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고에서는 연해주 남부와 중도 레고랜드에서 발굴된 말갈 관련 자료를 통하여 한반도의 중심에서 남부지역과 북방 유라시아를 연결하는 중부지역의 지리적인 특성을 새롭게 강조했다. 중부지역은 지리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북쪽으로 북한이라는 인위적 경계에 막혀있다. 한국 고고학의 연구의 범위는 북한과 만주를 포괄하지만, 실제 발굴조사는 남한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지리적 상황과는 다르게 고립적인 위치에 처해있다. 중부지역의 지리적 상황, 즉 환동해를 중심으로 하여 연해주에서 백두대간으로 이어지는 산악지형과 한강의 하류라는 평야지대가 공존하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한반도 중부지역의 고고학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도 레고랜드의 고구려와 말갈토광묘, 그리고 연해주 자레치노예 출토의 신라 환두대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서기 4세기 이후 고고학적으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말갈의 양상을 볼 때 강원도와 연해주 지역을 분리해서 생각할 것이 아니라 비슷한 지형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이며, 이들이 고구려의 남진과 함께 중부지역에서 일정 정도 역할을 해왔던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해주 발해 유적의 중심지인 라즈돌나야강에서 발견된 신라의 5세기대 삼루환두대도의 발견은 기존의 모든 인식을 깨는 동시에 그동안 공백으로 있었던 발해 이전의 서기 5~7세기의 연해주와 한반도 일대의 관계를 보여주는 획기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우리 역사에서 철저히 타자화되었던 말갈, 그리고 위말갈이라는 개념으로 애매하게 정의되었던 강원도 지역의 말갈 세력에 대하여 최신 고고학 자료를 통한 재평가를 할 수 있었다. 물론, 북한이라는 공백이 있기 때문에 말갈 세력의 애매함이 완전 해소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한반도 중부를 삼국의 세력관계로만 해명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 백두대간을 따라 이어지는 연해주와 동북한에 대한 이해가 더할 때에 한반도 중부지역 삼국시대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이어질 것이다.
This paper first defin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entral region plays a role as a crossroad between Eurasia continent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is a plain suitable for farming, but the Gangwon-do area consists of a steep mountain range topography formed along the east coast. In other words, the central region is not a monolithic geographical region. At the same time, the modern political influence of the central region is also significant. The central region has been blocked by the artificial boundary of North Korea to the north and has been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eriphery since the 20th century.
To make a breakthrough, the author re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lgal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5th to 6th centuries AD were examined in detail. In particular, the Goguryo and Malgal ground tombs excavated at the Legoland site in Jungdo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Silla Three-ring Pommel sword of Zarechnoye(a.k.a. Pokrovka), Primorsky, was analyzed. As a resu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 group of residents called Malgal, which appeared in Gangwon-do, could not be thought of separately from the Primorsky area. The Malgal played a role in Goguryeo's campaign 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illa's sword from Zarechinoye provides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orsky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eriod before Balhae was established.
In this way, we can reexamine the role of Malgal in the Gangwon area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which were vaguely defined as Pseudo-Malgals and ignored in Korean history. Like this, when we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Mangal, we can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entral part of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인욱, 2009,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挹婁·鮮卑·夫餘系文化의 관계」, 『고구려발해연구』33: 9-41. | 미소장 |
2 | 강인욱, 2017,「한반도 청동기 사용의 기원과 계통: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조기 및 전기 출토품 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에서의 한국 청동기시대 문화』, 한국청동기학회 10주년기념학술대회, 한국청동기학회. | 미소장 |
3 | 강인욱, 2018,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논총』61: 42-79. | 미소장 |
4 | 강인욱, 2021, 「초원문화와 한반도의 고고학」 『한국 고고학, 한반도를 넘어서』, 한국고고학회 제 45회 전국대회 발표문: 60-67. | 미소장 |
5 | 강인욱·고영민, 2020, 「옥저계 문화의 확산으로 본 강원도 중도식토기문화의 정체성과 대외 교류」, 『고대 강원의 문화교류』, 강원학연구소. | 미소장 |
6 | 구자봉, 2004, 『삼국시대의 환두대도 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국립대구박물관, 2007, 『한국의 칼-선사에서 조선시대까지』. | 미소장 |
8 |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편, 2019, 『한국고고학사전 - 고분편』. | 미소장 |
9 | 국립경주박물관, 2021, 『고대 한국의 외래계문물』. | 미소장 |
10 | 김규호·김나영·박영아, 「춘천 중도동유적(E구역) 내 출토 금속 유물의 재질 및 특성분석」 『춘천 중도동유적』 제 VI권. | 미소장 |
11 | 김용성, 2011, 「대구 서북부 고총과 그 축조집단의 성격」, 『중앙고고연구』8: 157-187. | 미소장 |
12 | 김재윤, 2017, 「환동해문화권의 역사적 조망: 선사시대부터 고대까지 고고자료를 통해서」, 『동북아 문화연구』50: 125-142. | 미소장 |
13 | 김재윤, 2021, 「환동해문화권 선사문화의 이동과 동해의 기온변화 관련성에 대한 검토」, 『동북아 문화연구』66: 21-36. | 미소장 |
14 | 김현숙, 2018, 「‘고구려사에서의 말갈’연구의 현황과 과제」, 『동북아역사논총』61: 80-131. | 미소장 |
15 | 신광철, 2019, 「강원도 말갈과 고구려의 南進」, 『한국상고사학보』105: 149-197. | 미소장 |
16 | 심재연, 2017, 「최근 조사 성과로 본 영동·영서지역과 북방지역의 상호 작용 - 철기~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시베리아연구』21-1: 73-108. | 미소장 |
17 | 심재연, 2018, 「토기로 본 고대 북방과 한국 문화-폴체·원말갈·말갈계토기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37: 167-210. | 미소장 |
18 | 안재필, 2020, 「만주·연해주지역 “말갈관(靺鞨罐)” 검토」, 『인문학연구』44: 123-170. | 미소장 |
19 | 양시은, 2011,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 공간적 정체성」, 『고고학』10-2: 101-131. | 미소장 |
20 | 양시은, 2019, 「말갈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인 검토」, 『고구려발해연구』65: 169-202. | 미소장 |
21 | 여호규, 2020, 「고구려의 韓半島 中部地域 지배와 漢城 別都의 건설」, 『한국고대사연구』99: 233-274. | 미소장 |
22 | 우병철, 2019, 『가야 신라 무기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3 | 윤정하·강인욱, 2021, 「청주 오송 유적 출토 부여계 동병철검의 의의」, 『한국상고사학보』112: 31-54. | 미소장 |
24 | 이정빈, 2018. 「고구려 다종족사회 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모색」, 『중원문화연구』26: 71-80. | 미소장 |
25 | 정동민, 2021, 「4세기 후반 高句麗의 南方 接境과 廣開土王의 對百濟戰 水軍 운용」, 『한국고대사탐구』38: 9-41. | 미소장 |
26 | 최병현, 2021, 『신라 6부의 고분 연구』,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미소장 |
27 | 한성백제박물관, 2022, 『서울에서 만나는 경주쪽샘 신라고분』. | 미소장 |
28 | 홍보식, 2018, 「신라와 금관가야의 교류」, 『한국고대사탐구』30: 245-285. | 미소장 |
29 | 홍성표, 2005, 「북한의 해군전력과 남북한 비교」, 『북한』 4월호: 188-204. | 미소장 |
30 | 홍영호, 2013,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하슬라」, 『백산학보』95: 137-178. | 미소장 |
31 | 홍형우, 2011, 「서(西) 아무르 지역 말갈(靺鞨) 토기의 특성과 그 전개」, 『한국상고사학보』74: 45-80. | 미소장 |
32 | 홍형우, 2012, 「토기를 통해 본 동 (東) 아무르 지역 중세문화의 전개」, 『고구려발해연구』 42: 111-138. | 미소장 |
33 | 홍형우, 2017, 「연해주의 고고 문화와 강원도」, 『강원사학』29: 109-135. | 미소장 |
34 | Кривуля Ю.В.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поселении Раковка-10 //Археология и культурная антрополог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ладивосток, 2002. | 미소장 |
35 | Пискарева Я.Е. Ч. III, гл. 5. Локальные группы мохэских памятников в Приморье // Российский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древности и средневековье:открытия, проблемы, гипотезы. - Владивосток : Изд-во Дальнаука, 2005. С. 419-438. | 미소장 |
36 | Деревянко, Е.И., 1975. Мохэские памятники среднего Амура. | 미소장 |
37 | Дьякова О.В. Мохэские памятники Приморья. Владивосток, 1998. | 미소장 |
38 | https://www.newsvl.ru/vlad/2022/05/24/209337/ | 미소장 |
39 | https://ria.ru/20220524/nakhodka-1790345274.html | 미소장 |
40 | 한국전통문화학교·러시아연방 극동국립기술대, 2007 『연해주 체르냐찌노 5 발해고분군』 . 3-4 | 미소장 |
41 | 춘천 중도동유적 연합발굴조사단 2020 『춘천 중도동유적-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H구역 순환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통합보고서-』 I~V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