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국내에서 시행한 아이스텐트 인젝트(iStent inject®)와 젠(XEN®)의 단독 및 백내장 병합술의 안압하강 효과, 성공률, 예후인자,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내에서 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아이스텐트 인젝트 삽입술과 젠 삽입술을 단독 혹은 백내장수술과 병합하여, 수술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총 83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분석하였다. 수술 성공 여부는 수술 후 안압이 21 mmHg 미만이며, 수술 전 안압에 비해 20% 이상 감소하였을 경우로 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평균 안압하강률은 아이스텐트 인젝트 단독 삽입술(A군, 24안)이 33.80%, 젠 단독 삽입술(B군, 15안)이24.91%, 아이스텐트 인젝트 삽입술과 백내장수술 병합(A-1군, 32안)이 20.47%, 젠 삽입술과 백내장수술 병합(B-1군, 12안)이 30.39% 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안압하강을 보였다. 수술 후 6개월째 안압이 수술 전 안압에 비해 20% 이상 감소한 비율은 A군이 45.5% ± 11.2%, B군이 52.8% ± 15.4%, A-1군이 51.9% ± 9.0%, B-1군이 83.3% ± 10.8%였다. A군과 B군의 성공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p=0.574), A-1군과 B-1군 또한 성공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9).
결론: 아이스텐트 인젝트 삽일술과 젠 삽입술 모두 안압 하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단독 삽입술과 백내장 병합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안압하강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젠 삽입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용 안압약의 감소를 이끌어 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Flaxman SR, Bourne RRA, ResnikoffS, et al. Global causes of blindness and distance vision impairment 1990-202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Glob Health 2017;5:e1221-34. | 미소장 |
2 | Friedman DS, Wilson MR, Liebmann JM, et al.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risk factors for the progression of ocular hypertension and glaucoma. Am J Ophthalmol 2004;138(3 Suppl):S19-31. | 미소장 |
3 | Cairns JE. Trabeculectomy. Preliminary report of a new method. Am J Ophthalmol 1968;66:673-9. | 미소장 |
4 | Akafo SK, Goulstine DB, Rosenthal AR. Long-term post trabeculectomy intraocular pressures. Acta Ophthalmol (Copenh) 1992;70:312-6. | 미소장 |
5 | WuDunn D, Cantor LB, Palanca-Capistrano AM,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intraoperative 5-fluorouracil vs mitomycin C in primary trabeculectomy. Am J Ophthalmol 2002;134:521-8. | 미소장 |
6 | Kim DH, Lee YG, Hong YJ. The effect of mitomycin C on primary trabeculectomy: comparative study in the same pers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2129-35. | 미소장 |
7 | Saheb H, Ahmed II. 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current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s. Curr Opin Ophthalmol 2012;23:96-104. | 미소장 |
8 | Minckler DS, Baerveldt G, Alfaro MR, Francis BA. Clinical results with the Trabectome for treatment of open-angle glaucoma. Ophthalmology 2005;112:962-7. | 미소장 |
9 | De Gregorio A, Pedrotti E, Russo L, Morselli S. Minimally invasive combined glaucoma and cataract surgery: clinical results of the smallest ab interno gel stent. Int Ophthalmol 2018;38:1129-34. | 미소장 |
10 | Spiegel D, Wetzel W, Haffner DS, Hill RA. Initial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trabecular micro-bypass stent in patients with glaucoma. Adv Ther 2007;24:161-70. | 미소장 |
11 | Park SH, Park KH, Lee JW, Shin J. Short-term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iStent in the Republic of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20;61:385-93. | 미소장 |
12 | Gong Y, Hwang HB, Kang KD, Kim YC. Short-term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cataract-combined surgery with istent versus iStent Inject.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243-51. | 미소장 |
13 | Karachalios D, GuthoffRF, Kundt G, et al.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techniques using an oculopression stress test. Klin Monbl Augenheilkd 2020;237:1117-23. | 미소장 |
14 | Birnbaum FA, Neeson C, Solá-Del Valle D. 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an evidence-based review. Semin Ophthalmol 2021;36:772-86. | 미소장 |
15 | Chang TC, Vanner EA, Parrish RK 2nd. Glaucoma surgery preferences when the surgeon adopts the role of the patient. Eye (Lond)2019;33:1577-83. | 미소장 |
16 | Le K, Saheb H. iStent trabecular micro-bypass stent for open-angle glaucoma. Clin Ophthalmol 2014;8:1937-45. | 미소장 |
17 | Katz LJ, Erb C, Carceller Guillamet A, et al. Long-term titrated IOP control with one, two, or three trabecular micro-bypass stents in open-angle glaucoma subjects on topical hypotensive medication:42-month outcomes. Clin Ophthalmol 2018;12:255-62. | 미소장 |
18 | Shiba D, Hosoda S, Yaguchi S,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two trabecular micro-bypass stents as the sole procedure in Japanese patients with medically uncontrolled primary open-angle glaucoma:a pilot case series. J Ophthalmol 2017;2017:9605461. | 미소장 |
19 | Samuelson TW, Sarkisian SR Jr, Lubeck DM,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pivotal trial of an ab interno implanted trabecular micro-bypass in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cataract:two-year results. Ophthalmology 2019;126:811-21. | 미소장 |
20 | Theilig T, Rehak M, Busch C, et al. Comparing the efficacy of trabeculectomy and XEN gel microstent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a retrospective monocentric comparative cohort study. Sci Rep 2020;10:19337. | 미소장 |
21 | Scheres LMJ, Kujovic-Aleksov S, Ramdas WD, et al. XEN® gel stent compared to PRESERFLO™ MicroShunt implantation for primary open-angle glaucoma: two-year results. Acta Ophthalmol 2021;99:e433-40. | 미소장 |
22 | Nicolaou S, Khatib TZ, Lin Z, et al. A retrospective review of XEN implant surgery: efficacy, safety and the effect of combined cataract surgery. Int Ophthalmol 2022;42:881-9. | 미소장 |
23 | Ferguson TJ, Dockter Z, Bleeker A, et al. iStent inject trabecular microbypass stent implantation with cataract extraction in openangle glaucoma: early clinical experience. Eye Vis (Lond) 2020;7:2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