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벨에포크 되살리는 소리의 연금술사 : 소프라노 서선영 [인터뷰]
|
[인터뷰이]: 서선영 ; 글: 김종섭
|
p. 24-33
|
|
|
|
'남한산성아트홀은 이제 지역을 초월한 예술홀' : 광주시문화재단 오세영 대표
|
글: 김종섭
|
p. 34-38
|
|
|
|
국민과 가까이, 그의 선택은 '변화와 혁신'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대표이사 최정숙 [인터뷰]
|
[인터뷰이]: 최정숙 ; 글: 김종섭
|
p. 39-41
|
|
|
|
인류의 비극을 그린 국립합창단의 '마지막 눈사람' : 작곡가 최우정의 실험과 음악 철학
|
글: 김종섭
|
p. 42-45
|
|
|
|
원격으로 가르쳐도 속속 입상시키는 피아노 '왕자' : 피아니스트 진강우
|
글: 최다예
|
p. 46-49
|
|
|
|
인간의 내면을 치료해주는 건반위의 소설가 : 피아니스트 임현진 [인터뷰]
|
[인터뷰이]: 임현진 ; 글: 강요한
|
p. 50-53
|
|
|
|
제 25회 춘천국제고음악제 Lux Aeterna: 춘천, 영원한 빛으로 : 춘천국제고음악제 음악감독 최현정 [인터뷰]
|
[인터뷰이]: 최현정 ; 글: 박진주
|
p. 54-57
|
|
|
|
파주 용미리 묘역지, 예술의 방주 콩세유 미술관 : 산양의 작가 정미애 애니메이션 음반 내다 [인터뷰]
|
[인터뷰이]: 정미애 ; 취재: 김종섭 ; 정리: 박진주
|
p. 58-61
|
|
|
|
꺽일[실은 꺾일] 수 없는 민간아트센터의 뚝심 : 제주호은아트센터 장호진 대표
|
글: 김종섭
|
p. 62-65
|
|
|
|
청주의 클래식성지 : 박미경의 하우스콘서트 [인터뷰]
|
[인터뷰이]: 박미경 ; 글: 김종섭
|
p. 66-68
|
|
|
|
변화를 꿈꾸며 함께 해서 행복한 공감하는 교육자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모정미 교장 [인터뷰]
|
[인터뷰이]: 모정미 ; 글·사진: 이현민
|
p. 70-73
|
|
|
|
지휘자들을 위한 세상은 없다 : 현직 지휘자가 이야기하는 국내 지휘 음악계의 현주소 [토론]
|
토론: 장윤성, 정나라, 안두현, 진솔, 최현이, 정은현 ; 사회: 김종섭 ; 정리: 박진주 ; 사진: 조기웅
|
p. 74-81
|
|
|
|
나 떨고 있니? : 클래식 음악계의 표절 사례
|
글: 성용원
|
p. 82-83
|
|
|
|
프란츠 에케르트의 '대한제국애국가 작곡 120주년 기념' 한·독 오케스트라 공연
|
글: 김종섭
|
p. 84-85
|
|
|
|
전문 공연장, 공무원 아닌 전문가가 이끌어야 : 김태관 박사, 2022 제주댄스포럼 '비효율적 극장 직영체제' 변화 주장
|
글: 김종섭
|
p. 86-87
|
|
|
|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안겨주는 의미있는 음악회 : 오윤주 피아노 독주회
|
평: 박기헌
|
p. 104-105
|
|
|
|
소극장무대의 더블베이스 선율과 참신한 만남의 장 : 배은혜 더블베이스 독주회
|
평: 박기헌
|
p. 106-107
|
|
|
|
제주의 정서가 담겨있는 판타지 뮤지컬 : 동백꽃 피는 날
|
글: 김종섭
|
p. 108-109
|
|
|
|
유혹 성(聖), 속(俗) : 참필하모닉오케스트라 기획연주 시리즈 Ⅱ
|
평: 신현민
|
p. 110-111
|
|
|
|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 국립오페라단 G.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
글: 이호림
|
p. 112-113
|
|
|
|
봉사정신이 투철한 피아니스트와의 환상적인 만남 : 피아니스트 홍선화 독주회
|
평: 박권일
|
p. 114-115
|
|
|
|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그것이 예술이다 : 소프라노 안젤라 게오르규 내한공연
|
평: 김경환
|
p. 116-117
|
|
|
|
우리민족 고유의 리듬을 느끼다 : 국립합창단의 190회 정기연주회
|
글: 김종섭
|
p. 118-119
|
|
|
|
#아코디언 & 첼로 : 2022일신프리즘시리즈 - 슈테판 후쏭 & 송영훈
|
글: 김효영
|
p. 120-121
|
|
|
|
성대한 개막 : 제19회 평창대관령음악제
|
글: 김종섭
|
p. 122-123
|
|
|
|
음악으로 흩어지는 밤 :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with 힐러리 한
|
평: 이상권
|
p. 124-125
|
|
|
|
오케스트라의 내한공연의 매력적인 스타트 : 쾰른 귀르체니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
글: 여홍일
|
p. 126-127
|
|
|
|
한글로 연결된 현실과 환상의 시소 타기 : 세종문화회관 컨템포러리 시즌 '싱크 넥스트 22' - 태싯그룹
|
평: 송주호
|
p. 128-129
|
|
|
|
제19회 평창 대관령 음악제 : 평창 페스티벌 오케스트라Ⅱ-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
글: 여홍일
|
p. 130-131
|
|
|
|
어둠에서 빛으로 : 소리얼 필하모니 창립 15주년 기념 음악회
|
평: 문일근
|
p. 132-133
|
|
|
|
대담하고 기발한 설정의 프랑스 바로크 오페라-발레 : 쟝-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 - 쁠라떼(Platée)
|
평: 박마린
|
p. 134-135
|
|
|
|
프랑스 피아니즘의 계보의 산증인들이 고풍스런 수도원에서 들려준 프랑스 작품 : 니스 클래식 라이브 페스티벌 개막 공연 및 아카데미
|
글·사진: 박마린
|
p. 136-137
|
|
|
|
유리포디움을 진작 깨버린 여성 지휘자 김봉미
|
글: 김종섭
|
p. 144-145
|
|
|
|
에른스트 호프만 '모래사나이', 레오 들리브의 발레 '코펠리아'
|
글: 박소현
|
p. 152-153
|
|
|
|
바로크 여행. 2
|
글: 강찬우
|
p. 154-155
|
|
|
|
음악에서의 조크 : 스케르초, 유머레스크는 대체로 익살스런 음악, 하이든의 교향곡 '놀람'은 대표적인 음악적 조크
|
글: 정준극
|
p. 156-15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