YouTube platform and a study about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debate education / 신희선 1

목차 1

초록 1

1. 서론 2

2. 유튜브와 대학 토론교육 3

3. 토론수업을 통한 유튜브 양면성 고찰 4

1) 아카데미 토론 실습을 통한 분석 4

2) 논증적 글쓰기를 통한 고찰 8

4. 유튜브 시대, 학습자중심 토론교육의 의의 11

1) 비판적 사고 훈련의 장 11

2)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 함양 12

3) 미디어 리터러시 기회 13

5. 결론 14

참고문헌 16

Abstract 1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팬데믹과 젠더 분쟁 시대의 교양 교육 = Teaching a liberal arts elective in the era of the pandemic and the gender conflict 안소미 p. 5-18

보기
대학 교양 강좌 내 적응역량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활적응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daptive competency counseling programs in liberal arts cours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지희진 p. 19-34

보기
대학생 중도탈락 영향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drop-out : focused on liberal arts education / 교양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이정희, 강창완, 고미나, 박애영, 함수민, 송연주 p. 35-51

보기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법학의 융합 교양교육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integrated liberal education in law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based on universities in Busan / 부산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선종수 p. 53-66

보기
고전 교양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설계와 활용 : Design and use of online platform for classical liberal education : the case of classics matrix / ‘고전 매트릭스’를 사례로 손애리, 김월회 p. 67-81

보기
유튜브 플랫폼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학습자중심 토론교육의 중요성 연구 = A critical review on YouTube platform and a study about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debate education 신희선 p. 101-118

보기
인류세 문제와 교양교육적 담론 : Anthropocene and liberal education discourse : focusing on Korea's view of nature by Toegye and Yulgok / 퇴계와 율곡의 한국 자연관을 중심으로 서욱수 p. 83-99

보기
대학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과 대학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direction and tasks of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이유정 p. 119-136

보기
대학 교양에서 인류세를 위한 인문학적 소양교육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contents for the anthropocene in university liberal arts 추성경 p. 137-15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