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만 4세 바다반 유아가 경험하는 행복과 그 의미에 관한 교사의 인식 변화 =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about happiness and meaning experienced by 4-year-old children in the Bada class / 박지연 ; 고지민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연구방법 4
1. 연구참여자 4
2. 자료수집 및 분석 5
Ⅲ. 연구결과 7
1. 바다반 유아들이 느끼는 행복 7
2. 바다반의 행복을 통한 교사의 시선 변화 13
Ⅳ. 논의 및 결론 19
참고문헌 24
ABSTRACT 2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 | 권대원, 이영림 (2013). 달라이 라마 행복론이 유아 인성교육에 주는 제언. 생태유아교육연구, 12(3), 33-56. | 미소장 |
4 | 권석만 (2011).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5 | 권혜진 (2021). 코로나19(COVID-19) 감염증에 대응하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관리직무와 수행경험.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57-74. | 미소장 |
6 | 김계중 (2015). 유아의 행복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접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민성 (2016). 우리나라 아동들은 왜 행복하지 않은가?: “정서로서의 행복”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감. 아동교육, 25(2), 5-24. https://dx.doi.org/10.17643/KJCE.2016.25.2.01 | 미소장 |
8 |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https://dx.doi.org/10.18023/kjece.2013.33.3.016 | 미소장 |
9 | 김성숙, 임부연 (2015).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5(4), 397-424. https://dx.doi.org/10.18023/kjece.2015.35.4.018 | 미소장 |
10 | 김순희, 한미림, 김경숙 (2018).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문제행동이 또래상황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8(4), 107-127. https://dx.doi.org/10.21214/kecse.2018.18.4.107 | 미소장 |
11 | 김용숙, 민선희 (2018). 영유아 행복 연구동향 분석: 영유아,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9(1), 1-17. | 미소장 |
12 | 김혜전, 홍용희 (2012). 자연유치원 만 5세아의 그림그리기 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43(4), 57-88. | 미소장 |
13 | 문용린 (2014). 행복교육. 서울: 리더스북. | 미소장 |
14 | 박병기, 김미애, 이세현, 권태순, 김지영, 이시은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경험: 여섯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아동교육, 23(3), 205-224. | 미소장 |
15 | 박상미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5), 83-91. https://dx.doi.org/10.14367/kjhep.2020.37.5.83 | 미소장 |
16 | 백지혜, 윤유진 (2016). 행복에 대한 유아의 인식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20(1), 311-332. | 미소장 |
17 | 보건복지부 (2020).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20년∼2024년).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8 | 서승은, 이영진, 박수경 (2021).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이 바라본 유아의 유치원 적응 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387-40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2.387 | 미소장 |
19 | 서은국 (2014). 행복의 기원: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파주: 21세기북스. | 미소장 |
20 | 신현정, 제희선 (2019).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유아의 행복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231-252. https://dx.doi.org/10.30761/ecoece.2019.18.1.231 | 미소장 |
21 | 아동권리보장원 (2020). 코로나19 대응 아동실태조사. https://www.ncrc.or.kr/에서 2021년 12월 1일에 인출. | 미소장 |
22 | 안지령 (2020).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반영된 교사전문성 인식 및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263-280. https://dx.doi.org/10.22251/jlcci. 2020.20.16.263 | 미소장 |
23 | 양수영 (2022). 코로나 19 상황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563-576.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563 | 미소장 |
24 | 연미숙 (2004). Journal 쓰기를 이용한 영어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오경순, 윤현숙 (2019).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 구조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267-291. https://dx.doi.org/10.30761/ecoece.2019.18.3.267 | 미소장 |
26 | 오인애 (2020). 유아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오향지, 임부연 (2021). ‘코로나 위드’시대 유아교육공간의 대안으로서 바깥놀이의 가치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237-1267. https://dx.doi.org/10.22251/jlcci.2021.21.1.1237 | 미소장 |
28 | 우채영 (2019). 공자의 관점에서 본 행복교육의 의미: 『논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28(3), 5-20. https://dx.doi.org/10.17643/KJCE.2019.28.3.01 | 미소장 |
29 | 유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6), 75-100. https://dx.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 미소장 |
30 | 이경민 (2016).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한 유아기 행복의 구성요인과 측정방법 탐색. 유아교육연구, 36(1), 499-514. https://dx.doi.org/10.18023/kjece.2016.36.1.022 | 미소장 |
31 | 이경민, 윤혜경, 변소연 (2016). 유아행복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사와 부모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2), 497-514. https://dx.doi.org/10.18023/kjece.2016.36.2.021 | 미소장 |
32 | 이용숙, 김영천 (2012).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33 | 이조은, 김태경 (2016). ‘웃는 선생님(laughing teacher)’: 유아교사의 실존과 웃음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201-224. https://dx.doi.org/10.20437/KOAECE21-4-09 | 미소장 |
34 | 이효숙, 조준수 (2015). 유아 행복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680-685. https://dx.doi.org/10.5392/JKCA.2015.15.11.680 | 미소장 |
35 | 임승렬, 전방실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4), 21-47. https://dx.doi.org/10.22154/JCLE.21.4.2 | 미소장 |
36 | 전희정, 이유미 (2015). 유치원 방과 후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느끼는 행복의 의미.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5(1), 21-44. | 미소장 |
37 | 조선희, 강문숙 (2014). 행복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인식 연구. 사고개발, 10(4), 143-162. | 미소장 |
38 | 조소담, 박수경 (2021). 그림표상활동을 통해 살펴본 유아들의 코로나19 상황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20(4), 23-46. https://dx.doi.org/10.30761/ecoece.2021.20.4.23 | 미소장 |
39 | 조현서, 전경원 (2014).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4(2), 75-92. | 미소장 |
40 | 지옥정, 김경숙 (2020).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의 교사 역량향상에 대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40(4), 109-133. https://dx.doi.org/10.18023/kjece.2020.40.4.005 | 미소장 |
41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20). 나에게 2020년은? 아이들이 평가하는 2020년 코로나 한해. https://www.childfund.or.kr/에서 2021년 12월 1일 인출. | 미소장 |
42 | 최고은, 이경화 (2018).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체험하는 행복의 실존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165-190. https://dx.doi.org/10.22251/jlcci.2018.18.3.165 | 미소장 |
43 | 최관경, 최두진, 류밍위에 (2017). 행복의 선순환을 낳는 교사의 역할. 교사교육연구, 56(3), 336-349. https://dx.doi.org/10.15812/ter.56.3.201709.336 | 미소장 |
44 | 최명희 (2016). 교사다움: 영유아 교사를 위한 인성 지침서. 고양: 공동체. | 미소장 |
45 | 탁정화 (2016). 행복교육을 위한 유아강점의 개념정립: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5), 441-466. https://dx.doi.org/10.18023/kjece.2016.36.5.018 | 미소장 |
46 | 편해문 (2020).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아이와 함께 놀이의 길을 찾는 벗들께. 고양:소나무. | 미소장 |
47 | 허무열, 정은영, 전미란 (2021). 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창의정보문화연구, 7(1), 31-41. https://dx.doi.org/10.32823/jcic.7.1.202102.31 | 미소장 |
48 | 허수향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아 숲교육의 의미.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3(2), 71-89. | 미소장 |
49 | 홍용희, 김혜전, 전우용 (2014).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육아지원연구, 9(4), 131-158. https://dx.doi.org/10.16978/ecec.2014.9.4.006 | 미소장 |
50 | 황해익 (2017).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행복에 대한 주관적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학논집, 21(2), 31-52. | 미소장 |
51 |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 미소장 |
52 | 황해익, 박리나, 채혜경 (2017).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 행복에 대한 주관성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유아교육학논집, 21(2), 31-52. | 미소장 |
53 | Christakis, N. A. & Fowler, J. H. (2010). 행복은 전염된다 [Connected:the surprising power of our social networks and how they shape our lives ]. (이충호 역). 파주: 김영사. (원전 2010년 출판) | 미소장 |
54 | Csikszentmihalyi, M. (2004). 몰입 [Flow].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원전 2004년 출판) | 미소장 |
55 |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3), 218-226.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 미소장 |
56 | Lyubomirsky, S. (2013. Oct). The How of Happiness: Science, Practice, and Implications. 행복 교육의 국제적 조망. 서울국제교육포럼 자료집, 43-105. 서울: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 | 미소장 |
57 | Noddings, N. (2003). 행복과 교육 [happiness and education ]. (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공역). 서울: 학이다. (원전 2003년 출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