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수업만족과 수업효과의 관계에서 수업유형의 매개효과 검증과 학년별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에 대한 차이분석을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한 중학생 390명이며, 연구도구로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수업만족과 수업효과의 관계와 두 변인관계에서 수업 유형의 매개효과와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에 대한 차이를 학년별로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온라인 체육수업 수업만족에서 수업내용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둘째, 수업유형에서는 상호작용형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셋째, 상호작용형과 수업효과에서 부분 매개와 강의형은 수업환경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년별 수업효과에 차이가 있었고, 저학년의 수업만족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학습자가 참여하고,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체육수업 다각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analysis on class satisfaction, class type, and class effect by gra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0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questionnaires on class satisfaction, class type, and class effec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b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lass types and class effects by grade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fluence of class content was the highest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econd, interactive type had the highest influence in class type, and third, in interactive type and class effect, partial mediation and lecture type had the highest influence.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nvironmen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lass effect by grade,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lower grades was high.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participate in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dler 초기회상에 기반한 집단상담 참여자의 생활양식과 대인관계 변화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lifestyle and interpersonal changes of participants in group counseling based on Adler early recollection 박예진, 오민정, 김수임 p. 2637-2651

루만과 독일관념론의 예술철학 비교 = Comparison of art philosophy between Luhmann and German idealism 손세훈 p. 2653-2666

청년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청년 지원체계별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ption of youth difficulties on the importance of each support system : through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nd social workers / 지역주민과 사회복지사의 인식 비교를 통해 손지현 p. 2667-268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 중심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 = A study of guidance plan for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and other subjects, according to revised 2009 curriculum 심지아 p. 2683-2696

현 시기 전통음악 전파의 의미와 역할 = The meaning and role of propag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present period 왕천 p. 2697-2706

신혼기 섹스리스 아내의 결혼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marital experiences of wives who are sexless in the honeymoon stage 윤양은, 서미아 p. 2707-2722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공정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통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ocal government 이명예, 황찬규 p. 2723-2737

의학영어 어휘 목록 개발 : Developing a word list in medicine : a corpus-based study / 코퍼스 기반 연구 이성은 p. 2739-2752

19세기 동아시아 전환기 중국의 지정학적 상상력과 국방전략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China's geopolitical imagination and defense strategy during the transition of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idea of Li Hong Zhang / 이홍장(李鴻章)의 구상을 중심으로 이승환, 채첩 p. 2753-2766

在韩中国留学生金融素养的影响因素分析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f financial literacy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蔡彩芳, 李政建 p. 2767-2780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장벽,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태도 준비성 간 구조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parents,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s prepar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이종훈, 김주섭 p. 2781-2794

대학행정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y on job performance in university administration 주경일 p. 2795-2809

쟁기[耒耜]류 어휘의 접촉과 변화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contact and change patterns of plough-related vocabulary 황금연 p. 2811-2825

안중근 공판기록 한글필사본 『大韓忠義錄』의 자료적 성격과 특징 = Data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Hangul manuscript of Ahn Jung-geun's trial record Daehanchunguirok 김영 p. 2827-2839

대학생을 위한 초강인해(초기기억 속에 숨은 강점 찾아 인생과제 해결하기)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ho-gang-in-hae (solving life tasks by finding strengths hidden in early memory) grou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an integrated approach of individual psych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 개인심리학과 긍정심리학 통합 접근 김천수 p. 2841-2855

1인가구 청년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성차를 중심으로 박지혜, 장영은 p. 2857-2872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ow to teach piano using smart devices 서해합 p. 2873-2883

외국인 유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대학 생활영역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and the field of university life on their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이성진 p. 2885-2900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기초체력과 학교생활적응 차이 = Differences in basic physical fitn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정진영, 조명기 p. 2901-2913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조숙영, 이용주 p. 2915-2928

가출청소년의 쉼터 이용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runaway youth's shelter use 주은수 p. 2929-2944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교육 우대정책 : The Chinese government's preferential policy on ethnic minori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additional points policy of the Korean-Chinese in Jilin Province / 길림성 조선족 가오카오(高考) 가산점 정책을 중심으로 진산산 p. 2945-2956

(A) study of US residents' donation inten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미국 거주자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의 기부 의사에 관한 연구 Myoungjin Chae p. 2957-2971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olescent early maladaptive schema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최필열, 변상해 p. 2973-2987

커넥터제조기업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LMX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perior leadership of a connector manufacturing company on job satisfaction and the LMX mediating effect 강태만, 황찬규 p. 2989-3004

중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효과의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ffect of middle school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김범준, 홍완기 p. 3005-3020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관관계 연구 : The mediating effect of introsp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 자기성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경 p. 3021-3036

코로나19(COVID-19)에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면대면 치매예방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ace-to-fac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in COVID-19 김하정 p. 3037-3051

'재해'라고 하는 전시적 상황과 유언비어 : A wartime situation and rumors as a "disaster" : based on the literary works of Korean genocide / 조선인 학살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김여진 p. 3053-3066

ADC·LC필름에 찍힌 여성들의 한국전쟁 : Korean war of women on ADC and LC films : a survival war 'Out of the Home' / '집 밖'의 생존 전쟁 김지현 p. 3067-3081

병역제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차이 분석 =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type 박종탁 p. 3083-3094

자유학기제 연계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in relation to the free learning semester 심효진 p. 3095-3110

시각장애인을 위한 박물관 전시물 해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 commentary in museum for the visually impaired 오숙희, 권호종 p. 3111-3122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new creative leadership factors of Chinese culture and art industry manager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 문화예술산업 경영자의 신 창의적 리더십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Wu Liyao, Mira Yoon p. 3123-3138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s of workers'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이정미 p. 3139-3154

현대적 에크프라시스 시 : Modern Ekphrasis poems : Duffy's Standing Female nude and Boland's Degas's Laundresses / 캐롤 앤 더피의 「나체로 서 있는 여자」와 이반 볼랜드의 「드가의 세탁부들」 이진주 p. 3155-3170

메타분석을 활용한 자가요법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treatment obesity management program using meta-analysis 이하정, 최서연 p. 3171-3180

ARCS 모형을 적용한 일본어 학습 영상콘텐츠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Japanese educational video based on the ARCS model 이현진, 권희주 p. 3181-3195

정신간호사의 의사소통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The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communication of psychiatric nurses 전원희, 임혜숙 p. 3197-3208

대학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의견 조사 연구 : A study on student opinion survey of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 focusing on the survey development case of the liberal arts student monitoring group /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조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p. 3209-3224

다중흐름모형에 근거한 제주지역 숙박시설 정책변동 연구 = A study of policy change in accommodation facility in Jeju by adapting multiple streams model 정승훈, 양성수 p. 3225-3240

여가복지시설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삶의 질 차이 비교 = Comparison of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the senior citizen participating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leisure welfare facilities 조선하 p. 3241-3255

종교의 평화사상이 한반도 평화교육에 주는 함의 = The implications of religious peace ideology for peace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차승주 p. 3257-327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향 연구 : A study o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 trends : focusing on research since 2000 /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최은아 p. 3273-3288

한국어-아랍어 문화어휘 번역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Arabic translation method of cultural words 곽순례 p. 3289-3304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에서 부성의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fatherhood in Kore-eda Hirokazu's films 권은선 p. 3305-3319

인도네시아 국방무도로서의 용무도 발전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Yongmu-do, which became a military martial arts in Indonesia 김민유, 주동진 p. 3321-3333

심뇌혈관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건강행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김주연, 이상미 p. 3335-3350

통치 지식·이념의 전달 매체로서의 조선후기 국왕 행장(行狀) = Kings' Haengja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medium for passing down governing knowledge and ideology 김태훈 p. 3351-3365

코로나-19 기간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 정책 탐색 =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ies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혜정, 차중찬, 이필남 p. 3367-3381

예비교사가 다문화교사로서의 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에 대한 질적 탐구 =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process by which a preparatory teacher becomes capable of being a multicultural teacher 배현미 p. 3383-3398

베트남 참전 시기 영화에 나타난 병영국가적 정체성 : The military national identity in the Vietnam War film : focused on Nam Jeong-im Goes to Women's Army Corps and Men of the Reserve Troops / 「남정임 여군에 가다」와 「예비군 팔도 사나이」를 중심으로 백태현 p. 3399-3414

유교적 가치가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fucian values on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growth needs / 부정적 정서조절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여경환, 박옥자, 최수빈, 관예주 p. 3415-3430

冷战时期中国与北韩文化交流研究 = Research on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李军杰, 吳泰坤, 朴东勋 p. 3431-3444

무속 담론의 소설적 수용 양상 : Aspects of fictional acceptance of shamanistic discourse : focused on Jinryeonggun, a capricious shaman of the Ruined Country / 『진령군, 망국의 요화』를 중심으로 장미영 p. 3445-3459

미얀마 난민에 대한 귀환과 재정착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연구 : The study on the repatriation and resettlement program of Myanmar refugees : comparative studies on Roghingya and Karen refugees / 로힝야 난민과 카렌 난민의 사례 비교를 바탕으로 정법모 p. 3461-3473

사회적기업의 내부마케팅(의사소통, 교육·훈련, 보상시스템)과 시장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관계연구 = A relational study on the enterprise performance of internal marketing (communication, education & training, reward system) and market orientation of social enterprise 주상호 p. 3475-3490

Исследование сложных слов(композитов) в русскоязычном газетном дискурсе = A study on the compound words (composites) in the Russian-language newspaper discourse Хо Сон Тэ p. 3491-3504

(A) study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주민참여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 중국 산시성 협업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 taking collaborative governance in Shaanxi Province, China as an example Yao Cui p. 3505-3520

유아교사의 역량, 창의성이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ntency and creativity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박진송, 최항준 p. 3521-3534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경임(2009), “온라인 영어·수업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와 학습 전략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권아연(2021), “온라인 체육수업 학습분석을 통한 학습자 맞춤형 온라인 수업체제 탐색”,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제연(2009),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우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진희·황두희·이상숙(2022),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1): 33-39. 미소장
5 류진선(2004), 『교과별 콘텐츠 제작 지침 개발 연구(KR 2004-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6 박세원·김상목·김영식(2018), “가상현실(VR) 스포츠실을 활용한 ICT 융합 체육수업의 현황및 발전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1003-1025. 미소장
7 손찬희·장혜승·김은영·김성미·이은주·조일현·정광식·김지현(2019), 『온라인 학습분석 기반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8 심승보·김하영(2022), “비대면 체육수업 경험이 수업 만족도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 10(4): 169-178. 미소장
9 손혁준·이옥선(2020), “중등 체육교사의 온라인 체육수업 지도양상과 영향 요인 탐색”, 『한국체육학회』, 59(6): 157-175. 미소장
10 양선미(2007), “무용수업 재미와 수업만족 및 무용지속사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양희인·김성미·손찬희·이은철·서순식·이준·정영식·양혜경·김정혜(2015),『중둥교육에서의 학습권 제고를 위한 온라인수업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2 오광수(2022),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중학교 체육수업 건강영역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에 따른 교육 효과 탐색”,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유혜강(2011),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 중 표현 활동(무용) 단원의 만족도 및 선호도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윤찬수·김현식(2021),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고등학생의 교사 신뢰와 상호작용 및 학습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4): 123-134. 미소장
15 이병임(2022),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업내용의 질, 자기조절학습, 교수실재감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2): 1159-1170. 미소장
16 이상수·강정찬·이인자·황주연·이유나(2005),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분석”, 『교육공학연구』, 21(4): 229-254. 미소장
17 이상진(2010),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이쌍철(2017), 『2016 초·중등 이러닝 활성화(온라인수업 활성화)사업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9 이아름(2017), “초등학생의 방과후 표현활동영역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이충현(2009), “온라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유형과 수업, 학습 방안”, 『외국어교육연구』, 23(1): 103-134. 미소장
21 임슬기·조욱상(2021), “초임 체육교사의 온라인 비대면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6(5): 73-90. 미소장
22 전인영(2013), “체조 및 티볼 수업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정광희·장혜승·손찬희·김은영·서재영·이쌍철·조영환·남창우·김지현(2018), 『중등교육 온라인 개방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 교육기회 보장을 위한 학력·수업인정 온라인 교육을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4 정의석·최제영·박충식(2016), 『링크드 데이터 기반 학습 분석 플랫폼 구축 전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25 조성호·정순영(2004), “e-learning을 위한 동적 콘텐츠 구성 시스템”, 『정보과학회지』, 22(8): 50-56. 미소장
26 조용길(2004), “가상대학 현황 및 콘텐츠 개발”, 『산업경영연구』, 27(2): 231-255. 미소장
27 주영주·김서령(2006),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 『초등교육연구』, 19(1): 105-127. 미소장
28 최자경(2002), “대학생의 교양체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최혜길(2008), “SCORM 기반의 온라인 교육 IT 표준 컨텐츠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45(3): 7-14. 미소장
30 한수연(2021),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5), 177-189. 미소장
31 Baron, R. M., & D. A. Kenny(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미소장
32 Borup, J.,Graham, C. R.,& J. S. Drysdale(2014), “The nature of teacher engagement at an online high school”,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5(5):793-806. 미소장
33 Nunnally, J. C., & I. H. Bernstein(1994), “The Assessment of Reliability”, 『Psychometric Theory』, 3: 248-2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