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정완 (2019). 미술감상을 통한 유아 언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고정은 (2015). 내러티브를 활용한 유아 명화감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 미소장 |
4 | 교육인적자원부 (2005).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 활동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5 | 김경아 (2019).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명숙 (2018).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보배 (2020).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서연 (2020). 반응중심학습법에 기초한 미디어아트 감상교육 프로그램 연구: 고등학교미술교육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선월 (2003). 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선월 (2012). 자연의 미적 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성희 (2015). 이야기 꾸미기와 연계한 유아 미술 감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우영, 김영옥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263-290.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4.34.3.013 | 미소장 |
13 | 김정희 (2003). 미술과 반응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미술 교과의 반응중심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14(1), 2-40. | 미소장 |
14 | 김주연 (2018). 재활용(Object)중심 미술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하얀 (2014). 반응중심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전통미술 감상지도 방안 연구: 산수화 감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김헵시바 (2013). 감상수업을 연계한 창작영역 수업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남은정 (2011). 반응중심이론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감상지도 방안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류은주 (2011).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문세라 (2005).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문현경 (2014). 시각문화를 활용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박은선(2018). 유아를 위한 스토리텔링 현대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박지현 (2009). 명화 감상 활동이 초등학교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4학년 미술교과를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박춘희 (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박화윤, 안라리, 천은영 (2001). 유치원 유아의 인물 묘화 발달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11-135. | 미소장 |
25 | 박혜훈 (2018). 유아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백중열, 오현숙 (2006). (교사를 위한) 아동미술교육의 이해. 경기도 고양: 공동체. | 미소장 |
27 | 변지은 (2013). 대화중심 감상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변혜영 (2007). 초등학교 미술교과에서 반응중심이론에 의한 감상 교수-학습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서울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2004). 유아미술교육학. 서울: 학문사. | 미소장 |
30 | 서혜영 (2018). 반응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방안: 대중미술 비교 감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손소미 (2013). 놀이와 자기표현의 개념을 통한 창의미술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신재한 (2012).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54, 67-86. doi: http://dx.doi.org/10.17253/swueri.2012.54..003 | 미소장 |
33 | 신종호, 조은별, 문지원, 민지연, 최예은, 백근찬 (2016). 창작과 감상 예술경험이 창의적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6(1), 1-22. | 미소장 |
34 | 우희진 (2002). 미취학 아동미술교육에 있어서 창의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재료기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유경민 (2010). 오브제를 활용한 창의적인 표현활동 연구-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유주영 (2016). 언어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비평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반응중심 모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윤혜란 (2004). 명화감상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8 | 이소영 (2012). 감상 반응중심이론에 기초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이수경, 이부미 (2006).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조형연구, 28, 267-295. | 미소장 |
40 | 이인숙 (2001). 유아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1 | 이은영 (2020). 반응중심이론에 기초한 유아 현대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1243-1270.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21.1243 | 미소장 |
42 | 이현아 (2015). 초등미술교육의 이해.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43 | 장순미 (2008). 미술관 방문 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및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장영숙, 윤경아 (2005).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3), 97-110. | 미소장 |
45 | 장지윤 (2020). 하브루타를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및 의사소통에미치는 영향. 경인여자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장혜진, 이성희 (2006).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영향. 인문논총, 13-37. | 미소장 |
47 | 전경원 (1999).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48 | 전은주 (2011). 반응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 미술수업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정미경 (1999). 미적 요소에 기초한 활동 중심 통합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조성미 (2016). 존 듀이의 ‘하나의 경험’으로서 미술창작과정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조성욱, 권세경 (2015).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3, 409-418. | 미소장 |
52 | 조은정 (2009). 극놀이와 연계한 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지성애 (2009). 극화활동을 활용한 유아 미술감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및 그리기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9(2), 5-26. doi: http://dx.doi.org/10.18023/ kjece.2009. 29.2.001 | 미소장 |
54 | 지성애 (2015).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9(6), 337-369. | 미소장 |
55 | 지성애, 김성희 (2013). 유아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1), 5-29. | 미소장 |
56 | 최다혜 (2019). 창작활동과 연계한 미술감상·비평 활동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예술 고등학교 미술전시회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69, 89-121. doi: http://dx.doi.org/10.25297/AER. 2019.69.89 | 미소장 |
57 | 최선희 (2012). 명화감상 워크시트를 활용한 감성지능 신장: 초등학교 6학년 수업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8 | 허 균 (2013). 옛 그림으로 보는 법. 파주: 돌베개. | 미소장 |
59 | Anderson, T., & Milbrandt, M. (2005). Art for life: A framework and strategies for authentic instructidnn art. New York, NY: Mc Graw-Hill. | 미소장 |
60 | Feeney, S., & Moravick, E. (1987). A thing of beauty: Aesthet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2(6), 6-15. | 미소장 |
61 | Feldman, E. B. (1992). Thinking About Ar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62 | Geahigan, G. (1997). The discipline of art Criticism: Implications for practice. Visual Arts Research, 23(2), 145-157. | 미소장 |
63 | Herberholz, B., & Hanson, L. (1995). Early Childhood Art (4rd ed.). Dubuque, IA: Arn. C. Brown. | 미소장 |
64 | Koster, J. B. (2012). Growing artists: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 (5th ed.). Albany, NY:Delmar Publishers INC. | 미소장 |
65 | Lowenfeld, V. (1993).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Creative and Mental Growth]. (서울대미술교육연구회 역). 서울: 미진사. (원저 1947 출판) | 미소장 |
66 | Moorefield-Lang, H. M. (2008). The relationship of arts education to stud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in rural middle schools. Chapel Hill, NC: North Carolina University Press. doi: https://doi.org/10.17615/qqjf-t427 | 미소장 |
67 | NAEA. (1998). Purpos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art programs. Reston, VA: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 미소장 |
68 | Preissler & Bloom. (2008). Two-Year-Olds Use Artist Intention to Understand Drawings. Cognition, 106, 512-518. doi: https://doi.org/10.1016/j.cognition.2007.02.002 | 미소장 |
69 | Savva, A. (2003). Young pupils' responses to adult works of art.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4(3), 30-31. doi: https://doi.org/10.2304/ciec.2003.4.3.6 | 미소장 |
70 | Schirrmacher, R., & Fox, J. E. (2009).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Albany, NY: Delmar Thomson Learning. | 미소장 |
71 | Seefeldt, C., & Barbour, N. (1998). Early childhood education (4th ed.).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 | 미소장 |
72 | Waszkielewicz, I. (2006). Encounters with art: The psychological impact of art museum visitati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Brunswick, NJ, US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