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중학생의 행복과 자존감의 상호인과적 관계와 학년별 잠재평균의 차이 =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and grade latent mean differences of happiness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students | 최희철 | p. [1-2], 5-36 |
|
|
초기 성인기 진로독립성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types of changes in career independence in early adulthoo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 송승원, 권희경 | p. [1-2], 37-63 |
|
|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s on vocabulary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은주, 양정실 | p. [1-2], 65-89 |
|
|
대학에서 성과보상체계는 작동하는가? :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D incentive / 연구개발능률성과급의 효과 분석 | 이진권 | p. [1-2], 91-11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재용. (2010) .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분석. 한글, 290, 265-294. | 미소장 |
2 | 교육부. (2019) .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 보도자료. (2019. 3. 29.) | 미소장 |
3 | 교육부. (2021) . 2021년 교육기본통계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21. 8. 26.) | 미소장 |
4 | 권석일, 박교식. (2011)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 미소장 |
5 |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미소장 |
6 | 김애화, 김의정, 김자경, 최승숙. (2012) .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7 | 김한샘. (2009) .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09-01-65. | 미소장 |
8 | 김화수, 이숙, 서지희, 정다은, 천정민, 최경윤. (2015) . 초등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 어휘 분석.언어치료연구, 24(4), 33-44. | 미소장 |
9 | 김화수, 천정민, 최경윤, 최성희. (2016) . 학령기 언어장애 아동의 어휘 교수를 위한 초등학교 1~2학년국어 교과서 내용어 분석: 2009 개정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12(3), 176-181. | 미소장 |
10 | 민현식. (2003) .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2003-1-28. | 미소장 |
11 | 박교식, 임재훈. (2005)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무정의 용어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97-213. | 미소장 |
12 | 박교식. (2011) .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적합성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1(4), 361-378. | 미소장 |
13 | 방정숙, 권미선. (2016) .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의 어휘 적정성 분석. 학교수학, 18(4), 903-922. | 미소장 |
14 | 서종학. (2000) . 교과서 어휘의 조사 단위 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원 2000-1-5. | 미소장 |
15 | 신명선. (2001)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교과서 어휘의 계량적 고찰- 6차 1학년 읽기 교과서와 7차 1학년 읽기 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8, 53-76. | 미소장 |
16 | 양정실, 권점례, 신호재, 박재현, 오필석, 이미미. (2015) .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5-14. | 미소장 |
17 | 안병곤. (2015) . 현행 초등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선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89-394. | 미소장 |
18 | 이경화, 전제응. (2007) . 국어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문식성 지도 실태와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277-308. | 미소장 |
19 | 이기연. (2015) .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어휘 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669-689. | 미소장 |
20 | 이승왕. (2012) .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 지도의 주안점. 국어교과교육연구, 20, 197-219. | 미소장 |
21 | 이종태, 이찬승, 구수경, 최지명. (2018) . 초등학생의 교과 어휘력 격차-거주환경과 가정 배경 등에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21세기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1. 서울: 교육을바꾸는 사람들. | 미소장 |
22 | 장혜원, 임미인. (2016) .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 미소장 |
23 | 정은주, 류귀성. (2015)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평가 실태 - 서울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6(2), 573-596. | 미소장 |
24 | Haggarty, L., & Pepin, B. (2002) .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use in English, French, and German classrooms: Who get an opportunity to learn what?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8(4), 567-590. | 미소장 |
25 | Reys, B. J., Reys, R. E., & Chavez, O. (2004) . Why mathematics textbooks matter. Educational Leadership, 5(61), 61-66. | 미소장 |
26 | Cunningham, A. E., & Stanovich, E. E. (1991) . Tracking the unique effects of print exposure in children: Associations with vocabulary, general knowledge, and spell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264-274. | 미소장 |
27 | Weinberg, A., & Wiesner, E. (2011) . Understanding mathematics textbooks through reader-oriented theo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6, 49–6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