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우암 송시열(1607-1689)의 주자학적 정치체제론의 성격을 주지주의와 관련하여 추적하는데 있다. 우암은 17세기 후반 조선을 대표하는 주자학자, 나아가 심지어 자타공인 ‘주자학보수주의자’인 만큼 그의 정치체제론 이해는 그의 이론만이 아니라 조선 주자학과 주자학 자체의 정치체제론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도 한다. 즉, 물론 우암의 정치생애 후반들어 초기의 학문적 논쟁이 교조적 양상으로 변질되면서 자신의 명예와 이론의 가치가 훼손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그의 주자학적 지식인지배체제론, 곧 사대부정치체제론(士大夫政治體制論)은 기존보다 더욱더 확대된 정치권력의 합리화, 세속화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진보한 장점을 지녔다면, 그 주지주의적 속성으로 인해 타협과 관용을 본질로 하는 유교정치론의 인(仁)의 속성을 약화시키는 대신 진리 추구의 지식적 속성에 경도되었다는 점에서 약점도 지녔다. 이것은 공존과 타협을 제일의로 하는 인(仁)의 덕목을 최우선시했던 공맹의 원시유교사상과는 그만큼 거리가 멀어지고 대신 주지주의적 노선을 걸었던 주희의 주자학 자체의 한계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점이 여타 학문과 마찬가지로 주자학에 대해서도 지지하면서도 비판적 열린 시각을 유지했던, 그러면서 인(仁)의 실천을 잃지 않았던 율곡 이이와의 차이라고 하겠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明初의 말 수급체계와 거래가격 : A study on horse adminstration and government purchase price in the early Ming China / 女眞⋅高麗⋅朝鮮에 대한 말 수매가를 중심으로 임경준 p. 9-33

8~10세기 동유라시아 모피 무역의 실상 = The reality of east Eurasian fur trade in the 8~10th centuries 윤재운 p. 35-61

1910-1911년 旱獺皮와 만주 페스트 유행 = Marmot fur and Manchurian plague in 1910-1911 김현선 p. 63-88

우환의 서사에서 본 주역의 역도와 성인사관 : Zhou-yi’s Yidao and the historical view of sagehood from the perspective of anxiety narrative : a historical contents of narrativism / 서사주의의 역사콘텐츠 김연재 p. 89-113

『노자(老子)』의 '물[水]'의 메타포와 『정역(正易)』의 '십(十)'의 상징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taphors of ‘water’ in Laozi(老子) and the symbols of ‘ten ultimatelessness’ in JeongYeok(正易) 권기완 p. 115-139

실학의 실천적 계승과 대중적 소통 방안 : The applicatory succession and public communicating plan of the practical learning / 민족 전통 지식의 사회적 적용 김경미 p. 169-192

수당 이남규의 교육사상 고찰 : A study on the educational ideology of Lee, Namgyu, Soodang : focusing on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 유학의 전통교육 계승을 중심으로 신창호 p. 193-217

<도천수대비가>와 '아이'에 대한 두 시선 = <Docheonsudaebiga> and two perspectives for ‘child’ 이완형 p. 219-243

20세기 초 금강산 표상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Geumgangsan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Choi Nam-seon's 「Pungakgiyu」 and 『Geumgang Yechan』 / 최남선의 「풍악기유」와 『금강예찬』을 중심으로 박은정 p. 245-267

정지용 시론(時論) <남의 일 같지 않은 이야기> 속의 대만(臺灣) 원주민족(原住民族) 서술 연구 = A study on Taiwanese aborigines description in "A Story that does not Sound Like Others," an essay of Jeong Ji-yong 장정해 p. 269-293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錄)』을 통해 본 1811년 통신사의 해신제(海神祭) 연구 = A study of Tongsinsa's Haesinje in 1811 through the Sinmitongsinilrok 문경호 p. 295-316

중국 청대 양칠(洋漆)의 명칭과 제작실태의 시기별 변천 = Historical changes in the name and production status of Yang-qi(洋漆) during the Qing Dynasty of China 팽잠심, 장경희 p. 317-347

5-6세기 중국 회화의 채색(彩色) 및 선묘(線描) 분화(分化) = The differentiation of coloring and drawing of Chinese painting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김병모 p. 349-381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정치체제론 = Wooam Song Si-yeol's Neo-Confucianism theory of political system in Joseon 안외순 p. 141-168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宋子大全」 미소장
2 「白湖全書」 미소장
3 「華西先生文集」 미소장
4 「肅宗實錄」 미소장
5 「肅宗實錄(補闕正誤)」 미소장
6 「論語」 미소장
7 「論語集注」 미소장
8 「孟子集註」 미소장
9 「大學或問」 미소장
10 「大學」 미소장
11 「大學章句」 미소장
12 「中庸章句」 미소장
13 「朱熹文集」 미소장
14 강문식, 「宋時烈의 「朱文抄選」 편찬과 그 의미」 「한국문화」 6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13 미소장
15 곽신환, 「宋時烈의 變通論과 개혁사업」 「유교사상문화연구」 32, 2008 미소장
16 곽신환, 「우암 송시열」, 서광사, 2012. 미소장
17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17. 미소장
18 김문준, 「우암 우암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6. 미소장
19 김문준 「정몽주와 송시열의 춘추정신과 대명의식」 「포은학연구」 25, 2020 미소장
20 김문준, 「송시열의 도학적 사회사상」 「율곡학연구」 44, 2021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6. 미소장
21 김세봉, 「17世紀湖西山林勢力硏究」, 단국대 박사논문, 1995. 미소장
22 김준석, 「조선후기 국가재조론의 대두와 그 전개」, 연세대 박사논문, 1990 미소장
23 김현수, 「宋時烈의 禮學思想考察: 時宜的, 義理的思考를 中心으로」 「동서철학연구」 48, 2008 미소장
24 나종현, 「송시열의 理에 대한 논의와 그 정치적 의미: 퇴계학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泰東古典硏究」 43, 2019 미소장
25 도민재, 「尤庵宋時烈의 家禮觀」 「儒學硏究」 유학연구소, 2014 미소장
26 박관규, 「우암 송시열의 <寧陵誌文>, 그 찬진의 과정과 표현의 특징」 「어문논집」 54, 2006 미소장
27 박성순, 「正祖의 宋時烈顯彰과 王權强化」 「한국사연구」 141, 2008 미소장
28 방상근, 「17세기 조선의 禮질서의 再建과 宋時烈」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6, 2017 미소장
29 孫文鎬, 「朝鮮後期湖西地域士林의 政治思想硏究: 宋時烈을 중심으로」, 「湖西文化論叢」 9․10, 1996 미소장
30 손흥철, 「尤庵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儒學硏究」 26, 2012 미소장
31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상)」, 지신산업사, 2011. 미소장
32 안외순, 「「論語」 「孟子」 : 호혜적 공감의 문화정전」NAVER 열린연단 2020, 6. 6 강연 원고 미소장
33 양승태/안외순, 「한국 보수주의 기원 연구 1: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1, 1998. 미소장
34 오항녕, 「기억의 시냅스: 孝宗과 宋時烈, 그리고 正祖」 「동서철학연구」 48, 2008 미소장
35 우경섭, 「우암 송시열 연구의 현황과 과제」 「중원문화연구」 10, 2017 미소장
36 우경섭, 「악대설화와 효종의 비밀편지」 「한국학연구」 50, 2018 미소장
37 유영희, 「백호 윤휴사상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1993 미소장
38 유재건, 「유럽중심주의와 자본주의」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 푸른역사, 2009. 미소장
39 윤대식, 「송시열의 조선 사상사에서의 위상」, 2020.10월 정치외교사학회 학술발표 자료집, 2020 미소장
40 이경구 「‘學'에서 ‘主義'로 이이와 송시열의 경서 이해」 「泰東古典硏究」 40, 2018 미소장
41 이봉규, 「宋時烈의 性理學說硏究」, 서울대 박사논문, 1996. 미소장
42 이봉규, 「조선후기예송의 철학적 함의」 「한국학연구」, 1998. 미소장
43 이상익, 「畿湖性理學硏究」, 한울, 1998. 미소장
44 이영춘, 「예송의 당쟁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재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미소장
45 이영춘, 「尤庵宋時烈의 尊周思想」 「淸溪史學」 2, 1986 미소장
46 이영춘, 「조선후기 왕위계승의 정통성연구」, 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4 미소장
47 정재훈, 「尤庵宋時烈의 정치사상」 「한국사상과문화」 23, 2000 미소장
48 정호훈, 「윤휴의 정치이념과 부국강병책」, 「민족문화」 26, 2003 미소장
49 정호훈, 「朝鮮後期'異端' 論爭과 그 政治思想的意味」, 「한국사학보」 10, 2001. 미소장
50 지두환, 「우암 송시열의 경세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48, 2011. 미소장
51 한우근, 「白虎尹鑴硏究」1,2,3, 「歷史學報」, 15⋅16⋅19집 미소장
52 드 배리, Wm. (1983), 표정훈 역, 「중국의 자유전통」, 이산, 1998. 미소장
53 시마다 겐지, 김석근⋅이근우 역,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86. 미소장
54 三浦國雄, 「17世紀朝鮮에 있어서의 正統과 異端」 「민족문화」 18집, 1982 미소장
55 余英時, 장현근 역, 「지식을 배척한 중국의 정치전통」, 장현근 편저, 「중국정치 사상입문」, 지영사, 1997. 미소장
56 Ching, Julia. “The Goose Lake Monastery Debate”,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1974, 1, (2). 미소장
57 Deuchler, Martina. "Reject the False and Uphold the Straight: Attitudes Toward Heterodox Thought in Early Yi Korea" de Bary, Wm. Theodore, ed., The Rise of Neo-Confucianism in Korea, Columbia Univ. Press, 19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