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일본 측 정보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운동가 김성숙의 1920년대의 활동 궤적과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3·1운동 후 김성숙이 국외의 활동지로서 중국 북경을 선택한 이유와 함께, 북경에서 김성숙이 발간한 잡지 『혁명』을 주목하여 김성숙의 사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 『혁명』을 김용찬과 양명을 중심으로 파악해온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 잡지는 김성숙이 주필로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주의와 주장을 피력했다는 점을 논증했다. 그 과정에서 『혁명』 3호를 처음으로 발굴, 소개하였다.
김성숙의 북경 유학 후, 일제 측 자료에 그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토 가츠미의 1925년 3월의 보고서이다. 김성숙은 1923년 초 북경에 유학한 후 1924년 중에는 북경유학생 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했으며 1925년부터 중국공산당과 소비에트 대사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잡지 『혁명』을 발간했다. 그는 이 잡지를 통하여 자신의 공산주의 이론을 피력했다.
1926년 초 중국혁명의 중심지로 부상한 廣東으로 이동하여 1927년 12월까지 무장독립운동을 준비하며 중국공산혁명운동에 가담했다. 광동봉기 실패 후 1928년 중산대학을 졸업하고 상해로 피신했다가 1930년에 다시 중산대학 일본어교수로 한인 혁명가 사회에 복귀했다.
그는 공산주의 이론가이면서도, 식민지 조선의 독립운동은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맞는 방법에 따라 추진해야 한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소비에트, 중국, 일본의 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해야하지만, 어디까지나 중심축은 식민지 현실 속에 있는 조선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공산주의 이론을 신봉하면서도 그 도그마에 빠지지 않을 수 있었고, 어느 한 파의 입장을 대변하기보다 토론을 통해 통일된 독립운동의 방략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1927년 광저우 봉기에 참여하기까지 자신의 운동노선에 큰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무산대중을 중심으로 한 무장투쟁만이 독립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며, 중국의 혁명은 임박했고, 중국의 혁명이 먼저 성공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을 위한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중국혁명 지원에 참여했다. 이 시기에 그의 신념은 매우 굳건했기 때문에 廣東 봉기의 실패로 인한 나락은 더욱 깊었을 것이다.
한편, 김성숙의 사상 형성 과정에서 헤겔 사상과의 만남은 승려에서 독립운동가로 변신한 점이나, 또한 폭력을 예술이라고 여기는 독립운동 방략 도출이 결코 불교적 가치관과 모순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에게 폭력이란 단순히 원수를 응징하기 위한 물리적 힘을 의미한다기 보다, 과거의 ‘보수적, 소극적, 숙명적, 과거 중심적, 남성 중심적, 봉건적’인 가치관을 버리고 새로 태어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인식되었다. 그야말로 ‘파괴야말로 창조의 어머니’이며, 독립된 조선은 과거의 조선과 전혀 다른 ‘새로운 조선’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신념이 그의 독립운동의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廣東 봉기의 실패, 수많은 조선 청년들의 죽음, 그리고 두군혜라는 여인과의 만남은 그에게 새로운 시련이자 반성과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켰을 것이 예상된다. 이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는 데에 있어서 또 다른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조선일보』 | 미소장 |
3 | 『현대평론』 | 미소장 |
4 | 『혁명』 3호(1925.3.1),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の部ー在滿洲の部41』 ,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5 | 『조선총독부급 소속관서직원록』(1922). | 미소장 |
6 | 『조선경찰직원록』(1925). | 미소장 |
7 | 『조선경찰직원록』(1930). | 미소장 |
8 | 『조선총독부관보』. | 미소장 |
9 | 木藤克己, 「北京天津及附近在住朝鮮人の狀況」 1925.3, 일본아시아역사자료센터. | 미소장 |
10 | 「中國共産黨最高機關及北方區各機關」, 조선총독부 경무국, 1926.10.30, 일본 아시아 역사자료센터. | 미소장 |
11 | 『朝鮮人に対する施政關係雜件一般の部2』,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2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の部, 在西比利亞1』,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3 | 『不逞団関係雑件ー朝鮮人の部, 在支那各地3』,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4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の部, 在支那各地4』,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5 |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6 | 『신문지요람』, 1926, 경성지방법원 검사국문서,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7 | 『사상문제에 관한 조사서류1』, 경성지방법원검사국,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8 | 「(허장환) 신문조서」, 『경성지방법원 형사사건기록』(1038),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 미소장 |
19 | 『한림, 허장환 형사소송기록(치안유지법 위반) 공산화독립운동 비밀결사, 혁명사사건 기록』,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 미소장 |
20 | 「김용찬 신문조서」, 『경성지방법원 형사사건 기록』 738,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 미소장 |
21 | 『정보 1』(100-4-033), 고려대학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 | 미소장 |
22 | 『정보-2』(100-4-034), 고려대학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 | 미소장 |
23 | 『정보-3』(100-4-035), 고려대학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문서 컬렉션. | 미소장 |
24 | 山口義三, 『階級鬪爭史論』, 大鐙閣, 1920. | 미소장 |
25 | クロポトキン著, 大杉榮譯, 『青年に訴う』, 同工社, 1922. | 미소장 |
26 | イ·ワインシュタイン著, 直井武夫譯, 『ヘーゲル弁証法批判』, 春陽堂, 1931. | 미소장 |
27 | 『한국독립운동사자료』 37(해외언론운동편), 국사편찬위원회, 2001. | 미소장 |
28 | 『일본외무성 특수조사문서』 59집(1927~1938), 고려서림, 1999. | 미소장 |
29 | 『外務省警察史』 30권, 不二出版, 1999. | 미소장 |
30 | 『外務省警察史』 45권, 不二出版, 2000. | 미소장 |
31 | 『外務省警察史』 53권, 不二出版, 2001. | 미소장 |
32 |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 자유문고, 1982. | 미소장 |
33 | 김준엽, 『장정』, 나남, 1987. | 미소장 |
34 |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제삼기획, 1994. | 미소장 |
35 | 이정식 면담, 김학준 편집, 『혁명가들의 항일회상(개정판1쇄)』, 민음사, 2005. | 미소장 |
36 | 님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아리랑(개정3판)』, 동녘, 2005. | 미소장 |
37 | 『Song of Ariran』. | 미소장 |
38 | 『30년 방랑기: 유기석 회고록』, 국가보훈처, 2010. | 미소장 |
39 | 石川忠雄, 『中國共産黨史硏究』, 慶應通信, 1959. | 미소장 |
40 | 김영범, 『한국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 미소장 |
41 | 김영범, 『혁명과 의열』, 경인문화사, 2010. | 미소장 |
42 |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 미소장 |
43 | 손염홍, 『북경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 역사공간, 2010. | 미소장 |
44 | 운암김성숙선생 기념사업회 편, 『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선인, 2013. | 미소장 |
45 | 미즈노 나오키, 「황포군관학교와 조선의 민족운동」, 조선민족운동사연구 6, 1989. | 미소장 |
46 | 리정문, 「조선족 전사 남창봉기에 참가하다」 『조선족백년사화』 2, 거름, 1989. | 미소장 |
47 | 최봉춘, 「중산대학과 1920년대 조선인의 혁명운동」, 『사학연구』 48, 1994. | 미소장 |
48 | 박종린, 「1920년대 ‘통일’ 조선공산당의 결성과정」, 『한국사연구』 102, 1998. | 미소장 |
49 | 박종린, 「김윤식 ‘사회장’ 찬반논의와 사회주의세력의 재편」, 『역사와 현실』 38, 2000. | 미소장 |
50 | 장세윤, 「중국공산당의 광주봉기와 한인 청년들의 활동」, 『사림』 24, 2005. | 미소장 |
51 | 손염홍, 「1920년대 중국지역에서 전개한 김성숙의 민족혁명과 사회주의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44, 2008. | 미소장 |
52 | 조규태, 「1920년대 북경지역 한인유학생의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0, 2008. | 미소장 |
53 | 조규태, 「1920년대 재북경 한인 革命社의 『혁명』 발간과 혁명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6, 2010. | 미소장 |
54 | 김광식, 「김성숙의 정치이념과 민족불교」, 『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선인, 2013. | 미소장 |
55 | 안종수, 「헤겔과 불교」, 『철학논총』 82, 2015. | 미소장 |
56 | 박종식·김준수, 「칸트와 헤겔의 자아에 관한 연구: 유식철학의 알라야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1」, 『동아시아불교문화』 28, 2016. | 미소장 |
57 | 임경석, 「독립운동가 찍어낸 밀정계의 대부」, 『한겨레21』 1216호, 2018.6.1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