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귀엽다'의 의미 확장 양상 = Aspects of semantic extension of 'kwiyepta' 송현주, 김예니 p. 1-15
봉화 지역어의 세대별 실현 양상과 청소년층의 방언 전환 : Aspect of realization of Bonghwa dialect by generation and code switching by younger speakers : focused on Umlaut, vowel raising / 움라우트와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배혜진 p. 17-30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 Item analysis of the test of 'Korean Culture'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based on content validity improvement / 내용타당도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황명환, 민진영 p. 31-43
방과 후 고려인 아동의 이중언어 수업에 대한 담당 강사의 수업 이해와 의미 = Understanding and finding meaning in bilingual after school class for Russian-Korean children in Korea 권혜진 p. 45-57
한국어 말차례 가지기 양상 연구 : Analysis of Korean speaking patterns : through the drama [God of Study] / 드라마 [공부의 신]을 통하여 남귀옥 p. 59-69
메타분석으로 본 학문 목적 글쓰기의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s seen through meta-analysis 한병인 p. 71-82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 Higher education in heutagogy : digital data narrative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최원재 p. 83-97
정보보호관리체계 운영을 위한 이슈트래킹시스템의 적용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issue tracking system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experts and managers in information security / 정보보호전문가 및 정보보호실무자 중심으로 홍보성, 윤병섭, 채명신 p. 99-114
질적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한 짧은 동영상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of PUGC short video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 유튜브 PUGC형 중국 요리 채널을 중심으로 포선우, 윤준성 p. 115-129
1인 미디어 특성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media : focusing on <Dr. Paocai>, a Korean Chinese independent media channel / 한·중 1인 미디어 채널 <김치여박사>를 중심으로 량가혜, 김설화 p. 131-139
D 대학 영어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D university English presentation competition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attitude and satisfaction / 대학생의 태도와 만족도를 바탕으로 임희주, 박성만 p. 141-149
학생 설계 교양 교과 아이디어 공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idea contest for student design curriculum 전종희 p. 151-166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 만족도가 학습역량 및 학습지속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learning competency and learning continuity in the comparative department of university : 문화예술 감상 글짓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광철 p. 167-178
비교과교육에 대한 대학구성원의 인식 및 요구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needs of university members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차혜경 p. 179-195
초등 예비교사들의 STEAM 교수학습에 의한 STEAM에 대한 태도와 개념 변화 분석 = An analysis of changes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STEAM through STEAM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김동렬 p. 197-212
매헌 권우의 생애와 신도시(新都詩) = The life and poetry of the new capital of Maheon Kwon-Woo 이영환 p. 213-224
로맨스 웹소설 속 가상 역사의 구현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virtual history in Korean web novels : 웹소설 <해시의 신루>를 중심으로 류선희 p. 225-240
노백헌 정재규 시세계 일고찰(一考察) : A study on the poetry of Noh Baek-heon and Jeong Jae-gyu : focus on the mourning poem / 애도시를 중심으로 김기림 p. 241-253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의 장르전환 시점에 따른 세 작곡가의 표현 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hree composers on the time of genre transference in the play ≪Romeo and Juliet≫ 길한나 p. 255-274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 속 좀비에 대한 표상과 그 기호학적 해석 = Representation and semiotic interpretation of zombies in Netflix original series Kingdom 김지아 p. 275-289
만성 조현병 당사자 밴드가 경험한 커뮤니티 음악치료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schizophrenic band through community music therapy : <광장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문현호, 문소영 p. 291-306
사운드 힐링(Sound Heailng)에 의한 문화향유 발전방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njoy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und heailng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 신나는 예술여행 '마음 챙김 명상음악회'를 중심으로 김희연 p. 307-322
포괄적 음악성의 원리를 적용한 피아노 전공 입시곡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iano audition pieces for the admission of the music college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김미숙, 이고운 p. 323-334
MZ세대의 '사이(낀)' 감수성 분석 = Analysis of sensibility in-between in MZ generation :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수상작을 중심으로 안미영 p. 335-344
초미학 시대, 현대미술의 패러독스 : Paradox of contemporary art in the era of transaesthetics : the concept of 'the disappearance of art' by Jean Baudrillard and fellow conspirators / 장 보드리야르의 '예술의 사라짐' 개념과 그 공모자들 이재걸 p. 345-358
창원 남산상봉제의 지역문화 콘텐츠 활용과 성공 전략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cal culture contents and success strategies of Changwon Namsan Sangbongje 송성안 p. 359-372
미국 현지 등재를 통한 국외사적지 보존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approach to register overseas Korean historic sites on the list of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 the U.S. / 미국의 역사보존 정책 및 아시아계 역사자산의 등재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임종현, 한종수 p. 373-389
도시 규모와 중국 기업의 수출 참여도 : A study on the city size and export participation of Chinese firms : analys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dustrial agglomeration / 산업 집합 사각에 기반한 분석 단가루, 배기형, 란희 p. 391-407
특정 여행지를 재방문하는 관광객의 심리적 경험 분석 :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ourists who revisit the specific destinations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이윤정, 두경희, 이은주 p. 409-425

이주여성의 온라인 고등교육 참여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online higher education 정하라, 주양희 p. 427-443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Zhongyong and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 a mediation model / 중용(中庸)적 태도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안도연 p. 445-458
학교 관리자가 인식한 보건교사의 업무량 관련 연구 = A study on the workload of health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administrators 김종윤, 조대연 p. 459-469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Aspects of study on the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 focusing on multicultural one-mother families / 다문화모자가정을 중심으로 임선우 p. 471-484

유아교사의 인성교육 인식 및 요구도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about teacher personality education 오안나 p. 485-500
붓다 볼 (싱잉 볼) 이용자의 자아존중감과 결핍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analysis of effect on Buddha bowl (singing bowl) users' self-esteem and deficit perception on quality of life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Buddha bowl (singing bowl) / 붓다 볼(싱잉 볼)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경숙 p. 501-519
현대판 상소문 <시무 7조>의 향유방식 탐구 = An study of the enjoyment method of the modern Sangsomun <7 Urgent Issues for Governing> 김윤경 p. 521-534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연구 = A study on learners' satisfaction of Korean-speaking class applying blended learning 강소산 p. 535-546
팬데믹 이후 광주고려인마을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 담론 =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ost-pandemic Gwanju Goryeoin-Village 차노휘 p. 547-560
의사소통의 관점으로 본 갈등 담화 연구 : A sstudy[실은 study] on the aspects of conflict discourse through a communicational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onflict discourse situation in K-drama / K-드라마 속 갈등 담화상황을 중심으로 이윤희 p. 561-575
이어령의 "무익조(無翼鳥, KIWI)" 연구 : A study on O-Young Lee's "Wingless Bird(Muikjo, KIWI)" : a cracked voice that asks and answers 'universal' / '보편'을 묻고 답하는 갈라진 목소리 박필현 p. 577-591
마리보의 '섬' 3부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rivaudienne trilogy <Island> : <노예들의 섬>, <이성의 섬>, <식민지> 이명은 p. 593-606

서양음악작곡가에 의해 작곡된 국악협주곡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Gukak concerto composed by the composers who majored in Western music :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Gukak identity / 국악적 정체성의 표현을 중심으로 강선하 p. 607-624
<나의 서양미술 순례>와 <청춘의 사신>에 나타난 죽음의 소리풍경 고찰 = A study on the soundscape of death in My Pilgrimage to Western Art and The Reaper of Youth 노시훈 p. 625-637
4차 산업시대, IoT예술의 문화민주주의 실현 가능성 고찰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mocracy in IoT art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 focused on the winners of the Interactive Awards in 2021 and 2022 / 2021, 2022년도 인터렉티브 어워드 수상작을 중심으로 정서윤, 김선영 p. 639-651
전형적인 메타식스적 예술가로서의 롤랑 바르트 : Roland Barthes as a typical metaxis artist : betwee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the author / 작가의 죽음과 부활 사이에서 최은녕 p. 653-668

<시민 독본>(1894년경) : The Citizen Reader (c. 1894) : an English book of the British Empire in Jose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focusing on its literary quotes and introduction of British literature / 19세기 말 조선의 대영제국 원서 : 텍스트 속 영국 문학 인용과 소개를 중심으로 지유리 p. 669-683
중도입국학생 교육경험에 나타난 한국어교사의 처우 및 인식제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flected upon their teaching experience for mid-immigrant adolescents 박미숙, 남부현 p. 685-698
S대학교의 교양필수 과목 <세한실사구시>에 대한 교양교육 만족도 연구 = A satisfaction study on liberal education satisfaction for S university's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 <Sehan Empirical Tradition> 김용기 p. 699-706
고등학생의 인터넷 강의 학습에서 중도 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연구 = A study on learners' dropout factors of Internet-bas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박정현, 손진곤, 박지수 p. 707-716
COVID-19 이후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of adolescent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after COVID-19 / 교과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이주영, 권기한 p. 717-731
교육을 위한 TOC 학습이 성인학습자의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ory of constraints for education learning on the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adult learner 박종금, 윤병섭, 채명신 p. 733-749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22). 2022학년도 다문화교육 기본계획 미소장
2 권미경, 이소연(2017).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새국어교육 110, 147-181. 미소장
3 김가연(2021).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경학(2015).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한국 이주와 가족 유형의 성격, 디아스포라연구 9(2), 37-67. 미소장
5 김민경(2020).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3(2), 121-134. 미소장
6 김상수(2018). 한국어교사의 교육적 신념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 597-605. 미소장
7 김서형. (2016). 터키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어 모어 화자 교사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어문교육 35, 195-220. 미소장
8 김소현(2015).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소형, 홍영균(2018).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방안,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3(2), 31-66. 미소장
10 김영선(2008). 한국어교사의 처우 개선과 극복과제-부산 경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3), 1-23. 미소장
11 김은경, 김현주(2017).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 (2003-2015), 상담학연구 18(2), 245-270. 미소장
12 김혜경(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3 남부현, 김경준(2018). 중도입국청소년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조선족 부모의 경험과 인식, 한국청소년연구 29(2), 5-34. 미소장
14 남부현, 박미숙(202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생태체계 속 삶의 적응 모습 : 지역사회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2), 83-120. 미소장
15 류방란, 오성배(2012).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의 기회와 적응 실태, 다문화교육연구 5(1), 29-50. 미소장
16 법무부(2022). 2021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미소장
17 배상률(2016).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진로 및 취업을 중심으로,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2(3), 67-88. 미소장
18 서덕희, 조은혜(2015).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성향과 그 생태학적 조건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3(1), 217-247. 미소장
19 서정민(2018).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언어 기능 통합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서영애(2018).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한국어교육연구 8, 87-110. 미소장
21 송원일(2020).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체성교육,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5(1), 1-14. 미소장
22 송원일, 유진이(2020).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갈등과 대응 전략,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5(2), 1-26. 미소장
23 신영권(2016). 중도입국 학생의 학업능력 향상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양계민, 조혜영(2011). 중도입국청소년 실태조사 연구, 서울: 무지개청소년센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25 양승주, 신현옥, 윤상석, 허은영(2016). 다문화 가정 자녀의 공교육 진입방안, 한양대학교 에리카 산학협력단. 미소장
26 양은주(2016). 다문화가정 청소년 교육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중도입국청소년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오성배, 서덕희(2012).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의식, 진로준비행동과 사회적 지원 실태 탐색, 중등교육연구 60(2), 517-552. 미소장
28 원진숙, 이세연(2013).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KSL 담당 교원연수 프로그램 실행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 40(2), 5-29. 미소장
29 유주명(2016). 한·중 외국에서의 자국어 교사정책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유진이, 김소형(2018).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3(1), 3-46. 미소장
31 윤영주(2018).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이소연(2022). 교실 경영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 177, 351-386. 미소장
33 이진경(2017). 한국어교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방안 연구-한국어(KSL)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문화 86, 381-402. 미소장
34 이춘양, 최윤곤, 박미숙. (2017). 한국어 교사의 중도 입국 학생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교류연구 6(4), 21-39. 미소장
35 이혜지(2013). 중도입국 자녀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임영상(2008).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소년의 현황과 분석, 역사문화연구 29, 3-46. 미소장
37 전경숙(2016).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실태와 정책적 지원방안 고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1(2), 3-26. 미소장
38 정세진, 윤혜미, 정다영, 박설희(2018).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연구: 개인, 가족, 다문화배경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23-50. 미소장
39 조혜영(2012).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 및 적응지원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4(4), 311-335. 미소장
40 좌동훈(2014). 중도입국청소년의 출신국적과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심리, 사회적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1), 97-126. 미소장
41 홍영균(2017). 4차산업혁명시대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 방안,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2(3), 89-122. 미소장
42 Creswell, John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43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