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주현(2018). 유아교사의 사고력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노의, 박원순, 이상원(2013).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419-436. |
미소장 |
3 |
권영임(2009).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2), 211-230. |
미소장 |
4 |
김경철, 김은혜(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
미소장 |
5 |
김남희, 김미영(2018). 영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와유치원교사의 인식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7(3), 49-72. |
미소장 |
6 |
김수향, 임경심, 홍혜경(2014).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대한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인식비교. 유아교육연구, 34(3), 379-400. |
미소장 |
7 |
김은혜, 김경철(2020). 유아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도구 개발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40(2), 65-95. |
미소장 |
8 |
김정원, 최소린(2016).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5), 59-80. |
미소장 |
9 |
박은혜(2017). 유엔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의미와 유아교육의 과제. 유아교육연구, 37(3), 119-136. |
미소장 |
10 |
박은혜, 박선혜(2017).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관점 성향 분석. 육아지원연구, 12(2), 27-49. |
미소장 |
11 |
박진옥, 신화식(2008).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2, 103-123. |
미소장 |
12 |
박혜지(2019). 유치원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공동체참여경험과 의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성정희, 박태윤(2010). 물 환경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연구. 환경교육, 23(4), 56-69. |
미소장 |
14 |
신은수, 박은혜(2012).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육아지원연구, 7(1), 27-50. |
미소장 |
15 |
안유리, 여인우, 신주은, 이대균(2013).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전직한 교사들의 이야기.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47-71. |
미소장 |
16 |
안해정, 서혜원, 윤종혁, 김은영, 임후남, 박환보, 최동주, 김명진, 이정화(2016).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실천방안연구: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RR2016-2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7 |
임희준, 노석구, 송현순, 장인실, 최일선(202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 사의 이해, 인식, 실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259-270. |
미소장 |
18 |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9).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육-학습목표.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미소장 |
19 |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21).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로드맵. |
미소장 |
20 |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8).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꾸는 교육,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미소장 |
21 |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a).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살펴본 0-2세 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의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171-195. |
미소장 |
22 |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b).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319-341. |
미소장 |
23 |
이상원, 강민정, 이성희, 김윤태, 조성화, 최지연, 손연아, 조영철, 이수종, 김도윤 정진실(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지원 연구단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미소장 |
24 |
이인선(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29(5), 1584-1599. |
미소장 |
25 |
이일주, 이분심, 변혜경(2017). 정의관점에서 본 문재인 정부의어린이집과 유치원 간 격차 해소 방안.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5(2), 5-26. |
미소장 |
26 |
장석경, 최현정(2015).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235-254. |
미소장 |
27 |
전현수(201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행, 서울신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정기섭(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르프교육연구, 2(1), 65-96. |
미소장 |
29 |
정현미(2014). 영유아발달선별검사에 대한 어린이집 보육 교사의 인식 및 요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조순옥, 이경화, 배인자, 이정숙, 김정원, 민혜영(2013). 유아사회교육.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31 |
지옥정, 이희경, 장정애(2013).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인식 수준 및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271-294. |
미소장 |
32 |
최지안(2021).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 및 민주시민역량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최하림(2018).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최연철, 김은혜, 김경철(2018).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0(1), 1-26. |
미소장 |
35 |
Delors, J., I., Amagi, I.,carreiro, R., Chung, F., Geremek, B., Gorham, W., Kornhauser, A., Manley, M., Quero, M., Sarane, M., Singh, K., Stavenhagen, R., Suhr, M., & Nanzhao, Z. (1996).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report to Unesco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aris: UNESCO. |
미소장 |
36 |
Elliot, S. (2010). Essential, not option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early childhood centres. Exchange, 2, 34-37. |
미소장 |
37 |
Engdahl, I., & Rabussicova, M. (2010). Children’s voices about the state of the ear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report for the OMEP world assembly and world congress on the OMEP. World Projec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9-2010. Gotenberg, Sweden: OMEP. |
미소장 |
38 |
Hägglund, S., & Samuelsson, I. P. (2009).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ear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itizen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1(2), 49-63. |
미소장 |
39 |
Hofman, M. (2015). What is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pposed to Achieve— A Question of What, How and Why.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9(2), 213-228. |
미소장 |
40 |
Redman, E. (2013). Advancing education pedagogy for sustainabilit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transform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8(1), 1-34. |
미소장 |
41 |
Samuelsson, I. P. (2010). The foundations of ES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morrow Today, 183-185. Published by Tudor Rose on behalf of UNESCO. |
미소장 |
42 |
Siraj-Blatchford, J. (2009). Editori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1(2), 9-22. |
미소장 |
43 |
Siraj-Blatchford, J., Smith, K. C., & Pramling-Samuelsson, I.P. (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박은혜, 신은수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44 |
UN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s, New York. |
미소장 |
45 |
UNECE (2008). Discussion paper on competence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 sector. Geneva, Swiss: UNECE. |
미소장 |
46 |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Paris, France: UNESCO. |
미소장 |
47 |
UNESCO (2012). UNESCO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today for a sustainable future.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6(2), 291-292. |
미소장 |
48 |
UNESCO (2015).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trieved October, 19, 2016 from http://en.unesco.org/themes/education-sustainble-development. |
미소장 |
49 |
UNSDSN (2014). Young children as a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