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삼국시대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옻칠 유물인 왕과 왕비의 두침(頭枕)과 족좌(足座)에 사용된 귀갑(龜甲)문양을 중심으로 동·서양의 역사, 종교, 예술 및 사회적 배경에서 귀갑문양의 상징성(象徵性)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 결과 귀갑문양은 한국에서는 길상문양(吉祥文樣)의 대표 문양으로 서양에서는 기하학 형태 하나인 육각형(Hexagon) 문양으로 동서양의 문화에서 그 기원과 상징성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가장 오랜 된 귀갑문양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 투토모세(Thutmes)4세 무덤 전실 벽화에서 발견된 것으로 동아시아권으로 전파되면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학술적 자료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옻칠 제품의 산업화를 위하여 옻칠과 귀갑문양의 디자인을 활용하여 대량 생산 방식으로 생산 가능한 옻칠 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옻칠 과정은 소재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긴 작업시간과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며 작업 방법의 표준화가 어려운 것이 현 사회에서 옻칠이 발전하지 못한 원인이 되었다. 이 연구는 옻칠과 전통문양의 하나인 귀갑문양을 활용하는 표준화된 작업 방법으로 생활소품들을 개발 제작하였다. 옻칠 기법으로 귀갑문양을 표현하고, 표준화된 제작 과정으로 비용의 감소와 제품의 표준화를 실시하여, 옻칠 기법들을 적용한 생활소품을 제작이 현대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축, 전자, 사회, 기술 등 다양한 산업화분야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옻칠 기법들이 적용된 제품들이 개발된다면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옻칠 산업화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문화예술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이 시각디자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the NCS and satisfaction of visual design : with a focus on AR-based promotional designs for the street of youth / AR을 활용한 청춘길 홍보 디자인을 중심으로 강소영, 이하나 p. 1-12

라이프스타일 TV에 전시된 오브제의 그림자 변화에 따른 실재감 연구 = A study on the presence of objects with adaptive shadow on the lifestyle TV 강수진 p. 13-23

디지털 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주자나 리코의 활자체 디자인 = Zuzana Licko's typeface design analyzed by focusing on the usage of digital medium 김서연, 박수진 p. 25-35

어린이의 수술 전 불안감 완화를 위한 디지털 안정제의 사례분석 = A case study on digital stabilizers for relief of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김영호, 김지윤 p. 37-55

대학의 디자인 교육 환류 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education reflux process in university : focused on AHP method / AHP기법을 중심으로 김용구 p. 57-68

, <강자아>, <제공: 강룡강세>를 중심으로">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캐릭터 원형에 따른 동물 협력자 연구 : Research on animal collaborators in animation based on Christopher Vogler's character archetypes : make the animation "White Snake: The Origin", "Jiang Ziya", and "Master Ji Gong" adapted from Chinese folklore stories IP as the center / 중국 민간 전설 스토리 IP를 각색한 애니메이션 <백사: 연기>, <강자아>, <제공: 강룡강세>를 중심으로 당일흠 p. 69-87

캐릭터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서적 시점으로 왜곡된 공간 분석 : Analysis of distorted space from an emotional point of view to strengthen the bond with the character : focused on the VR animation <Wolves in the Walls> / VR 애니메이션 <벽 속의 늑대들>을 중심으로 류범열, 양세혁 p. 89-105

문일다의 책 표지 디자인에 나타난 디자인 사상 = The design thought of Wen Yiduo's book cover design 맹지윤 p. 107-120

무령왕릉의 두침과 족좌에 표현된 귀갑문양을 활용한 옻칠 생활소품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Ottchil household goods using Gwigap patterns expressed on the headrest and footrest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백미숙 p. 121-133

'신체-예술’의 훈육과 생성 : The "body-art" discipline and becoming : based on the body theory of Michel Foucault and Gilles Deleuze / 푸코와 들뢰즈의 신체 이론을 기반으로 사요평, 홍순환 p. 135-151

AHP기법을 활용한 도시 포켓파크의 개방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nness evaluation method of urban pocket park using AHP method 손운걸, 김용구 p. 153-163

대학 브랜드를 위한 캠퍼스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mpus wayfinding sign system for university brand 신희경 p. 165-178

Parametric perforated façade pattern design method incorporating perceived emotional effect : 지각된 감성 효과를 적용한 파라메트릭 다공 파사드 패턴 디자인 방법 : 파라메트릭 파사드 디자인을 위한 무리 지능 기반 비대칭적 다공 패턴 생성을 중심으로 / generating swarm intelligence-based asymmetric perforated patterns for parametric façade design Oh, Young Eun p. 179-193

정보전달을 위한 유물의 영상전시 연구 : A study on the video exhibition of relic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 focusing on China's 'Every Treasure Tells a Story' video / 중국 '국보가 말할 줄 알면' 영상을 중심으로 왕홍레, 오치규 p. 195-206

한중 전통문양의 국가 이미지 상징성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image symbolism of traditional patterns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Taegeuk and dragon patterns / 태극문양과 용문양을 중심으로 유덕천 p. 207-222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신체 부재의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body absence in fashion illustration 유연재, 최정화 p. 223-238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홈웨어(Home wear)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ome wear look in modern fashion : focusing on the 2015 S/S ~ 2021 F/W collection / 2015년 S/S ~ 2021년 F/W 컬렉션 중심으로 유연재, 최정화 p. 239-257

'집'의 장소와 공간의 상상력을 이용한 '세로 내리기 기법' 연구 = A study on 'vertical down technique' using the imagination of space and the places of the 'house' 이경해 p. 259-272

버추얼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마케팅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utilizing virtual influencer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 1834th generation consumers / 1834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서연, 구자준 p. 273-289

영·유아 가족을 위한 영·유아 휴게실의 디자인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direction of infant lounge for family including infant and toddlers 이율화 p. 291-307

공공디자인의 관점으로 본 메타버스 디자인요소 분석 : Analysis of metaverse design elements in the realm of public design : focused on Zepeto, Roblox, Minecraft, and Fortnite / 제페토, 로블록스, 마인크레프트 중심으로 이종성, 박재홍 p. 309-322

레이스가 활용된 주얼리 디자인의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expressive method of jewelry design using lace 이진경, 이광선 p. 323-334

박물관의 디지털 체험에서의 유희적 탐색 : Playful exploration of digital experience in museums : focused on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and application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Dancheong / 경험적 디자인 요소와 전통문화 단청을 기반으로 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연, 주진호 p. 335-346

중국의 신고령자와 전통고령자의 스트리트퍼니처 디자인 선호 및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design preference and evaluation standard of street furniture for both existing and new seniors in China 장설한, 김용구 p. 347-367

해서체의 시각적 공간체계를 중심으로 한 고문서 서체 디지털 복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igitization restoration plan of ancient typefaces centering on the visual spatial system of regular script : with a focus on the Chinese anthology 'Changli Xian Sheng Ji' / 중국,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을 중심으로 주비카, 서승연 p. 401-413

비만도에 따른 20대 남성의 체간부 체형 유형화 = Torso body shape type of 20s males according to BMI 차수정 p. 415-432

국가브랜드 향상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체크리스트 제안 : Brand identity checklist for national enhancement : based on national brand valuation factors /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에 기초하여 차은수 p. 433-444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교육공간 차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space to revitalize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한서우, 김연정 p. 445-460

아르누보 도자 작품 분석 : Analysis of art nouveau ceramic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works by Louis Comfort Tiffany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허예슬, 박중원 p. 461-474

지속가능 디자인을 위한 가방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ag for sustainable design 허진영 p. 475-486

국조(國潮) 화장품 브랜드의 특성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a-chic cosmetics brand on purchase intention : take the Chinese millennials in female consumers / 중국 밀레니얼 세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황양언, 구자준 p. 487-503

루빈(陸斌) 작품론 : A study on Lu Bin's works : focused on ceramic works of Buddhist material / 불교적 소재의 도자 조형을 중심으로 전원원 p. 369-381

성격 5요인의 개인 성향이 색채와 실내 배색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tendency on color and interior color preference in big 5 personality 정용기, 강덕구 p. 383-399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hn, H. J.(2018). A Report on the Mandara Beach in Tin Shui Kok. Art Material, No. 93 A wishful auspicious pattern in a kimono's obi. (2022, March 10) https://www.kr-kyotooike.yumeyakata.com/post/20201207-1 미소장
2 Anne E., & Petter, K. (1994). Hindu painting language. Donmonsun Books. 미소장
3 Colin, R. F., & Paul, B. (2006). Archaeology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Social review, 362-363. 미소장
4 Gwigapmun Patten. (2022, May 19). http://chinesewiki.uos.ac .kr/wiki/index.php/%E9%BE%9C). 미소장
5 Giorrgio, F. (2007). Egypt: History and treasures of an ancient civilizati on. Tree Book. 미소장
6 Hwang, J. K. (2015). A Design study on cufflinks with figuration of tortoise & hexagonal structur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2). 미소장
7 Hexagon. (2021, July 20). Chinesewiki.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E9%BE%9C 미소장
8 Jeong, K. Y., & Jeong, S. K., & Yun, S. H. (2020). Textile printing design. Chang Lam Books. 미소장
9 Kang, W.(2021, July 06) Yun, J. H.(2013). Study on the hexagonal patterns. https://blog.daum.net/ilhyangacademy/497 미소장
10 Kun, O. Y.(1999). New ideas and suggestions from ancient Korea.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32, 113-118. 미소장
11 Lee, Y. H.(2011). Keep the tomb of King Muryeong. Gongju National Museum. 미소장
12 Lee, H. S.(2009). The role of Sasanjo Persia in the formation of Islamic Culture and its interaction with East Asia. Review of the Korean Central Society, 30. 미소장
13 Lee, H. S.(2011). A Study on the exchange of ancient northeast Asian countries with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belt.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33. 미소장
14 Michael, S. (1994/2002). Beginner's guide to constructing the universe. Gyeongmunsa. 미소장
15 Park, S. Y. (2015). Focusing on the metal decorations of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53. 미소장
16 Park, S. Y. (2016).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adrests and Footrests Foun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89 미소장
17 Ryu, H. J. (2010).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on pattern featur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dress.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2). 미소장
18 Yang, G. S. (2009). Excellence and internationality of Baekje`s culture. 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40. 미소장
19 Yoon, J. A. (2013). Study on the hexagonal patter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16(3). 미소장
20 Yoshimura, Sakura. (1996/2002). Egypt history trip with archaeologists. Seohe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