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은현 (2014). 개념미술 이해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진엽 (2020). 예술에 대한 여덟 가지 답변의 역사. 서울: 우리학교. 미소장
3 김춘일 (2002). 중등미술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4 박라미 (2004). 미술교육에서 아동미술재료 인식변화의 필요성. 아동미술교육, 3, 17-34. 미소장
5 박소영 (2002). 초등학교미술과교수․학습방법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6 박정애 (2008). 의미 만들기의 미술: 미술 교육을 위한 새 패러다임. 서울: 시공사. 미소장
7 박휘락 (2003).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 서울: 시공사. 미소장
8 이미정 (2017). 예술기반 연구방법에서 바라보는 예술의 가치. 미술교육연구논총, 50, 47-72. 미소장
9 이민정 (2019). 미술교육에서 미술의 정의와 가치 매기기를 통한 미학적 탐구 방안. 미술과 교육, 20(3), 43-58. 미소장
10 이상은 (2009).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교원교육, 25(3), 92-107. 미소장
11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미소장
12 전혜숙 (2008). 미술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1968년. 미국사연구, 28, 149-178. 미소장
13 진영은, 강성원 (2007).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21(3), 23-50. 미소장
14 Anderson, T., & Milbrandt, M. (2007). 삶을 위한 미술교육. 김정희, 최정임, 신승렬 역. 서울: 예경. (원저출판 2004). 미소장
15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ew York: Perigee Books. 미소장
16 Gardner, H. (1981). Children’s perceptions of works of art: A developmental portrait. Psychology and the arts, 123-147. 미소장
17 Godfrey, T. (2002). Conceptual art. (전혜숙 역). 개념미술. 서울: 한길아트. (원저출판 1998). 미소장
18 Keifer-Boyd, K., & Maitland-Gholson, J. (2010).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류재만, 손지현, 박미진, 정윤의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저출판 2007). 미소장
19 Kemmis, S., & McTaggart, R. (1998). The nature of action research. The Action Research Planner. Victoria: Deakin University. 미소장
20 Lankford. E. L. (1992). Aesthetics: Issues and inquiry. Reston, VA: The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안금희 역(1999). 미학: 이슈와 탐구에서 미술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9, 979-985. 미소장
21 Parsons, M. J., & Blocker, H. G. (1998). 미학과 예술교육. 김광명 역. 서울: 현대미학사. (원저출판 1993). 미소장
22 Weitz, M. (1970). Problems in aesthetics. New York(State): Macmillan. 미소장
23 Yenawine, P. (2004). (알기 쉬운)현대미술 감상의 길잡이. 한국미술연구소 역. 서울: 시공사. (원저출판 199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