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글은 인물관계를 통해 김성숙의 민족운동의 여정 및 그의 사상적 지향점을 살펴본 것이다. 김성숙은 서대문형무소에서 불교 공부 경험이 있는 김사국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사상에 공감해 갔다. 한편 김성숙이 참여한 불교계의 유신 운동도 ‘평등’ 등 사회주의 사상을 주창하였으므로, 유신 불교의 입장에서 사회주의 사상에 접근하였다.
베이징에서 장건상, 양명, 김용찬 등 공산주의사상을 수용하거나 선전하고 있는 인물들과 같이 활동하면서 그의 사회주의 사상도 더 심화되고 체계화되었다. 그의 사상은 민족의 해방과 독립에 기초를 둔 반자본주의적인 평등사회를 지향한 것으로 계급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하는 조공과 관련 있는 양명과 김용찬 등과 차이가 있었다. 그는 중국의 국공합작에 의한 혁명성공을 통한 민족의 해방과 독립에 희망을 걸고 광저우를 향했다. 광저우에서 의열단을 ‘정치정당’으로 개편시키는 과정에서 김원봉과 가깝게 지내면서 유자명과 거리가 멀어졌다. 광저우에서 의열단을 통해 드러난 그의 혁명이론과 사상은 국민당 좌파와 유사했고, 민족통일전선의 결성에 중국 1차 국공합작의 방식처럼 ‘개인주의’를 주장했다.
광저우봉기 실패 후 저술, 이론 연구 및 번역 등 일에 종사하는 동안 김원봉과 유자명은 각각 세력을 키워 갔지만 김성숙은 다시 민족운동에 나서려고 했을 때 주변에 같이 할 사람이 여의치 않았다. 그래서 김성숙은 박건웅, 김산 등 옛 의열단 동지들과 우선 공산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결속하고 민혁당에서 이탈해 나온 이들을 포섭하려는 전략을 폈으며 해방동맹을 결성했다. 그러나 뤄양에서 조선의용대 대원의 북상 및 임정 참여의 문제를 둘러싸고 옌안행을 주장하는 세력과 대립하는 상황에서 해방동맹은 재건을 선언해 자기들만의 노선을 개척해나갔다. 이때 김재호, 신정완을 비롯한 옌안행 반대 인사들이 해방동맹에 가담한 것으로 짐작된다.
해방동맹의 임정 참여는 정세의 변화에 따른 민족운동 노선의 전략적인 전환이지 사상적인 전환까지는 아니었다. 광복군 총사령부 창립 이후부터 김성숙은 ‘단체주의’적 연합전선 조직론을 고수한 채 임정의 외무부장인 조소앙과 만나 임정참여에 대한 사전협의를 한 것 같다. 그래서 그와 그의 맹원들은 선전위원회를 통해 임시의정원과 정부 기관에 완만하게 진출할 수 있었고 김성숙은 해방동맹을 배경으로 국무위원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이들은 임정 속에서 약헌개정 및 정부개조를 통해 자신들이 지향하는 민족해방과 ‘평등’, ‘민중’, ‘민주’ 등 반자본주의의 사회주의적인 이념과 가치를 실현하려고 했다.
중국인과의 관계에 있어 특히 중국공산당의 저우언라이와의 관계가 돈독했다. 그리고 부인 두쥔훼이를 통해 중국의 좌익작가들과도 같이 활동했다. 국민당측 인사에 대해서는 광저우봉기 직후 ‘백색테러’의 강압적인 상황에서 거리를 두었지만 중일전쟁 발발 이후 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지면서 태도가 달라졌다. 그래서 중국국민당의 대한정책의 핵심인물 주자화와 접촉해 지원을 받으려고 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조선일보』 | 미소장 |
3 | 木藤克己, 「北京 天津附近在住 朝鮮人의 狀況 報告書 進達의 件」, 『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 4(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haf_095_0210). | 미소장 |
4 | 「북경에서의 조선인의 赤化 및 독립운동」, 『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의 부-在支那各地』 3(국편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haf_071_0300). | 미소장 |
5 | 「北京에서의 鮮人 學生團體의 狀況에 관한 件」,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 4(국편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haf_072_0430). | 미소장 |
6 | 「한국독립운동: 중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과 관련된 비망록」, 『임정자료집』 24(국편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ij_024_0020_00030_0040). | 미소장 |
7 | 「제38차 임시의정원 회의에 대한 보고(2급 비밀)」, 『임정자료집』 13(국편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ij_013_0010_00460). | 미소장 |
8 | 慶尙北道警察部, 『高等警察要史』, 1934. | 미소장 |
9 | 秋憲樹 편, 『자료 한국독립운동』 2, 연세대출판부, 1972. | 미소장 |
10 | 김준엽·김창순 공저,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제5권,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86. | 미소장 |
11 | 楊昭栓 편, 『關內地區朝鮮人反日運動資料匯編』 하, 遼寧民族出版社, 1987. | 미소장 |
12 | 국가보훈처, 『韓國獨立運動史料』, 1999. | 미소장 |
13 | 신정완, 『해공 그리고 아버지: 令愛 申貞婉 手記』, 성진사, 1981. | 미소장 |
14 |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 나의 회고록』, 자유문고, 1982. | 미소장 |
15 | 김산·님 웨일즈 지음, 조우화 옮김, 『아리랑』, 동녘, 1984. | 미소장 |
16 | 김학철, 『최후의 분대장』, 문학과지성사, 1995. | 미소장 |
17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유자명수기: 한 혁명자의 회억록』, 1999. | 미소장 |
18 | 이정식 면담, 김학준 편집해설, 김용호 수정증보, 『혁명가들의 항일회상』(개정판), 민음사, 2005. | 미소장 |
19 | 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군관학교』, 문학과지성사, 1994. | 미소장 |
20 | 김영범, 『한국 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 미소장 |
21 |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운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 선인, 2013. | 미소장 |
22 | 力平, 『周恩來一生』, 中央文獻出版社, 2001. | 미소장 |
23 | 金喜坤, 「韩國唯一獨立黨促成會에 대한 一考察」, 『韓國學報』 33, 일지사, 1983. | 미소장 |
24 | 양영석, 「조선민족해방동맹의 노선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4집, 독립운동사연구소, 1990. | 미소장 |
25 | 김봉춘, 「중산대학과 1920년대 조선인의 혁명운동」, 『사학연구』, 한국사학회, 1994. | 미소장 |
26 | 金光載, 「조선청년전위동맹의 결성과 변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1, 1999. | 미소장 |
27 | 전명혁, 「해광 김사국의 삶과 민족해방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23, 한국근현대사학회, 2002. | 미소장 |
28 | 최기영,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36집, 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 미소장 |
29 | 조규태, 「1920년대 재북경 한인 혁명사의 『혁명』 발간과 혁명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36, 2010. | 미소장 |
30 | 장석흥, 「해공 신익희의 망명과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한국학논총』 3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 미소장 |
31 | 「周恩来与黄埔军校的政治工作」, 『陕西师范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1997년 9월 제26권 제3기. | 미소장 |
32 | 鮑學謙, 「朱家驊其人其事」, 『文史春秋』, 1999年 2期. | 미소장 |
33 | 禹尙烈, 「郭沫若與朝鮮人」, 『當代韓國』, 2002년 봄호. | 미소장 |
34 | 秦立海, 「郭沫若的党籍真相」, 『文史天地』, 2010(7). | 미소장 |
35 | 裴 植, 「朱家驊先生與韓國革命團體關係考」, 『现代企业教育』, 2012(20). | 미소장 |
36 | 陈予欢, 「周恩来與黄埔军校」, 『黄埔』 黄埔军校同学会, 2018년 제2기.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