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恨)과 모노노아와레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Han(恨) and monono-aware : religio-aesthetical ‘coincidentia oppositorum’ / 종교미학적 '반대의 일치' 박규태 p. 1-30

日本社会と韓国食の融合における社会·文化的影響 : Influence of social background on the fusion of Japanese society and Korean food :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and Korean food in Japanese society / メディアを介する日本社会と韓流·韓国食の相互作用から 朴根模, 金ダヒン p. 31-52
쓰키오카 요시토시(月岡芳年)의 요괴화(妖怪画)에 내재된 원소스 멀티유스 = A study on how Tsukioka Yoshitoshi used the method of one-source multi use on his Ukiyo-e of Yōkai 손정아 p. 53-75
트랜스내셔널한 로컬의 영상예술과 수행적 기억 : Transnational local art and performative memory : project <Still Hear the Wound: Towards an Asia, Politics, Art To Come> and Soni Kum's works / '잔상의 소리(残傷の音)' 프로젝트와 금선희(琴仙姫)감독 안민화 p. 77-107
일본의 죽음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ath education in Japan : focusing on death education by Alfons Deeken / 알폰스 데켄(Alfons Deeken)의 죽음준비교육을 중심으로 신현정 p. 109-126
전시기 일본의 대(對)중국 영화정책과 '대동아영화(大東亜映画)' = Wartime Japan's film policy in China and the ‘Great East Asian Cinema’ 강태웅 p. 127-148
일본 소시민의 '여가 생활' 연구 : A study on the leisure life of Japanese the petite bourgeoisie : focusing on the petite bourgeoisie's movies in the 1920s and 30s / 1920,30년대 소시민영화를 중심으로 이수경 p. 149-175

『대동아권동화총서』, 소환되는 트랜스 동아시아 문화의 기억 = The Great Asian Fairy Tales Collection, recalled memories of trans East Asian culture : 『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중심으로 한채민, 허일륜 p. 177-206
銃後における民衆動員の実態 : The actual situation of public mobilization on the home front : focusing on the Diary of Chihei Terakado / 『寺門治平日記』を中心に 金炫我 p. 207-226

재조선 일본인 귀환자의 한일 청구권 문제, 1945-1965 = Japanese repatriate and the issue of claims in ROK-Japan relations, 1945-1965 박경민 p. 227-247
德川家 2차 처분의 산파역,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 Midwifery station of the second punishment of the Tokugawa Family, Toshimichi Okubo 심기재 p. 249-266
중·근세 동아시아의 인기 무역품, 일본도(日本刀) = A study of Japanese swords as a trade goods in early modern period of East Asia 윤유숙 p. 267-286
헤이안 문학에 보이는 여성의 이동 양상과 원형 = Aspect and archetype of women's movement shown in Heian literature 민병훈 p. 287-307
일본 근대 탐정소설을 둘러싼 과학적 상상력 : The scientific imagination of the modern Japanese detective novels : focusing on Yumeno Kyusaku's an altered detective stories /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의 변격 탐정소설을 중심으로 이현희 p. 309-330

점령기 일본 추리소설의 재구축과 문학상 제도 = Reconstruction of Japanese mystery novels during the occupation and the literature award system 한정선 p. 331-346

『磨光韻鏡』 山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 On the Kana Notations of Group Shan(山) in Mako-Inkyo : focusing on grade 3th and 4th / 3·4等韻을 중심으로 孟垚, 李京哲 p. 347-364

고대일본어의 <자동사+ラレル>형 표현의 용법에 대해서 = A study of the RARERU expression of an intransitive verb in old Japanese 박종승 p. 365-387
메이지기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Translation in Meiji period of Japan and its acceptance of Korea : with focused on the term [obligation] / [obligation]이 [의무(義務)]로 번역되기까지 최경옥 p. 389-412

日本語の主題構文「X1は、X2が、Yだ。」に関する一考察 : A study of Japanese topic syntax “X1wa X2ga Y da.” : focusing on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Korean in untitled sentences / 無題化文における韓国語との比較·対照を中心に 金昭喜, 實近麻里 p. 413-430
한국어와 일본어의 신체이동 : A study of body motion in Japanese and Korean : based on comparison with Talmy's caused motion / Talmy의 사역이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선민정 p. 431-446
「N1ノN2」의 사용양상 분석 = A study on the usage of 「N1 NO N2」 : 일본어의 특징적인 표현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안선주 p. 447-464
동사의 부정 정중형 '~ないです'의 기능 = The function of ‘-naides’ form of Japanese verbs 한정연 p. 465-481
한국 콘텐츠 투어리즘의 확장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expandability of Korean contents tourism through the university class Japanese contents tourism / '일본의 콘텐츠 투어리즘'의 수업실천을 통해 김지선 p. 483-508
일본어와 한국어의 약어의 유형에 관한 대조연구 = A study on comparison of abbreviation type in Japanese and Korean 이현정 p. 509-532
サイバー大学におけるスマートラーニングの縦断的変化 = Longitudinal changes in smart learning of cyber university 黃永熙 p. 533-549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태웅(2007) 「만주국 극영화의 제상(諸相)」, 『한국문학연구』 Vol.3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p.108. 미소장
2 이화진(2016) 「유럽영화의 조선 배급」, 『현대 영화연구』 Vol.25,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pp. 281-334. 미소장
3 이형식(2108) 「‘내파(內破)’하는 ‘대동아공영권’-동남아시아 점령과 조선통치-」, 『사총』 Vol.93,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pp.77-118. 미소장
4 하정식(2004) 「太平天国과 近代日本」, 『일본역사연구』 제20집, 일본사학회, pp.94-99. 미소장
5 有澤晶子(2015) 「川喜多長政ー映画に生きたコスモポリタンの人」, 『<異郷>としての大連・上海・台北』, 勉誠出版, p.273. 미소장
6 内山正熊(1982) 「川喜多大尉北京客死事件」, 石川忠雄教授還暦記念論文集編集委員会編, 『現代中国と世界-その政治的展開 石川忠雄教授還暦記念論文集』, 慶應通信, p.319. 미소장
7 晏妮(2017) 「川喜多長政と戦時上海・中国」, 『アジア遊学』 Vol.205, 勉誠出版, pp.168-169. 미소장
8 加藤厚子(2003) 『総動員体制と映画』, 新曜社, pp.190-194. 미소장
9 工藤信弥(2015) 「日朝戦争期上海における川喜多長政」, 『COSMOPOLIS』 No.9, 上智大学大学院グローバル・スタディーズ, pp.31-33. 미소장
10 佐藤忠男(1985) 『上海キネマポート』, 凱風社, p.36. 미소장
11 佐藤忠男(2004) 『キネマと砲声』, 岩波書店, p.175. 미소장
12 鈴木善昭(2010) 「川喜多長政と李香蘭」, 『上海時間旅行』, 山川出版社, p.73. 미소장
13 田中純一郎(1968) 『日本映画発達史』 2, 中央公論社, p.343. 미소장
14 田中剛(2009) 「成吉思汗廟の創建」 『20世紀中国の社会システム: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附属現代中国研究センター研究報告』,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pp.113-139. 미소장
15 東和映画(1982) 『東和の半世紀』, 東宝東和株式会社, 1982, pp.231-236. 미소장
16 辻久一(1987) 『中華電映史話』, 凱風社, pp.123-125. 미소장
17 ピーター B. ハーイ(1995) 『帝国の銀幕』, 名古屋大学出版会, p.246. 미소장
18 劉文兵(2016) 『日中映画交流史』 東京大学出版会, p.20. 미소장
19 Fu, Poshek(2003), Between Shanghai and Hong Kong: the politics of Chinese Cinema, Stanford Uni電影藝術versity Press, p.97. 미소장
20 李道新(2005) 「沦陷时期的上海电影与中国电影的历史叙述」, 『北京电影学院学报』 第2期, 北京电影学院, p.2. 미소장
21 朱天緯(1995) 「‘友好’還是侵略—川喜多長政的電影文化侵略罪行」, 『電影藝術』 03, 中国电影家协会, p.24. 미소장
22 郑炀(2018) 「‘国策’宣贯, 个人理想与‘中华电影’—1939年川喜多长政上海赴任始末」, 『当代电影』09, 当代电影编辑部, pp.80-85, 미소장
23 郑炀(2019) 「重写电影史视阈下川喜多长政的‘中国情结’来源考论」, 『北京电影学院学报』 12, 北京电影学院, pp.84-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