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반옥량은 사회 취약계층인 기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상해미전에 최초로 입학한 여학생 중 한명으로 당시 활동이 제한적이던 여성 화가들과 달리 상해 및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활발히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녀는 전반기 상해와 프랑스에서 학습한 유화와 인상주의, 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중반기에는 중국화 개량론을 수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후반기에 독특한 화풍을 개척하였다. 동시에 내면의 고찰을 통해 여성과 중국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개성적인 소재와 화풍으로 발현하였다. 20세기 중국 여성화가로서의 반옥량의 삶과 그녀의 작품을 조명하여 그녀가 성장한 환경에 기반하여 반영된 심리, 작품 주제의 유래와 시기별 변화의 원인을 도출하여 중국 근현대 여성화가 연구의 발판이 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재중 동포의 언어 태도와 언어 능력에 대한 유학 시기별 분석 = An analysis by period of study abroad on the language attitude and language proficiency of Korean Chinese : 조선어, 한국어, 중국어를 중심으로 김보영 p. 13-40

일본 카지노의 합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 Legalization of Japanese casinos and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s Kangwon Land casino / 한국 강원랜드 카지노와의 대비를 통하여 송은미, 이충기 p. 43-71

'아랍의 봄' 이후 튀니지인의 이주 : Post-Arab Spring transboundary migration of Tunisians with a focus on the youth population / 청년층을 중심으로 서정민, 이경수 p. 73-99

Lexical richness in L2 students’ writing and the native-speaker teacher’s revision : 제2언어 글쓰기와 원어민 강사 수정본의 어휘 다양성에 대한 기술적 연구 / a descriptive study Kwanghyun Park, Colin Walker p. 101-126

조약 논의 과정을 통해 본 중소관계의 변화, 1931-1941 = Changes in Sino-Soviet re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concluding treaties : 1931-1941 정형아, 정창원 p. 127-159

페르미어의 <중매인>에 대한 고찰 = Studies of Vermeer's Procuress 김호근 p. 161-184

이중섭 엽서화의 기법과 도상 연구 = A study on the techniques and iconographic of Lee Jung-Seop's postcard paintings 신수경 p. 185-216

반옥량(潘玉良, 1895-1977)의 여성인물화 연구 = A study on the female figure painting of Pan Yu-liang(1895-1977) 이가연 p. 217-247

우지정(禹之鼎)의 초상화 = Study of Wu Zhiding's portraits 장준구 p. 249-275

광기의 박물관 : Museum of madness : a study on the other's form based on images / 이미지가 구성한 타자의 형식 연구 한의정 p. 277-309

환상과 허구의 예술 : The art of fantasy and fiction : Lim Hong-un's artistic activities and early animation in North Korea / 임홍은의 예술활동과 북한 초기 애니메이션 홍성후 p. 311-346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약허(郭若虛) 저, 박은화 역, 도화견문지(圖畫見聞誌), 서울: 시공아트, 2005. 미소장
2 김도희, 「1929년 중화민국 교육부 제 1차 전국미술전람회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미소장
3 낭소군 저, 김상철 역, 전통을 딛고 새로운 지평을 열다-중국 근현대 미술, 서울: 시공아트, 2005. 미소장
4 로라 커밍 저, 김진실 역, 자화상의 비밀, 파주: 아트북스, 2012. 미소장
5 뤼펑 저, 이보연 역, 20세기 중국미술사, 파주: 한길아트, 2013. 미소장
6 스난 지음, 김윤진 역, 화혼 판위량, 서울: 북폴리오, 2004. 미소장
7 심괄(沈括) 저, 최병규 역, 몽계필담(夢溪筆談), 파주: 범우사, 2002. 미소장
8 안영은, 「판위량(潘玉良) 자화상(自畵像) 일고찰」, 中國學論叢 69,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2020), pp. 163-187. 미소장
9 이조(李肇) 저, 이상천 역, 당국사보(唐國史補), 고양: 학고방, 2006. 미소장
10 이주현 등, 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 서울: 사회평론, 2011. 미소장
11 전규태, 박희숙, 세계의 누드화, 고양: 서문당, 2010. 미소장
12 조성숙, 「나혜석과 판위량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주의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pp. 299-310. 미소장
13 郭有守, 「流法女畫家潘張玉良夫人」, 潘張玉良夫人畫刊特輯, 1959. 미소장
14 董松, 潘玉良藝術年譜, 合肥: 安徽美術出版社, 2013. 미소장
15 董松, 「潘玉良年譜後編(1937-1977)」, 書畫世界 9, 精英論壇(2014), pp. 25-28. 미소장
16 董松, 「尋找失落的_中國留法藝術學會」, 美術研究 3, 近現代美術史 (2019), pp. 46-54. 미소장
17 潘玉良, 潘玉良油畫集, 上海: 上海中華書局, 1934. 미소장
18 範迪安, 潘玉良全集 1-8, 合肥: 安徽美術出版社, 2015. 미소장
19 徐曉晨, 「潘玉良人體畫研究」, 碩士學位論文, 上海師範大學, 2016. 미소장
20 蘇雪林, 靑鳥集, 北京: 商務印書館, 1938. 미소장
21 孫妮娜, 「潘玉良彩墨畫藝術研究」, 書畫藝術 5, 江蘇省美術家協會 (2008), pp.72-76. 미소장
22 沈暉, 「姊妹之情同窗之誼」, 明道文藝 (2006), pp. 36-48. 미소장
23 楊麗娟, 「潘玉良油畫藝術“女性意識”研究」, 碩士學位論文, 山東工藝美術學院, 2016. 미소장
24 王健, 「20世紀前期(1912-1937)上海美專留法西畫家研究」, 碩士學位論文, 江西師範大學, 2015. 미소장
25 李京, 「論潘玉良繪畫風格的演變」, 淮南師範學院學報 3, 淮南師範學院 美術系(2008), pp. 65-68. 미소장
26 伊戈, 潘玉良傳, 成都: 成都時代出版社, 2003. 미소장
27 李晗, 「對20世紀三十年代 “中國留法藝術學會” 藝術家學群的初步考察」, 南京藝術學院學報 3, 藝術史與藝術考古(2018), pp. 35-41. 미소장
28 李華, 「“鏡子” 與女性藝術——二十世紀中國女性藝術中的自我凝視」,碩士學文論文, 山東師範大學, 2006. 미소장
29 朱伯雄, 曹成章, 中國書畫名家精品大典, 杭州: 浙江敎育出版社, 1997. 미소장
30 周昭坎, 「潘玉良作品的藝術風格特點」, 美術博覽, 2007. 미소장
31 朱良劍, 潘玉良藝術作品題跋考述, 北京: 文化藝術出版社, 2012. 미소장
32 陳明園, 「民國時期留歐女性藝術家西畫創作研究」, 博士學位論文, 上海大學美術學, 2016. 미소장
33 陳天白, 「潘玉良繪畫研究」, 博士學位論文, 南京藝術學院, 2016. 미소장
34 陳青, 「潘玉良自畫像研究」, 碩士學位論文, 青島大學, 2018. 미소장
35 湯璐, 「潘玉良油畫研究」, 碩士學位論文, 青島大學, 2018. 미소장
36 郝顏飛, 「潘玉良“中西融合技法”的演變曆程」, 文物鑒定與鑒賞 9, 安徽博物院(2018), pp. 61-65. 미소장
37 Phyllis Teo, REWRITING MODERNISM, Leiden: Leiden University Press, 2016. 미소장
38 Musée Cernuschi, Artistes Chinois à Paris, Paris: Éditions des musées de la Ville de Paris, 2011. 미소장
39 Musée Cernuschi, Quatre Artistes Chinoises Contemporaines : Pan Yu-lin, Lam Oi, Ou Seu-tan, Shing Wai, Paris: Éditions des Musées de la Ville de Paris, 1977. 미소장
40 婦女雜志 미소장
41 申報 미소장
42 中央日報 미소장
43 雄獅美術 미소장
44 華美日報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