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공운법 제정에 따른 공공기관 이사회 권한 변화의 효과에 대한 분석 : 이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 이주경, 박한준 | p. 25-47 |
|
|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어두운 면과 최소화 정책 탐색을 위한 혼합연구 | 박현규, 김소정 | p. 49-73 |
|
|
우리나라에서 북한 행정은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 :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이대웅, 이다솔, 김춘순 | p. 75-106 |
|
|
지방정부의 합동평가와 자체평가의 연계에 관한 연구 : 측정체계를 중심으로 | 서영빈, 이윤식 | p. 107-135 |
|
|
사망의 사회적 비용 추정과 정부지출 관리에 대한 시사점 | 김용주 | p. 137-167 |
|
|
스타 연구자 초빙을 통한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사업(World Class University)의 장기 효과성 평가 | 김도한, 임지은 | p. 203-226 |
|
|
연구자 인식 조사로 도출한 건전 오픈 액세스 생태계 정책 방향 | 박건형 | p. 1-24 |
|
|
언론 성과보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 | 변솔휘, 이환성, 최유진 | p. 169-20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계승균. (2018), “미래기술발전과 지식재산권의 법적 성격의 변화,” <한국지식재산학회 논집> 제56권, 1-31. | 미소장 |
2 | 권찬호. (2019), “정보재의 특성이 집단지성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보재와 공공재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3권 제2호, 59-78. | 미소장 |
3 | 김규환. (2014), “국내 학회의 오픈엑세스 수용과 추진방식에 대한 제안,”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제3호, 111-131. | 미소장 |
4 | 김지현. (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9권 제3호, 413-436. | 미소장 |
5 | 문희진·강남규·이상환·정용일. (2020).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과학기술 정보유통에서 마이데이터까지,” |
미소장 |
6 | 박진서·윤진혁·이준영. (2019). “학술논문 데이터로 바라 본 부실학술지 게재비중의 국가별·분야별비교,” |
미소장 |
7 | 봉강호·배진호·박재민. (2019), “혁신 주체별 R&D 및 특허성과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연구. <지식재산연구> 제14권 제2호, 168-192. | 미소장 |
8 | 서정욱·현은희·박규리. (2022). <지식정보의 자유로운 접근을 위한 오픈액세스 국가정책>. 한국연구재단. | 미소장 |
9 | 이상환. (2020), “DMP, 연구데이터 공유와 활용의 시작,”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지> 제11권, 36-47. | 미소장 |
10 | 이진솔. (2015).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의 기관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 구축, 운영 사례,” <디지틀도서관> 제80권, 31-39. | 미소장 |
11 | 정경희. (2010).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수립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41권 제2호, 229-250. | 미소장 |
12 | 정경희. (2020). <오픈사이언스의 중심인 오픈액세스의 재단 시범 적용방안 연구>. 성대학교, 1-120. | 미소장 |
13 | 최미순·오세나. (2021). “중앙도서관 전자자료 구독 성과와 과제,” <서울대학교 도서관보> 제143권, 55-64. | 미소장 |
14 | 최인홍. (2018). “가짜 학술지와 가짜 학술대회의 특성과 피해 방지 방안,” <대한신경과학회지>제36권 제4호, 289-293. | 미소장 |
15 | Beall, Jeffrey. (2012) "Predatory publishers are corrupting open access." Nature 489.7415:179-179. | 미소장 |
16 | Beall, J. (2016). “Essential information about predatory publishers and journal.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86: 2-3. | 미소장 |
17 | Beugelsdijk, S., Witteloostuijn A., & Meyer, K. E. (2020). “A new approach to data access and research transparency(DART),”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51(6):887-905. | 미소장 |
18 | Björk, B-C. & Solomon, D. (2012). “Open access versus subscription journals: a comparison of scientific impact, BMC Medicine,” 10(1): 1-10. | 미소장 |
19 | Björk, B-C. (2017). “Growth of hybrid open access, 2009–2016. Peer J.,” 5(8): e3878. | 미소장 |
20 | Björk, B-C., Laakso, M., Welling, P., & Paetau, P. (2014). “Anatomy of green open acces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2): 237-250. | 미소장 |
21 | Bloom, T., Emma G., & Margaret W. (2014). “Data access for the open access literature:PLOS's data policy. PLoS Biol,” 12(2): e1001607. | 미소장 |
22 | Bohannon J. (2013). “Who’s afraid of peer review?. Science,” 342(6154): 60-65. | 미소장 |
23 | Boldt, A. (2011). “Extending ArXiv. org to achieve open peer review and publishing. Journal of Scholarly Publishing,” 42(2): 238-242. | 미소장 |
24 | Braunstein, S., A. & Maggie K. (2013). Open Access/Open Research/Open Government: The Full Cycle of Access to Government Information. | 미소장 |
25 | Brown, P. O., Cabell, D, Chakravarti, A., Cohen, B., Delamothe, T., Eisen, M., et al.(2003). Bethesda statement on open access publishing. (2003). DASH.HARVARD.EDU. | 미소장 |
26 | Cobey, K., D., Lalu, M. M., Skidmore B., Ahmadzai, N., Grudniewicz, A., Moher, D. (2018). “What is a predatory journal? A scoping review,” F1000 Research, 7: 1001. | 미소장 |
27 | Coleman, A. & Joseph R. (2005). “Open access feder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D-Lib Magazine, 11(12). | 미소장 |
28 | Darbyshire, P. (2018), “Fake news. fake journals. fake conferences. what we can do,”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7(9-10): 1727–1729. | 미소장 |
29 | Davis, P. M. (2011). “Open access, readership, cit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cientific journal publishing,” The FASEB journal, 25(7): 2129-2134. | 미소장 |
30 | Dell’Anno, R., Caferra, R. Morone, A. (2020) “A “trojan horse” in the peer-review process of fee-charging economic journals,” Journal of Informetrics, 14(3): 101052. | 미소장 |
31 | Drachen, T. M. (2018). Being a deliberate prey of a predator: Researchers’ thoughts after having published in predatory journal. Liber Quarterly, 28(1), 1-17. | 미소장 |
32 | Ojala, M., Reynolds, R., & Johnson, K. G. (2020). Predatory journal challenges and responses. The serials librarian, 78(1-4), 98-103. | 미소장 |
33 | Shaghaei, N., Wien, C., Holck, J. P., Thiesen, A. L., Ellegaard, O., Vlachos, E., & Drachen, T. M. (2018). Being a deliberate prey of a predator: Researchers’ thoughts after having published in predatory journal. Liber Quarterly, 28(1), 1-1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