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덕수, 「도덕적 문답법에 기초한 인성교육 -칸트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제93집, 대동철학회, 2020. | 미소장 |
2 | 김동광, 「소크라테스 문답법의 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 미소장 |
3 | 김선희, 「‘소크라테스적 문답법’과 ‘셀프-프락시스’기반의 철학상담」, 『철학연구』 제109집, 철학연구회, 2015. | 미소장 |
4 | 박규철,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동서철학 연구』 제55호, 한국동서철학회, 2010. | 미소장 |
5 | 이두연, 「칸트 교육론의 인성 교육적 함의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제48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 미소장 |
6 | 이원봉, 「칸트윤리학과 도덕교육론: 도덕교육의 형식과 내용의 통합 가능성」, 『생명연구』 21집,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1. | 미소장 |
7 | Cureton, Adam & Hill, Thomas E., “Kant on Virtue and the Virtues”, in Nancy E. Snow ed., Cultivating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 New York 2015. | 미소장 |
8 | Kant, Immamuel, 이충진·김수배 옮김, 『도덕형이상학』, 한길사, 파주 2018a. | 미소장 |
9 |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교육학』, 아카넷, 파주 2018b. | 미소장 |
10 | Kant, Immamuel, Die Metaphysik der Sitten, Berliner Ausgabe, bearbeitet und eingerichtet von Michael Holzinger, Suhrkamp, Frankfurt am Main 2016. | 미소장 |
11 |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정초』, 아카넷, 서울 2014. | 미소장 |
12 |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서울 2012a. | 미소장 |
13 |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서울 2012b. | 미소장 |
14 | Kant, Immamuel, 백종현 옮김,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서울 2005. | 미소장 |
15 | Kant, Immamuel, trans by Mary Gregor, The Metaphysics of Mor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1. | 미소장 |
16 | Morris, Courtney, “Kant’s Moral Catechism Revisited”,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5(6), 2021. | 미소장 |
17 | Okshevsky, Walter, “Kant’s Catechism for Moral Education: From Particularity through Universality to Morality”,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000. | 미소장 |
18 | Peck, Lee Anne, “Sapere Aude!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in Kant’s Doctrine of Virtue”,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22(2&3), 2007. | 미소장 |
19 | Surprenant, Chris W., Kant and the Cultivation of Virtu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16. | 미소장 |
20 | Surprenant, Chris W., “Kant’s Contribution to Moral Education: the Relevance of Catechistic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9(2), 2010. | 미소장 |
21 | Timmons, Mark, Kant's Doctrine of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