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기 피히테의 이론적 지식학과 신칸트주의에서 주관성의 문제 = Das Problem der Subjektivität in der Theoretischen Wissenschaftslehre des Frühen Fichtes und Dem Neukantianismus 김정주 p. 1-27

후설의 현상학과 뵈메의 신지학에서 정신의 초월성과 보편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ranscendental and universal spirit in Husserl's phenomenology and Böhme' theosophics 강동수 p. 27-47

철학적 이성의 실종인가? : Is it the disappearance of philosophical reason? : materialist appropriation of Hegel's Encyclopedia from Marx's German Ideology / 마르크스의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일어난 헤겔 『철학강요』의 유물론적 전유 김경수 p. 49-73

쇼펜하우어와 포이어바흐에서 도덕의 형이상학적 기초 = The metaphysical foundation of moral in Schopenhauer and Feuerbach 김미영 p. 75-93

우계의 삶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시론적 고찰 :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Ugye's lif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 '우정'과 '효행'의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재 p. 97-120
모든 인간은 본성상 도덕적이다 : All humans are moral by nature : focusing on Kant's radical evil and freedom of willkür / 칸트의 근본악과 선택의지의 자유를 중심으로 김소형 p. 121-140
Thymos에서 Eros로 : Thymos to eros : love is a weapon against fear / 사랑은 두려움을 이기는 무기가 된다 김솔 p. 141-156
『易緯』의 太易元氣觀과 取象運數의 선험주의적 세계관 = Yi-wei's Taiyi-Yuanqi view and its pre-experiential world-view of Qi-Xiang and Yun-Shu 김연재 p. 157-179
다산 정약용의 공사론을 위한 시론(試論) : Dasan Jeong Yagyong's theor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 theory of human nature as preference(性嗜好說) and virtue / 성기호설과 덕론을 중심으로 김우진 p. 181-199
칸트 덕론에서 윤리학적 방법론의 성격과 의의 :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doctrine of the methods of ethics in Kant's the doctrine of virtue : focusing on teaching ethics / 윤리학적 교수법을 중심으로 노영란 p. 201-223
수학철학에서 구성주의, 구조주의 그리고 구조-구성주의 = The constructivism, structuralism and structure-constructivism in mathematical philosophy 문장수 p. 223-261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지에 관한 해석 = An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ractical wisdom 박성호 p. 263-28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교의 '효' 윤리 연구 = A study on 'Hyo' ethics of Confusion in the era of post-corona 심도희 p. 281-294

근대 선비 지식인과 종교 = Modern Sun-Bee interlectuals[실은 intellectuals] and religion 엄진성 p. 295-319

니체의 도덕철학적 관점에서 본 '甲질' 기준의 이중성 : The duality of Gapjil standards interpreted by Nietzsche's moral philosophy : the root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Gapjil / 갑질의 근본 원인과 대책 이경희 p. 321-344

데카르트의 도덕론에서 행복과 최고선의 문제 = The problem of happiness and the highest good in Descartes's moral theory 이경희 p. 345-362

카시러의 과학철학 : Cassirer's philosophy of science : the function-based view and historical developmentalism / 기능 관점과 역사적 발전주의 이정민 p. 363-386
四書에서 智와 明의 사용 양상 =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p. 387-409

디아노이아의 아레테 = Virtue of thought 전재원 p. 411-427
호모 사케르(Homo Sacer)는 한국사회의 '위험의 외주화' 담론 분석의 철학이 될 수 있는가? = Can homo sacer be the philosophy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Korean society? 정재요 p. 429-454

소극적 책임(negative responsibility)과 원인 : Negative responsibility and cause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omission / 행위부재(omission) 개념에 대한 철학적 탐구 한곽희 p. 455-478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덕수, 「도덕적 문답법에 기초한 인성교육 -칸트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제93집, 대동철학회, 2020. 미소장
2 김동광, 「소크라테스 문답법의 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미소장
3 김선희, 「‘소크라테스적 문답법’과 ‘셀프-프락시스’기반의 철학상담」, 『철학연구』 제109집, 철학연구회, 2015. 미소장
4 박규철,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동서철학 연구』 제55호, 한국동서철학회, 2010. 미소장
5 이두연, 「칸트 교육론의 인성 교육적 함의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제48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미소장
6 이원봉, 「칸트윤리학과 도덕교육론: 도덕교육의 형식과 내용의 통합 가능성」, 『생명연구』 21집,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1. 미소장
7 Cureton, Adam & Hill, Thomas E., “Kant on Virtue and the Virtues”, in Nancy E. Snow ed., Cultivating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 New York 2015. 미소장
8 Kant, Immamuel, 이충진·김수배 옮김, 『도덕형이상학』, 한길사, 파주 2018a. 미소장
9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교육학』, 아카넷, 파주 2018b. 미소장
10 Kant, Immamuel, Die Metaphysik der Sitten, Berliner Ausgabe, bearbeitet und eingerichtet von Michael Holzinger, Suhrkamp, Frankfurt am Main 2016. 미소장
11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정초』, 아카넷, 서울 2014. 미소장
12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서울 2012a. 미소장
13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서울 2012b. 미소장
14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서울 2005. 미소장
15 Kant, Immamuel, trans by Mary Gregor, The Metaphysics of Mor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1. 미소장
16 Morris, Courtney, “Kant’s Moral Catechism Revisited”,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5(6), 2021. 미소장
17 Okshevsky, Walter, “Kant’s Catechism for Moral Education: From Particularity through Universality to Morality”,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000. 미소장
18 Peck, Lee Anne, “Sapere Aude!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in Kant’s Doctrine of Virtue”,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22(2&3), 2007. 미소장
19 Surprenant, Chris W., Kant and the Cultivation of Virtu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16. 미소장
20 Surprenant, Chris W., “Kant’s Contribution to Moral Education: the Relevance of Catechistic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9(2), 2010. 미소장
21 Timmons, Mark, Kant's Doctrine of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