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 기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cords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museum experience program / 이경희 ; 권선영 1
초록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2.1. 이론적 배경 3
2.2. 선행연구 4
3.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5
3.1. 국내대학박물관 5
3.2. 국외대학박물관 7
3.3. 국내대학박물관 현황분석 8
4.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 기록물관리 방안 14
4.1. 운영방안 14
4.2. 업무지원방안 16
5. 결론 17
참고문헌 1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혜란 (2006). 서울지역 대학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박물관⋅미술관경영전공. | 미소장 |
2 | 국립국악원 (2010). 국악아카이브 구축 전략 수립 연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 미소장 |
3 | 김동전 (2008). 대학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 국립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사학, 30, 31-52. | 미소장 |
4 | 김민기 (2016). 자연사박물관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미소장 |
5 | 김시덕 (2016). 박물관형 아카이브와 민속학적 활용. 비교민속학, 60, 9-34. | 미소장 |
6 | 김재경 (2008).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미술관⋅박물관학전공. | 미소장 |
7 | 김종아 (2008). 지역사회 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박물관 프로그램 개발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 가족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미소장 |
8 | 김태중 (2009). 박물관 기록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민속⋅국립고궁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기록물관리학전공. | 미소장 |
9 | 김홍남 (2001). 대학박물관의 기능과 역할. 고문화, 57, 289-299. | 미소장 |
10 | 나원경 (2011). 박물관 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미소장 |
11 | 문화체육관광부 (2019.6.24.).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 출처: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7342&pMenuCD=0302000000&pCurrentPage=1&pTypeDept=&pSearchType=01&pSearchWord= | 미소장 |
12 | 박제광 (2015).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과 대학박물관 교육의 차별화.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72, 79-94. | 미소장 |
13 | 배기동 (2013). 지속가능발달의 관점에서 보는 21세기의 대학박물관, 대학과 박물과 그리고 사회교육.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제69회 학술발표회, 29-35. | 미소장 |
14 | 서상민 (2016). 박물관 아카이브 운용 사례와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 미소장 |
15 | 신수연 (2011). 한국만화박물관의 기록관리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협동과정. | 미소장 |
16 | 오선화 (2017). 박물관교육 및 전시 아카이브의 현황과 활용방안. 박물관교육연구, 18, 77-108. | 미소장 |
17 | 이기길, 김수아 (2018). 대학박물관의 조사 유적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순천 월평유적군과 구석기인의 길’. 고문화, 92, 7-30. | 미소장 |
18 | 이융조 (2006). 국립대학 박물관의 운영과 과제: 충북대학교를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10, 37-63. | 미소장 |
19 | 장경숙 (2009). 전국대학박물관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공연예술경영전공. | 미소장 |
20 | 전경선 (2018).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성 평가.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기록관리학전공. | 미소장 |
21 | 조민영 (2016). 영국 옥스퍼드 에슈몰린 박물관을 통해서 본 대학박물관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예술기획전공. | 미소장 |
22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1.12.1.). QS 세계대학교 랭킹. 출처: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utm_source=topnav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