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2022). 2022학년도 다문화교육 기본계획 | 미소장 |
2 | 권미경, 이소연(2017).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새국어교육 110, 147-181. | 미소장 |
3 | 김가연(2021). 한국어 교사의 직업 소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경학(2015).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한국 이주와 가족 유형의 성격, 디아스포라연구 9(2), 37-67. | 미소장 |
5 | 김민경(2020).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3(2), 121-134. | 미소장 |
6 | 김상수(2018). 한국어교사의 교육적 신념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 597-605. | 미소장 |
7 | 김서형. (2016). 터키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한국어 모어 화자 교사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어문교육 35, 195-220. | 미소장 |
8 | 김소현(2015).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소형, 홍영균(2018).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방안,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3(2), 31-66. | 미소장 |
10 | 김영선(2008). 한국어교사의 처우 개선과 극복과제-부산 경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3), 1-23. | 미소장 |
11 | 김은경, 김현주(2017).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 (2003-2015), 상담학연구 18(2), 245-270. | 미소장 |
12 | 김혜경(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3 | 남부현, 김경준(2018). 중도입국청소년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조선족 부모의 경험과 인식, 한국청소년연구 29(2), 5-34. | 미소장 |
14 | 남부현, 박미숙(202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생태체계 속 삶의 적응 모습 : 지역사회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1(2), 83-120. | 미소장 |
15 | 류방란, 오성배(2012).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의 기회와 적응 실태, 다문화교육연구 5(1), 29-50. | 미소장 |
16 | 법무부(2022). 2021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 미소장 |
17 | 배상률(2016).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진로 및 취업을 중심으로,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2(3), 67-88. | 미소장 |
18 | 서덕희, 조은혜(2015).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성향과 그 생태학적 조건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3(1), 217-247. | 미소장 |
19 | 서정민(2018).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언어 기능 통합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서영애(2018).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한국어교육연구 8, 87-110. | 미소장 |
21 | 송원일(2020).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체성교육,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5(1), 1-14. | 미소장 |
22 | 송원일, 유진이(2020).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갈등과 대응 전략,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5(2), 1-26. | 미소장 |
23 | 신영권(2016). 중도입국 학생의 학업능력 향상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양계민, 조혜영(2011). 중도입국청소년 실태조사 연구, 서울: 무지개청소년센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미소장 |
25 | 양승주, 신현옥, 윤상석, 허은영(2016). 다문화 가정 자녀의 공교육 진입방안, 한양대학교 에리카 산학협력단. | 미소장 |
26 | 양은주(2016). 다문화가정 청소년 교육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중도입국청소년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오성배, 서덕희(2012).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의식, 진로준비행동과 사회적 지원 실태 탐색, 중등교육연구 60(2), 517-552. | 미소장 |
28 | 원진숙, 이세연(2013).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KSL 담당 교원연수 프로그램 실행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 40(2), 5-29. | 미소장 |
29 | 유주명(2016). 한·중 외국에서의 자국어 교사정책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유진이, 김소형(2018).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3(1), 3-46. | 미소장 |
31 | 윤영주(2018).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이소연(2022). 교실 경영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 177, 351-386. | 미소장 |
33 | 이진경(2017). 한국어교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방안 연구-한국어(KSL)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문화 86, 381-402. | 미소장 |
34 | 이춘양, 최윤곤, 박미숙. (2017). 한국어 교사의 중도 입국 학생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교류연구 6(4), 21-39. | 미소장 |
35 | 이혜지(2013). 중도입국 자녀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임영상(2008).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소년의 현황과 분석, 역사문화연구 29, 3-46. | 미소장 |
37 | 전경숙(2016).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실태와 정책적 지원방안 고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1(2), 3-26. | 미소장 |
38 | 정세진, 윤혜미, 정다영, 박설희(2018).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연구: 개인, 가족, 다문화배경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23-50. | 미소장 |
39 | 조혜영(2012).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 및 적응지원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4(4), 311-335. | 미소장 |
40 | 좌동훈(2014). 중도입국청소년의 출신국적과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심리, 사회적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1), 97-126. | 미소장 |
41 | 홍영균(2017). 4차산업혁명시대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 방안,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2(3), 89-122. | 미소장 |
42 | Creswell, John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43 |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