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강원도형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 = A study on Gangwon-do type wellness tourism cluster environment creation plan 손지연, 지윤호 p. 5-22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어촌 관광 선택 요인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for the determinants of sea village tour using choice experiment 문준호, 이원석, 심지민 p. 23-39

지정학적 위험이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tourism demand 김소연, 류수열 p. 41-55
중국 농촌관광의 서비스품질과 감정적 서비스가치, 그리고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rvice quality, emotional service value,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rural tourism 조병삼, 정무빈, 진동봉, 예벽원, 김영하, 박현지 p. 57-73
대학생의 관광참여, 자아정체성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tourism, self-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윤정헌 p. 75-89
의료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고객시민행동간 영향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 focusing on cosmetic surgery hospitals / 미용성형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태경, 양위주 p. 91-106
(The) influence of leisure engagement on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유학생의 여가활동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문화변용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acculturation Cho, Yeseul, Bae, So Young p. 107-128
해운대 빛 축제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 feast of light,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Haeundae Light Festival 김태윤, 김수정, 신민화, 이화정, 김이태 p. 129-144
라이브커머스의 스토리텔링이 시청몰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torytelling in live commerce on consumers’ viewing immersion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hotel product users / 호텔 상품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강인택, 김샛별 p. 145-168
호텔의 언택트 서비스 특성, 수용의도, 관계지속의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untact service characteristics of hotel, acceptance inten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 center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arity /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양호 p. 169-186
특급호텔 친환경 인적자원관리와 종사원의 인식, 조직풍토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HRM of a hotel, awareness, organization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in the hotel industry : applying ability-motivation-opportunity theory / AMO의 모델을 적용하여 김태욱 p. 187-206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기술기반셀프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intentions to use fast food franchise TBSS : based on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 가치기반수용모형을 기반으로 허경석, 최세린 p. 207-224
플랫폼 노동자의 고용안정성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employment stability of platform workers 김영국, 이수연, 우은주 p. 225-242
항공사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경험가치와 태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irline's service scape on experiential values, attitude, and word of mouth : focused on VAB model / VAB 모델을 중심으로 임은정, 고민환 p. 243-260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이 소비가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ervice quality on consumption value and satisfaction 허지우, 이우승 p. 261-279
IPA 분석을 활용한 COVID-19 팬데믹 상황의 항공사 서비스스케이프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rline servicescape on reuse intention in COVID-19 pandemic situation using IPA analysis : focused on domestic flights / 국내선을 중심으로 이지애, 이재곤, 위주연 p. 281-300
카지노 마케터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casino marketers : targeting foreigner-only casinos in Korea /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대상으로 김구현, 한석호, 윤지환 p. 301-320
포스트 코로나시대 캠핑시설 이용자들의 차박캠핑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of car camping by users of camping facilities in the post-COVID-19 era 진지형, 김학준 p. 321-337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동택 (2014).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115-130. 미소장
2 김미라·윤정헌 (2019). 관광활동, 치유체험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MICE관광연구』, 19(3), 23-43. 미소장
3 김미라·윤정헌 (2021). 대학생의 관광 참여수준, 감성적 가치평가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동북아관광연구』, 17(2), 61-78. 미소장
4 김미라·윤정헌 (2021). 대학생의 관광참여, 감성발달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3(4), 45-61. 미소장
5 김용대·김재석 (2016). 축제태도가 참여수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6), 215-233. 미소장
6 김진·고동완 (2011). 생태관광활동 참여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 우포늪 습지방문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9(1), 56-64. 미소장
7 김채옥·송운강 (2007).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비제도화 국내관광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1(4), 23-41. 미소장
8 문영만 (2014).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생활만족도 패널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0(2), 187-218. 미소장
9 박명순·이로미·김현경 (2013). 농촌 다문화가족 아동의 가족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성에 따른 또래 관계에 관한 연구. 『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17(3), 130-155. 미소장
10 박노윤·이은수 (2014). 집단적 자아정체성, 사회적 교환관계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27(6), 955-977. 미소장
11 박성준·김재현 (2007). 청소년의 스포츠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7(1), 1-12. 미소장
12 박소정 (2002). 청소년기 여가활동이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14(2), 231-247 미소장
13 박수경·박진우·최윤석·이현수 (2011). 지체장애인 스포츠클럽 참여가 여가정체성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4), 271-282. 미소장
14 백승규·이영면 (2010).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생활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7(4), 349-371. 미소장
15 박아청 (2003).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3), 373-392. 미소장
16 박아청·이승국 (1999).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교육심리연구』, 13(4), 113-142. 미소장
17 송연옥 (2008).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신학승·이훈 (2014). 장애인의 여가활동과 자아정체성 형성의 관계분석. 『관광연구논총』, 26(3), 97-119. 미소장
19 양옥경 (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4, 157-198. 미소장
20 윤정헌 (2014). 가족관광 촉진요인이 가족관광 참여 및 가족역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4), 27-48. 미소장
21 윤정헌 (2016). 가족관광이 사회관계 및 가족관계, 생활만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8(9), 83-103. 미소장
22 윤정헌·정호권 (2016). 가족관광 촉진요인으로서의 가족요인, 참여의도, 참여수준,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8(10), 423-442. 미소장
23 우은주·이병철 (2016). 지역주민의 관광참여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73, 291-308. 미소장
24 이보라·황금주 (2017). 친환경레스토랑 방문 소비자들의 장소정체성과 윤리적 자아정체성이 인지적 만족을 매개로 충성도와 협조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소비자학연구』, 28(3), 47-74. 미소장
25 이봉구·안범용 (2011). 여가관광활동 참여가 장애인의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7(1), 43-65. 미소장
26 이은지·이정학 (2015).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 조절효과. 『관광레저연구』, 27(10), 43-58. 미소장
27 임진선·박영식 (2020). 제주올레길 도보관광 참여 대학생의 체험요인이 삶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4), 521-538. 미소장
28 정득·강민정·이종석 (2018). 종교활동과 문화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종교문화연구』, 30, 63-95. 미소장
29 정재춘 (2013). 장애인의 여가스포츠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배드민턴 활동을 참여하는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28(2), 139-189. 미소장
30 최선영·유명란·이미정 (2014). 간호사관생도의 생도생활적응 영향요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군진간호연구』, 32(1), 1-13. 미소장
31 최유선·손은령·박소리 (2018).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진로정체성과 자아정체성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31(2), 131-149. 미소장
32 현이조 (2018). 우리나라 세대별 국내관광 참여수준 및 특성 분석.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84, 573-579. 미소장
33 홍미성 (2013). 생활무용참여자의 공연경험이 무용몰입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1), 139-155. 미소장
34 홍성권·안경진·김종진 (2014). 관광참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2(3), 25-34. 미소장
35 Brickson, S. (2000). The Impact of Identity Orientation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 Demographically Diverse Sett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 82-101. 미소장
36 Diener, E., R. A. Emmons, R. J. Larson & S. Griffin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미소장
37 Erikson, E. H. (1975). Life history and the historical moment. New York: Norton 미소장
38 Jackson, E, M. & R. E. Johnson (2012). When opposites do (and do not) attract:Interplay of leader and follower self-identities and its consequences for leader-member exchange. Leadership Quarterly, 23(3), 488-501. 미소장
39 Narayan, A. & D. Steele-Johnson (2012). Individual and relational self-concepts in a team context. Team Performance Management, 18(5/6), 236-255. 미소장
40 Pagán, R. (2015). The contribution of holiday trips to life satisfaction: the cas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ent Issues in Tourism, 18(6), 524-538. 미소장
41 Park, E. & J. H. Kim (2002). Effects of leisure experience and identity salience o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serious leisure. Korean Journal Psychology, 21(2), 141-161. 미소장
42 Patterson, I. (2000). Developing a meaningful ident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serious leisure activities. World leisure Journal, 42(2), 41-51. 미소장
43 Schwarz, B., G. Trommsdorff, I. Albert & B. Mayer (2005). Adult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support, and reciprocity. Applied Psychology:International Review, 54(3), 396-4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