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Why are Russians so obsessed with Akunin's mystery novel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zazel>, the first and representative work of Akunin's Pandorin mystery se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 character's figure, plot, and genre. I compared Sherlock Holmes with Pandori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ype of detective’, and I reviewed various anti-detective persona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lassic mystery novels. Azazel, for example, does not deal with murder cases committed by a single individual, which is very unusual in traditional mystery novels. Azazel, the novel's title, is the name of the culprit of this novel. What is the identity of Azazel? It is close to a group or organization. If we keep in mind the fact that Akunin is a writer who has a voice critical of the current undemocratic and authoritarian Russian system, Azazel can be seen as a symbol of totalitarian socialism that the writer is trying to criticize. However, the important thing is not whether Azazel is a Jewish religious organization or a political group trying to realize a particular ideology. It means that any of those belong to a group or an organization, not just a private individual at least. Therefore, the greed of the individual, which is conventional in many classic mystery novels, was not the motive for the murder in 『Azazel』, but the great enlightenment ideology of the salvation of mankind. Also, in this paper, it is reviewed that the Russian mystery novel 『Azazel』 is rather closer to the tradition of the French mystery novel than the Anglo-Saxon novel.
As discussed the abo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Azazel should be analyzed closer to a crime novel rather than a detective novel. Lastly, the postmodern nature of this novel is briefly discussed.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대중문학연구회(편)(1997)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 미소장 |
2 | 문준일(2013) 「포스트소비에트 문학공간의 탈경계화. 현대 러시아 대중소설과 보리스 아쿠닌」, 『노어노문학』 25-4, 한국노어노문학회, pp.245-278. | 미소장 |
3 | 미스터리 사전 편집위원회(2017), 미스터리 사전, 비즈앤비즈, 2017. | 미소장 |
4 | 보리스 아쿠닌(2019) 『아자젤』, 이항재 옮김, 아작. | 미소장 |
5 | 아서 코난 도일(2022) 『주홍색 연구』, 백영미 옮김, 황금가지. | 미소장 |
6 | 아서 코난 도일(2022) 바스커빌 가문의 개, 백영미 옮김, 황금가지. | 미소장 |
7 | 양수련 외(2021) 『장르소설 입문자를 위한 글쓰기』, 북오션. | 미소장 |
8 | 에르네스트 만델(2001) 『즐거운 살인: 범죄소설의 사회사』, 이후. | 미소장 |
9 | 에밀 가보리오(2011) 『르루주 사건』, 안화남 역, 페이퍼하우스. | 미소장 |
10 | 에밀 가보리오(2003) 르콕 탐정, 한진영 옮김, 국일미디어. | 미소장 |
11 | 오혜진(2021) 『시대와의 감흥, 역사추리소설』, 역락. | 미소장 |
12 | 이항재(2002) 「현대 러시아 대중문학 읽기 : Б. 아쿠닌의 『아자젤』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13-2,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pp.129-148. | 미소장 |
13 | 정항균(2006) 「추리소설의 경계 변천 고찰(1)」,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 26호, 한국뷔히너학회, pp.167-201. | 미소장 |
14 | 정항균(2006) 「추리소설의 경계 변천 고찰(2)」, 『뷔히너와 현대문학』 제 27호, 한국뷔히너학회, pp.241-270. | 미소장 |
15 | 존 스캑스(2013) 『범죄소설』, 나영균․전수용 옮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6 | 줄리언 시먼스(2012), 『블러디 머더: 추리 소설에서 범죄 소설로의 역사』, 을유문화사. | 미소장 |
17 | 츠베탕 토도로프(2003) 『산문의 시학』, 예림기획. | 미소장 |
18 | 토마 나르스작(2003) 『추리소설의 논리』, 예림기획. | 미소장 |
19 | Н.Н. Кириленко(2012) 「Авантюрное расследование или классический детектив」, 『Новыйфилологический вестник』2-21, pp.80-95. | 미소장 |
20 | Н.Н. Кириленко(2016) 『Жанровый инвариант и генезис классического детектива, Диссертацияна соискание ученой степени кандидата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