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사회는 다문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다문화 사회’란 일반적으로 다양한 문화나 민족, 인종이 한 사회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말한다. 우리나라 국내 체류외국인은 2019년에 250만 명을 넘어섰다. 이것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한다. 통상적으로 체류외국인의 비율이 5%를 넘게 되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별한 시대적 상황이 없었다면, 한국사회의 외국인 체류 인원이 5% 이상을 넘어선다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따라서 이제 한국은 다문화사회의 바로 문턱에 놓여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정부는 다문화사회를 맞이하면서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제 한국교회가 다문화 사회의 통합을 위한 역할을 해야 할 때이다. 그 방안으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이 있다. 따라서 4가지 관점에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이웃 사랑’의 실천자로서의 역할이다. ‘이웃 사랑’은 다문화사회 통합의 핵심적인 역할이다. 통합은 마음의 문이 열려야 한다. 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것이 ‘이웃 사랑’의 실천이다. 두 번째는 왜곡된 인식의 ‘변화자’로서의 역할이다. 인식의 문제는 다문화사회의 통합에 중요한 부분이다. 세 번째는 영적 접근의 실천자로서의 역할이다. 기독교사회복지가 일반사회복지의 영역에만 치우치면 정체성을 잃을 위험성이 있다. 기독교사회복지는 일반사회복지와 다른 특징으로서 영적 접근 즉 성령의 역사를 통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영적 접근을 통한 실천은 체류외국인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만날 수 있는 다리를 놓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진정한 복지를 실천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관계 회복의 실천자로서의 역할이다. 통합은 관계 회복이다. 관계회복 없이 통합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기대이다. 관계 회복은 기독교사회복지에서 잘 해낼 수 있는 분야이다. 성경이 관계회복에 많은 가르침을 주기 때문이다. 기독교사회복지의 관계회복의 실천 역할은 다문화사회의 통합의 큰 물결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실. “알콜중독자 부인의 영적변화의 경험.” 『통합연구』. 제10권 1호 (1997):161. | 미소장 |
2 |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moeblog/222738568602. | 미소장 |
3 | 김유경 외. “다문화 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 미소장 |
4 | 김은수. “기독교사회복지의 신학적 패러다임.” 『신학사상』. 제112호(2001): 163-182. | 미소장 |
5 | 김정우. 『구약통전(상)』. 서울: 이레서원, 2002. | 미소장 |
6 | 박창우.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복지의 방향.” 『신앙과 학문』. 제14권 1호(2009): 147-174. | 미소장 |
7 | 법무부. 『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014년 12월호. | 미소장 |
8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 월보’』.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022년 3월호. | 미소장 |
9 | 서철원. 『서철원박사 교의신학 제3권 인간론 – 인간, 하나님의 형상』. 서울 : 쿰란출판사, 2018. | 미소장 |
10 | 여성가족부.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청소년가족정책실 다문화가족과, 2022. | 미소장 |
11 | 유장춘. “기독교사회복지운동의 방향과 전략.” 『연세사회복지연구』 제8권(2002):86-135. | 미소장 |
12 | 유장춘.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기독교공동체의 사회복지적 기여방안 모색.” 『기독교사회복지』제1권(2019): 161-205. | 미소장 |
13 | 이부덕. “구약성서의 사회복지사상.” 『기독교와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연구소 편. 서울: 홍익재, 2001. | 미소장 |
14 | 장동민. “교회 사회사업 핵심가치 정립의 모델과 원리.” 『교회사회사업』 제4호(2006): 39-59. | 미소장 |
15 | 전호진. “다문화 사회와 종교의 기능.” 『개혁논총』 제26권(2013): 17-34. | 미소장 |
16 | 최광수.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신앙과 학문』 제17권 1호(2012): 249-280. | 미소장 |
17 | 최광수.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 미소장 |
18 | 최혜양. “캐나다의 이민과 다문화주의 이해.” 『다문화콘텐츠연구』 제9권(2010): 209-239. | 미소장 |
19 | 최홍석. 『인간론』.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5. | 미소장 |
20 | Bell, Daniel. The Cultur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New York: Basic Books‚Inc., Publishers, 1978. | 미소장 |
21 | Hartley, John E. Leviticus. Texas: Word Books, 2002. | 미소장 |
22 | Hasker, William. “Faith-Learnig Intergration: An Overview.” Christian Scholar’s Review, 1992. | 미소장 |
23 | Holmes, Arthur F. Contours of a World View. 이승구 역, 『기독교 세계관』. 서울:엠마오, 2000. | 미소장 |
24 | Hoekema, Anthony A. Created in God’s Image. 류호준 역. 『개혁주의 인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 미소장 |
25 | Muller. R. A.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85. | 미소장 |
26 | Poe, Mary Anne. “Christian Worldview and Social Work.” In D.S. Dockery & G.A. Thornbury Eds. Shaping a Christian Worldview: The foundations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Nashville, TN: Broadman and Holman Publishers, 2002. | 미소장 |
27 | Reamer, Frederic G.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Second Edition.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