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화상 수업에서의 앱 도구 사용에 관한 파일럿(pilot) 연구 = A pilot study on the use of app tools in synchronous video Korean lectures : 우랄연방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민영 p. 1-17
청소년 체험활동,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의 관계 :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and self-esteem on the academic helplessness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grit /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요한, 정혜원 p. 19-36
대학생의 대처유연성과 주도적 대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and proactive coping on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 위계적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현승주, 이현엽, 최윤영, 강성록 p. 37-51
부모의 조건부 관심철회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adjustment by parental conditional negative regard 송은파 p. 53-65
이북 김형직사범대학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강독≫ 교재의 표현 항목 연구 = A study on the the expression items of ≪Reading Joseoneo≫ textbooks for students of Joseoneo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 publications from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오현아 p. 67-76
COVID-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서 노트필기 과제 참여 경험 :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oncurrent non-face-to-face learning and note-taking tasks during COVID-19 : focusing on the human body structure and function class / 인체구조와 기능 수업을 중심으로 장양민, 허명륜 p. 77-88
예수의 교육관 탐색 연구 = A exploratory study of the educational view of Jesus 남상일, 김병찬 p. 89-112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you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 resilience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애 p. 113-125
영어 학습자 불안 연구 : History of thirty years’ research on English learner anxiety : focusing on KCI journal articles / 지난 30년간의 국내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가현, 김태영 p. 127-140
노래놀이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a singing play program model : based o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ommunity / 유⋅초 연계 공동체를 기반으로 류지원, 권미량, 최은지 p. 141-166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school climate on teacher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아라 p. 167-181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제언 : A theoretical study and therapeutic suggestion on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 focusing on psychodynamic theori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 정신역동 이론 및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를 중심으로 고은애, 김혜정 p. 183-200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 본 유아교사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y through big data 김근혜, 김정은 p. 201-216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 A study on feedback content on lesson plans of preservice teachers : for the world regional geography unit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 초등 사회과 세계지리 단원을 대상으로 이호욱 p. 217-235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만학도의 창의성과 삶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creativity and meaning of life of mature-age students through movie media literacy 김성원, 윤미승, 윤정진 p. 237-250

『발표와토론』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 실재감 및 학습 실재감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online classes of 『presentation and discussion』 유소연, 김은경, 구선우 p. 251-267
보육교사 인성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 Research trends and meta-analysis on character of childcare teachers 이지영, 김성원 p. 269-280
대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self-esteem, and human rights awareness 김갑순, 강창구 p. 281-294
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교사 및 관리자 신뢰의 매개효과 =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and peers, director’s trust on term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고정리 p. 295-311
부모의 양육스타일,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academic stress / 자율성,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연은모, 최효식 p. 313-328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nursing graduate students’ learning goal achievement competency 간진숙, 권명순, 이유은 p. 329-341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 An exploration of overcoming experience of frustr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ment processes 윤소민 p. 343-365
완벽주의 군집별 실패내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ailure tolerance and self-efficacy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clusters of perfectionism 박효진, 주현정 p. 367-381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과 학습소진, 삶의 질, 자존감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group types according to empathy of medica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burnout,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황효정, 이준기, 유효현 p. 383-393
대학생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smoking, and drinking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 201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문숙자, 황은정 p. 395-405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최지혜, 백설아, 주소영, 최효언, 김민경 p. 407-421
중학교 꿈사다리 장학생 성장기록 연구 : A study on the growth record of middle school dream ladder scholarship students : 2018-focusing on 2020 scholarship usage history and growth records / 2018년 - 2020년 장학금 사용내역 및 성장기록을 중심으로 김민희, 김예슬 p. 423-437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 Exploring artistic citizenship education method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music curriculum /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최진경 p. 439-456
전문대학 어문학전공 교육의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ollege educ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s 강경리, 최재혁 p. 457-479
공립대안학교의 성공적 설립 요건에 관한 사례연구 = Understanding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public alternative schools : a case study 허준, 김지현 p. 481-500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예방교육 수행의 효과 = The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부선주, 김명숙 p. 501-510
대학생의 학업부진 및 중도탈락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및 교육적 지원방법 고찰 = A study on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educational support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신미정, 추봉남, 송명진 p. 511-535
대학생을 위한 프로티언 경력 지향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protean careers for university students 최지은, 조용선 p. 537-55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gambl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박봉환 p. 559-570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the HESQUAL model as an evaluation tool fo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service quality in Chinese higher education = 중국 고등교육의 교수 및 행정 서비스 질적 평가 도구로서의 HESQUAL 모델의 개선과 적용에 관한 연구 Liu Feijun, Kou, Heung p. 571-592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사 대상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real-time non-face-to-face education for nursery teachers in childcare support center on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eacher effectiveness 홍찬영, 윤경순 p. 593-605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ads about secondary STEAM in Korea : focusing o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권하정, 이기용 p. 607-624
유아의 놀이 자발성과 사회적 관계 행복감이 유아 놀이에 대한 집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hildren's play spontaneity and social relationship happiness on children focus on children play 신수경 p. 625-639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omparative programs 최정희, 이규원 p. 641-658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elief in play and teaching efficacy in pla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 물리적 환경의 매개효과 좌승화, 신세니, 오정희 p. 659-672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 The pre-school teacher's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and the director's thoughts on childcare practice in the COVID-19 situation 이경하, 한남주 p. 673-688
수학 수업 계획과 실행에서 교육과정 주목하기와 수학교수 지식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noticing and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in plan and implementation of math class 강현영 p. 689-704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교양강좌의 효과분석 = Effect analysis of liberal arts lectures developed to cultivate creativit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이현주, 박성희 p. 705-722
고등학생의 행복에 대한 귀인 요인 분석 = Analysis of attribution factors for hap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이유경, 하요상 p. 723-736
노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학습튜터 챗봇의 학습설계 전략에 관한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learning design strategies on a lifelong education learning tutor chatbot for elderly learners 차현진 p. 737-754

간호대학생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 = Attitudes towards death and death competency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 of nursing students 손정아, 김주연 p. 755-767
군 병사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perceived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nxiety 박경희, 조한익 p. 769-784
유아코딩교육 실제와 미래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actual and future of coding education for Korean preschooler : based on LEGO play / 레고 놀이를 중심으로 임현주 p. 785-802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문주란, 서성희 p. 803-818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from 1998 to 2021 / 1998년부터 2021년까지 성윤숙 p. 819-840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와 독서 활동 및 태도와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ential understanding and read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재호, 김희주 p. 841-852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ual patterns of Korean vowels in Chinese learners 조남현 p. 853-869
기능성 밸런스 운동이 야구선수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unctional balance exercise on balance abilities and gait abilities in baseball players 현광석, 박정민 p. 871-881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level : 예비교사의 수학적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 수준 향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중국 사범대학의 고등 수학 기반 / based on advanced mathematics in China Guo, Haiyan, Kou, Heung p. 883-900
중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effect[실은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정혜진, 윤소민 p. 901-916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운영의 의미와 고충 = The meaning and grievances of nursing teachers' rest hours in the head of nurs[e]ry, daycare denter[실은 center] 강혜경, 문혁준 p. 917-930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현용, 김현미 (2019). 남자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사회, 33(2), 127-151. 미소장
2 기지선, 최스미 (2021). 이직자와 재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문제 비교: 신규간호사를 중심으로. 한국기초간호학회지, 23(2), 91-99. 미소장
3 김광진, 정남운 (2019).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샐갱각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1), 249-271. 미소장
4 김미 (2019). 전문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일주기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247-257. 미소장
5 김미숙, 손수경 (2014).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휴대폰중독적 사용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719-6727. 미소장
6 김설환, 손정락 (2019).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임상심리연구와 실제, 29(1), 189-204. 미소장
7 김순이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253-262. 미소장
8 김정연 (2012). 대학생의 자살관련 행동 및 예방대책. 디지털정책연구, 10(11), 525-533. 미소장
9 김정윤, 이재운 (2019).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6), 421-432. 미소장
10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지, 32(1), 413-437. 미소장
11 김종임 (2020). 간호대학생의 사회성,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4), 100-108. 미소장
12 김하영 (2019).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김현숙 (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현주 (2010).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복지학, 27, 69-93. 미소장
15 김형숙, 배현지, 강경화 (2021). 간호사 자살이 남긴 과제:일상속의 예방관리-적극적 개입관리-체계적 사후관리. 대한간호학회지, 51(4), 408-413. 미소장
16 김형주, 연보라, 배정희 (2020). 청년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V (pp. 436-439).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17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735-757. 미소장
19 동아일보 (2019.09.30.). 자살위험 학생 수 2만 명 넘어, 10대들의 위험한 자해문화심각.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930/97663233/1에서 2019년 10월13일 인출. 미소장
20 민성길, 강홍조, 고경복, 구민성, 기선완, 김경희,... 최의헌 (2015). 최신정신의학 (6th ed.). 서울: 일조각. 미소장
21 박병금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05-522. 미소장
22 박순주, 박은영, 이송이, 장아현, 조서원 (2016).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3(3), 310-319. 미소장
23 박영주 (2014). 경찰공무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3(3), 137-162. 미소장
24 박영희 (2017). 대학생의 우울, 자존감,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23(1), 111-116. 미소장
25 박필남 (2016).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9(1), 1-10. 미소장
26 백선숙, 하은호, 류언나, 송미승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8(4), 157-163. 미소장
27 서성희, 한종희, 송인자 (2018).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709-724. 미소장
28 손정남 (2007).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6(3), 267-275. 미소장
29 신미경, 이혜련, 원종순 (201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4), 419-428. 미소장
30 심용출, 나동석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6), 203-226. 미소장
31 안세영, 김종학, 최보영 (2015). 대학생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85-405. 미소장
32 양경미, 방소연, 김순이 (2012). 대학생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스트레스연구, 20(1), 41-50. 미소장
33 이명희 (2017). 생태인문학을 활용한 자기서사 치유 및 평생교육의 가능성-실버인문학 강독 모임을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42, 237-266. 미소장
34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미소장
35 이성희, 정현옥, 박경란, 유준옥, 하태희, 김희숙 (2015). 대학생의 자살사고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190-201. 미소장
36 이영미 (2011).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살시도의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2), 5541-5549. 미소장
37 이은숙 (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1), 55-65. 미소장
38 이은숙, 봉은주 (2018). 부모의 문제음주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기 외상경험, 경험회피,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8(5), 565-577. 미소장
39 임수민 (2020.01.19.). 일반인보다 높은 의사⋅간호사 ‘자살률⋅암 발병률’. 데일리메디.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79534에서 2022년 6월 15일 인출. 미소장
40 임숙빈, 허명륜, 김세영, 안혜영, 강샛별, 김미송,... 조미소 (2014). 심리적 탄력성과 자기 통제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3(4), 278-287. 미소장
41 임효진, 강문선 (2017). 아동기 자기통제의 종단적 변화와 개인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28(3), 39-56. 미소장
42 전겸구, 김교헌 (1991).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제어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10(1), 137-158. 미소장
43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활 스트레스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미소장
44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미소장
45 정미현, 신미아 (2006).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70-177. 미소장
46 정주리, 김은영, 최승애, 이유정, 김정기 (2015).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325-349. 미소장
47 정하윤, 이경수 (2015).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3(3), 390-398. 미소장
48 정하윤, 정귀임 (2013).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학회지, 7(3), 149-160. 미소장
49 조향숙 (2009). 일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2(1), 3-14. 미소장
50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 2020 자살예방백서. 서울: 열림씨엔피. 미소장
51 차선경, 이은미 (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650-658. 미소장
52 최순옥, 김숙남 (2011). 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190-199. 미소장
53 최정현, 김도연 (2019). 여자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발달지원연구, 8(2), 55-67. 미소장
54 홍은주 (2017). 저출산, 고령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잠재경제성장률을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14(2), 1-23. 미소장
55 황은희, 김건희, 신수진 (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면의 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리스학회지, 11(3), 239-248. 미소장
56 Beck, A. T., & Lester, D. (1973). Components of depression in attempted suicides. The Journal of Psychology, 85(2), 257-261. 미소장
57 Davis, M. A., Cher, B., Friese, C. R., & Bynum, J. P. W. (2021). Association of US nurse and physician occupation with risk of suicid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sychiatry, 78(6), 651-658. 미소장
58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미소장
59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0 Kanfer, F. H. (1966). Self control and tolerance of noxious stimulation. Psychological Reports, 18, 79-85. 미소장
61 Margaret, J. H. (2014). Fundamental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nd ed.). 김수진, 강광순, 강명옥, 강서영, 권영란, 김상숙,... 최봉실 공역 (2018).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미소장
62 Reynolds, W. M.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Professional manual. Odesso,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