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기도교육청, 2010,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계획, 2010-2020』. 미소장
2 교육부, 2020, 『교육기본통계』, 교육부. 미소장
3 김나영, 2021,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실태”, 『2021년 12월 이슈통계』, 교육통계서비스. 미소장
4 김영순·최승은, 2022,“다문화 다안학교로서의 인천한누리학교 통합교육 구상에 관한연구”, 『문화교류와다문화교육』, 11(1): 69-96. 미소장
5 김종세, 2011,“다문화사회전문가와 대학의 역할,” 『법학연구』, 44(0): 1-20. 미소장
6 김종훈, 2014,“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7(4): 91-100. 미소장
7 김한길·소경희, 2018,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2): 59-834. 미소장
8 류방란, 2013, “다문화교육 정책과 교육 현실의 성찰”, 『다문화교육연구』, 6(4):131-149. 미소장
9 박순덕·민가연·이영선, 2015,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행과 과제: 경기도 다문화교육 중점학교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6(2): 315-335. 미소장
10 박민정, 2012, “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119-139. 미소장
11 박영준, 2016,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대안고찰”, 『다문화콘텐츠연구』, 21(0):297-322. 미소장
12 박영진·장인실, 2020,“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2010-2020)분석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3(2): 111-134. 미소장
13 박윤경·이소연, 2009,“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 집단간 차이와 집단 내 다양성”, 『시민교육연구』, 41(1): 41-71. 미소장
14 방기혁, 2011, “초등다문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실과교육연구』, 24(2):25-48. 미소장
15 방기혁, 2013, “다문화 대안학교를 위한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및 편성”, 『다문화교육연구』, 6(3): 21-53. 미소장
16 방기혁·신윤호, 2011,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발전방향”, 『실과교육연구』, 17(2): 237-256. 미소장
17 서범석, 2009, “한국의 선진화를 위한 학교다문화교육정책의 기본 방향”, 『초등교육연구』, 22(4): 1-26. 미소장
18 유진이, 2016, “다문화 다안학교를 위한 교육복지 방안 연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1(1): 57-85. 미소장
19 이동성·김지인·이다혜, 2010,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현장작업에서 경험하는 방법론적 딜레마와 이슈들”, 『다문화교육연구』, 3(1): 5-27. 미소장
20 이수정·이철현, 2020,“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조사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3(2): 111-134. 미소장
21 이현주, 2014, “초·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2): 75-95. 미소장
22 전재영, 2011, “다문화교육 연구 실태를 통해 본 개선 방향”, 『다문화교육연구』, 4(2): 17-41. 미소장
23 주재홍·김영천, 2014,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연구』, 32(4): 103-136. 미소장
24 최윤정, 김이선, 선보영, 동제영, 정해숙, 양계민, 이은아, 황정미, 2019,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25 통계청, 2022, 『혼인·이혼통계』, 통계청. 미소장
26 현길자·염미경, 2014,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주시지역 다문화교육 중심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3(2): 304-320. 미소장
27 황규호·양영자, 2008,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 선정의 쟁점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26(2): 57-85. 미소장
28 Bennett, C. I., 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oston: Pearson Education, In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