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 자격제도의 운영을 위해 1급 직업능력평가사의 직무와 역량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데이컴 직무분석 워크숍을 실시하여 1급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의 직무와 역량을 도출하였고, 책무(duty), 과업(task), 수행준거(performance criterion),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등에 대해 전문가 심층면접(FGI)을 통해 결과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의 최종 직무로 책무 17개, 과업 83개, 과업별 수행준거 364개, 지식 201개, 기술 265개를 개발하였으며, 책무와 과업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도출한 후 직업능력평가사 1급과 2급의 직무를 체계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의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고 직무를 체계화하여 장애인직 업능력평가사 1급 직무 범위를 제시하였다. 추후 세부적인 교육과정과 자격운영 방안을 개발하고 확립할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인 고용정책의 중앙-지자체 협력방안 탐색 = A study on the central-local cooperation plans of employment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delphi survey of expert panel :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박경수, 이준우, 김용탁 p. 5-29

재취업 산재 근로자의 개인-직무 적합성, 자기효능감, 후유증, 직무 만족의 관계에 대한 1년 추적 연구 = A 1-year follow-up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self-efficacy, sequelae, and job satisfaction of re-employed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 focusing on cross-delay panel model analysis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교차지연 패널모형 분석과 조건부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도희 p. 31-55

(The) effects of direct observation-linked multiple monitoring learning on job skills of elderly residential assistant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직접관찰 연계 다중 점검학습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노인주거도우미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Kim Youngjun p. 57-94

장애 노인의 생활 만족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change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김한솔, 이기영 p. 95-118

산재재활서비스 이용욕구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검증 =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 of industrial-accident workers : 잠재전이분석의 적용 안새별, 이준우, 홍세희 p. 119-141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 Predictors of self-esteem trajectories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최희철, 김혜리, 김영미 p. 143-170

발달장애 성인, 부모, 관리자, 특수교사가 경험한 발달장애 성인의 취업 현실과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요구 고찰 = Qualitative inquiry on reality of the employment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pport needs for employment reten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business manag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안경숙, 이숙향 p. 171-202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사 1급 자격과정 개발 = Development of 1st level qualification course for vocational competency evaluator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조재한, 구인순 p. 203-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