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宋子大全」 | 미소장 |
2 | 「白湖全書」 | 미소장 |
3 | 「華西先生文集」 | 미소장 |
4 | 「肅宗實錄」 | 미소장 |
5 | 「肅宗實錄(補闕正誤)」 | 미소장 |
6 | 「論語」 | 미소장 |
7 | 「論語集注」 | 미소장 |
8 | 「孟子集註」 | 미소장 |
9 | 「大學或問」 | 미소장 |
10 | 「大學」 | 미소장 |
11 | 「大學章句」 | 미소장 |
12 | 「中庸章句」 | 미소장 |
13 | 「朱熹文集」 | 미소장 |
14 | 강문식, 「宋時烈의 「朱文抄選」 편찬과 그 의미」 「한국문화」 6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13 | 미소장 |
15 | 곽신환, 「宋時烈의 變通論과 개혁사업」 「유교사상문화연구」 32, 2008 | 미소장 |
16 | 곽신환, 「우암 송시열」, 서광사, 2012. | 미소장 |
17 |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17. | 미소장 |
18 | 김문준, 「우암 우암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6. | 미소장 |
19 | 김문준 「정몽주와 송시열의 춘추정신과 대명의식」 「포은학연구」 25, 2020 | 미소장 |
20 | 김문준, 「송시열의 도학적 사회사상」 「율곡학연구」 44, 2021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6. | 미소장 |
21 | 김세봉, 「17世紀湖西山林勢力硏究」, 단국대 박사논문, 1995. | 미소장 |
22 | 김준석, 「조선후기 국가재조론의 대두와 그 전개」, 연세대 박사논문, 1990 | 미소장 |
23 | 김현수, 「宋時烈의 禮學思想考察: 時宜的, 義理的思考를 中心으로」 「동서철학연구」 48, 2008 | 미소장 |
24 | 나종현, 「송시열의 理에 대한 논의와 그 정치적 의미: 퇴계학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泰東古典硏究」 43, 2019 | 미소장 |
25 | 도민재, 「尤庵宋時烈의 家禮觀」 「儒學硏究」 유학연구소, 2014 | 미소장 |
26 | 박관규, 「우암 송시열의 <寧陵誌文>, 그 찬진의 과정과 표현의 특징」 「어문논집」 54, 2006 | 미소장 |
27 | 박성순, 「正祖의 宋時烈顯彰과 王權强化」 「한국사연구」 141, 2008 | 미소장 |
28 | 방상근, 「17세기 조선의 禮질서의 再建과 宋時烈」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6, 2017 | 미소장 |
29 | 孫文鎬, 「朝鮮後期湖西地域士林의 政治思想硏究: 宋時烈을 중심으로」, 「湖西文化論叢」 9․10, 1996 | 미소장 |
30 | 손흥철, 「尤庵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儒學硏究」 26, 2012 | 미소장 |
31 |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상)」, 지신산업사, 2011. | 미소장 |
32 | 안외순, 「「論語」 「孟子」 : 호혜적 공감의 문화정전」NAVER 열린연단 2020, 6. 6 강연 원고 | 미소장 |
33 | 양승태/안외순, 「한국 보수주의 기원 연구 1: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1, 1998. | 미소장 |
34 | 오항녕, 「기억의 시냅스: 孝宗과 宋時烈, 그리고 正祖」 「동서철학연구」 48, 2008 | 미소장 |
35 | 우경섭, 「우암 송시열 연구의 현황과 과제」 「중원문화연구」 10, 2017 | 미소장 |
36 | 우경섭, 「악대설화와 효종의 비밀편지」 「한국학연구」 50, 2018 | 미소장 |
37 | 유영희, 「백호 윤휴사상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1993 | 미소장 |
38 | 유재건, 「유럽중심주의와 자본주의」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 푸른역사, 2009. | 미소장 |
39 | 윤대식, 「송시열의 조선 사상사에서의 위상」, 2020.10월 정치외교사학회 학술발표 자료집, 2020 | 미소장 |
40 | 이경구 「‘學'에서 ‘主義'로 이이와 송시열의 경서 이해」 「泰東古典硏究」 40, 2018 | 미소장 |
41 | 이봉규, 「宋時烈의 性理學說硏究」, 서울대 박사논문, 1996. | 미소장 |
42 | 이봉규, 「조선후기예송의 철학적 함의」 「한국학연구」, 1998. | 미소장 |
43 | 이상익, 「畿湖性理學硏究」, 한울, 1998. | 미소장 |
44 | 이영춘, 「예송의 당쟁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재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미소장 |
45 | 이영춘, 「尤庵宋時烈의 尊周思想」 「淸溪史學」 2, 1986 | 미소장 |
46 | 이영춘, 「조선후기 왕위계승의 정통성연구」, 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4 | 미소장 |
47 | 정재훈, 「尤庵宋時烈의 정치사상」 「한국사상과문화」 23, 2000 | 미소장 |
48 | 정호훈, 「윤휴의 정치이념과 부국강병책」, 「민족문화」 26, 2003 | 미소장 |
49 | 정호훈, 「朝鮮後期'異端' 論爭과 그 政治思想的意味」, 「한국사학보」 10, 2001. | 미소장 |
50 | 지두환, 「우암 송시열의 경세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48, 2011. | 미소장 |
51 | 한우근, 「白虎尹鑴硏究」1,2,3, 「歷史學報」, 15⋅16⋅19집 | 미소장 |
52 | 드 배리, Wm. (1983), 표정훈 역, 「중국의 자유전통」, 이산, 1998. | 미소장 |
53 | 시마다 겐지, 김석근⋅이근우 역,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86. | 미소장 |
54 | 三浦國雄, 「17世紀朝鮮에 있어서의 正統과 異端」 「민족문화」 18집, 1982 | 미소장 |
55 | 余英時, 장현근 역, 「지식을 배척한 중국의 정치전통」, 장현근 편저, 「중국정치 사상입문」, 지영사, 1997. | 미소장 |
56 | Ching, Julia. “The Goose Lake Monastery Debate”,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1974, 1, (2). | 미소장 |
57 | Deuchler, Martina. "Reject the False and Uphold the Straight: Attitudes Toward Heterodox Thought in Early Yi Korea" de Bary, Wm. Theodore, ed., The Rise of Neo-Confucianism in Korea, Columbia Univ. Press, 198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