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코로나19 신속진단검사는 얼마나 정확한가? = How accurate are rapid diagnostic tests for covid-19? / 여인권 1

Abstract 1

1. 서론 1

2. 민감도, 특이도, 확진비율의 관계 2

2.1. 확진 비율 및 확진 건수 추정 3

2.2. 음성(-) 판정 중 확진의 비율 추정 4

2.3. 신속진단키트의 민감도 추정 4

3. 실증분석 5

4. 결론 7

References 7

요약 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설명변수가 랜덤인 선형 프로파일 연구 = Linear profile monitoring with random covariate 김다은, 이성임, 임요한 p. 335-346

보기
비대칭 금융 시계열을 위한 다중 임계점 변동성 모형 = Multiple-threshold asymmetric volatility models for financial time series 이효령, 황선영 p. 347-356

보기
절단자료에 대한 Tobit과 Heckit 모형의 이해와 활용 =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tobit and heckit models for censored data 김정환, 장민아, 조형준 p. 357-370

보기
ℓ1 추세필터의 변화점 식별에 있어서의 비일치성 = An empirical evidence of inconsistency of the ℓ1 trend filtering in change point detection 유동현, 임요한, 손원 p. 371-384

보기
단변량 시계열 모형들의 단순 결합의 예측 성능 = Performance for simple combinations of univariate forecasting models 이선홍, 성병찬 p. 385-393

보기
다변량 장기 종속 시계열에서의 이상점 탐지 = Outlier detection for multivariate long memory processes 김경희, 유승연, 백창룡 p. 395-406

보기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한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 및 불량 패턴 탐지 = Wafer bin map failure pattern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정주원, 정윤서 p. 407-419

보기
Chatterjee의 ξ 계수에 대한 탐색적자료분석 = Exploratory data analysis for Chatterjee’s ξ coefficient 장대흥 p. 421-434

보기
코로나19 신속진단검사는 얼마나 정확한가? = How accurate are rapid diagnostic tests for covid-19? 여인권 p. 435-443

보기
고차원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대한 변분 베이즈 방법 소개 = Introduction to variational Bayes for high-dimensional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장인송, 이경재 p. 445-455

보기

참고문헌 (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aden LR, El Sahly HM, Essink B, et al. (2021). E cacy and safety of the mRNA-1273 SARS-CoV-2 vaccin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4, 403–416. (DOI: 10.1056/NEJMoa2035389) 미소장
2 CDC (2012). Principles of Epidemiology in in Public Health Practice 3th Ed, 3–48 – 3–50, Atlanta, GA. 미소장
3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21). Considerations in COVID-19 vaccines development. 미소장
4 Polack FP, Thomas SJ, Kitchin N, et al. (2020). Safety and effcacy of the BNT162b2 mRNA Covid-19 vaccin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3, 2603–2615.(DOI: 10.1056/NEJMoa2034577) 미소장
5 Voysey M, Clemens SAC, Madhi SA, et al. (2021). Safety and effcacy of the ChAdOx1 nCoV-19 vaccine (AZD1222) against SARS-CoV-2: an interim analysis of four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in Brazil, South Africa, and the UK, Lancet, 397, 99–11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