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공 언어에 대한 언중의 인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anguages : focused on the public language related to COVID-19 / 코로나19 관련 공공 언어를 중심으로 이철희, 이재섭, 황지윤, 안미애 p. 1-18
외국인 유학생의 관점에서 본 대학 내 공공 언어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public language in universities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students 강소영 p. 19-32
대학 기초 교양 글쓰기의 교육 목표 구체화 연구 = A sstudy[실은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of university basic liberal arts writing : 암묵적 이론(implicit theory)을 활용하여 임택균, 지현배 p. 33-48

구성주의 전략을 활용한 '발표 후 비평문 쓰기' 연구 : A study on ‘writing criticism after presentation’ using constructivist strategies : focusing on the movie <Inside Out> /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중심으로 김은정 p. 49-61
체육학 전공생의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문학 비평 수업 사례 = Literary criticism class case for nurturing literacy in physical education : 어슐러 K. 르 귄의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을 활용 박현애 p. 63-74

조선시대 <孔雀東南飛>의 번역과 향유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nd enjoyment of <Gongjakdonnambi>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manuscripts / 필사본을 중심으로 김영 p. 75-86
디지털시대 서사와 매체의 융합 : The digital convergence of story and media : based on universe storytelling / 세계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김명진 p. 87-100
메타버스 환경 기반 공연예술 콘텐츠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nvironment-based performing arts contents : focusing on the cases in Korea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박진원, 김가은 p. 101-115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통한 소셜미디어의 AI 추천시스템 역할 분석 = A analysis on the role of AI recommendation system in social media through actor-network theory :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김수용, 권병웅 p. 117-129
AI시대 셀러브리티 문화 연구 : Celebrity cultural studies in the age of AI : narrative, self-concept and nostalgia / 내러티브, 자아개념, 노스탤지어 한애진 p. 131-143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대학 학습자의 학업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s of online classes on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in Chungcheong / 충청권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소현, 최건아, 박현준 p. 145-161
온라인 텔레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다중 표상적 은유 교육 연구 = Aspects of a study on the multi presentational metaphor education using online telestration 이정민, 이원영 p. 163-173
딜레마 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rgumental writing using dilemma narrative : focused on the ‘Lone Survival’ / 영화 '론 서바이버'를 중심으로 박소은, 최재호 p. 175-188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학습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tinuity : focusing on H university in Gangwon-do / 강원도 H대학교를 중심으로 문희정, 곽선혜 p. 189-205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인식 분석 = Analysis of perceptions of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untact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오미자, 남영옥 p. 207-218
교양 영역의 정보기술 과목 수강 이력 분석 = Analysis of taken course history for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general education 나정은 p. 219-232
기초학력강화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첨삭지도 방안 = A university writing proofreading coaching plan using the basic academic ability reinforcement program 권현주, 김유정 p. 233-247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and needs for university extra curricular programs : focusing on K university / k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연, 조보람 p. 249-265
한국 판타지 TV드라마의 장르문법과 담론의 의미화 : A study on the meaning of genre grammar and discourse in Korean fantasy TV drama : <Master's Sun>, <My Love from the Star>, <I Can Hear Your Voice>, and <Nine-Times Time Travel> / <주군의 태양>, <너의 목소리가 들려>, <별에서 온 그대>, <나인 : 아홉 번의 시간여행>을 중심으로 김강원 p. 267-279

고정희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A study on consciousness of existence in the early poetry of Goh Jung-hee : focusing on 『Who is Stepping on the Winepress Alone』 /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정치훈 p. 281-292
宋初 상층 文人詞의 주제 시탐 = A preliminary study on the literary Ci of the upper class 윤혜지, 홍병혜 p. 293-303
교양수업의 단편소설 강독 사례 = Reading English short stories in liberal arts classes : an example 최선령 p. 305-314
'제주' 교과로서의 설화·고전소설 교육 = A story and classic novels education as the ‘Jeju’ subject 고은영 p. 315-326
1920년대 중반 '기자 형상화' 소설의 진가(眞價) : The true value of a journalist's imagination novel in the mid-1920s : focusing on Yeom Sang-seop's A Waiting Lounge in the Prosecutor's Office and Rotary Press / 염상섭의 「검사국 대합실」과 「윤전기」를 중심으로 권동우 p. 327-341

유아교육현장의 문화예술교육 운영실태 분석 = A study on statu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육아종합지원센터, 유아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최은아, 고희선 p. 343-358

포스트휴먼 논의에서 정체성과 예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dentity and art in the post-human discussion 김휘택 p. 359-371

공연과 무역의 융복합, 공연무역의 유형과 확대 전략 = Four modes and expansion strategy of performing arts services trade 김현정, 박광서 p. 373-390
한국인의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influence of Korean’s cultural awareness on life satisfaction 범효윤 p. 391-402
공연 관람 행태 변화에 따른 클래식 공연 관객 유입 전략 : Strategies for attracting classic performance audienc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performance viewing behavior : focused on single person audience / 1인 관람객 중심으로 서은아 p. 403-417
칸트 유기체론의 '자기조직화' 개념과 프랙탈 이론의 교차 연구 : The crossover study regarding the idea of self-organization in organicism by Immanuel Kant and fractal theory : the aesthetic premise on organisms, life, and infinity / 유기체, 생명성, 무한(無限)에 대한 미학적 전제 이재걸 p. 419-433
언론에 노출된 외국인 범죄 사례 분석 = An analysis on foreigner committed crimes covered in media 신재헌 p. 435-446
영국 특별경찰제도의 시사점 연구 = A study on implications of the UK special police system 허경미 p. 447-463
상담자의 신경증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상담자 발달수준의 이중매개효과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counselor developmental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unselors 안수연, 하문선 p. 465-480
지역 예술인 복지정책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welfare policy for local artists : focusing on Gwangju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시훈 p. 481-493
주한해외문화원과의 비교를 통한 재외한국문화원의 개선방안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culture centers and overseas cultural centers in Korea based on BSC / BSC 조직분석법을 바탕으로 이주빈, 김선영 p. 495-511
제20대 대통령 후보의 교육공약 및 쟁점 분석 = Analysis on educational pledges and issues of the 20th presidential candidates 이영환, 김용기 p. 513-523
대형재난 발생 시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al agency on fear during mass disaster 김상운 p. 525-534
국제관계전문가의 국제관계 인식이 한국사회 위협 인식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wareness by international relations specialists on awareness threatening Korean society 장풍상 p. 535-548
고졸 청년층 대상 고용지원 정책 우선순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employment support policy for high school graduates 김은비, 노경란 p. 549-563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 The factors affecting of death anxie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in home :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매개효과 검증 남희수, 진봉희, 이정임 p. 565-581
최저 임금이 도시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he minimum wage on the urban unemployment rate : take the China Pearl River Delta as an example / 중국 주 삼각지역을 중심으로 단가루, 배기형, 란희 p. 583-596
중국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hina's digital inclusive finance on economic development : based in Shandong Province / 산둥성 기반을 중심으로 유국봉, 배기형, 부진혁 p. 597-608
한국문화인식이 한국어학습적극성 및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al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and visit intention in Korea 초연 p. 609-619
기록기술의 발전과 기억 : The technology of recording and human memory : the ambivalence of digital memory and lifelog in Ted Chaing’s "The Truth of Fact, The Truth of Feeling" / 라이프로그와 디지털적 기억의 양면성 : 테드 창의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을 중심으로 구연정 p. 621-633
네트워크 이론 기반 국내학회 네일연구 트랜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ail research trend of the domestic society based on network theory 박소현, 권기한 p. 635-647
청소년들에게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WOM inten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mong adolescents 박상희, 김기윤 p. 649-663
밈의 뉴미디어 환경 적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memes to the new media environment : centering on the meme phenomenon of the MZ generation / MZ세대의 밈 현상을 중심으로 신종천 p. 665-678
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 활동 프로젝트와 기획서 쓰기의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freshman's self‐directed activity project and proposal writing 오세은 p. 679-693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서의 창의융합프로젝트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ject in extracurricular program 권미애, 김미경 p. 695-708
서커스와 융합한 스토리텔링 : Storytelling in convergence with circus : KÀ by Cirque du Soleil / 태양의서커스(Cirque du Soleil)의 카(KÀ)를 중심으로 최민지 p. 709-723
존 화이트(John D. White)의 음악 분석 이론으로 본 중국 애니메이션의 음악 서사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s of music narrative in Chinese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D. White’s theory of music analysis : <Three Monks>(1980) as an example / <세 명의 승려(三個和尙)>(1980)를 사례로 짱바이링 p. 725-738
'히프노시스(Hypnosis)' 수면 유도 음악을 사용한 만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입면 시간 단축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reducing the sleep latency in men and women over 50 years of age by using ‘hypnosis’ sleep induction music 강윤정, 전윤한 p. 739-749
입체미술을 통한 미술교육 : Art education through three-dimensional art : the possibility of art play / 예술놀이의 가능성 강태환 p. 751-763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한 건강관심도, 규칙적운동, 식품소비행태 및 건강관련지표의 관계 분석 =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concerns, regular physical activity, food consumption behavior and health indicators applying complex sample design 박재암 p. 765-777
난소절제 암컷 비만 쥐에서 지방대사와 열 발생 관련 유전자 조절에 대한 수영운동의 영향 = Effects of swimming exercise on the regulation of fat metabolism and thermogenesis-related genes in ovariectimized female obese mice 정선효 p. 779-79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athy and parenting effective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 오안나 p. 795-813
핵심역량 체계 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 = Research to secure core competency system and feasibility : D대학의 핵심역량 체계 고도화 사례를 중심으로 최헌철, 김수동 p. 815-830
블랙코미디 장르 영화에서의 아이러니 표현기법 : Irony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genre of black comedy films : focused on Netflix films <Don’t look up> / 넷플릭스 영화 <돈 룩업>을 중심으로 김성은 p. 831-840
아서 밀러의 극작 기법에 나타난 남성의 욕망 = Male desire in Arthur Miller’s dramaturgy 남정애 p. 841-853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소셜벤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on social venture startup intention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global mind / 글로벌 마인드의 매개효과 검정 권혁, 임진혁 p. 855-866
성인의 독서 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독서의 즐거움 유형 탐색 = Exploring the types of pleasure in adult’s narrative about reading experience 김효리, 정옥년 p. 867-884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 교육 수업 방안 연구 : A cultural education class study : using animation in liberal arts classes : focusing on cultural awareness activities / 문화 자각 활동을 중심으로 김혜정 p. 885-896
코로나 팬데믹에 처한 학생들의 학교적응 목적의 무용동작 치료에 대한 교사 인식의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r school adaptation purposes of students under corona pandemic 유명선, 남현우, 최주희 p. 897-910
대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academic journal from 2010-2022 / 2010-2022년까지 학술지 중심으로 전경숙, 정문경 p. 911-92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시사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current Korean for overseas stud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urrent issues and affairs textbook / 시사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강희 p. 923-935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개선 방안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for foreign workers 이순애 p. 937-952
石芝 蔡龍臣(1850-1941) 작품에 보이는 관지와 인장의 비교 硏究 : A study on the handwritings and seals of portraits and flower-bird-animal paintings of Chae Yongshin(1850-1941) / 초상화와 화조영모화를 중심으로 정경숙 p. 953-967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나리(2016).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태련, 강우선, 김경은, 김도연, 김문주, 박랑규, 서수정, 양혜영, 이경숙, 장은진, 정은정, 조현섭, 허묘연(2010). 발달장애심리학, 학지사. 미소장
3 류분순(2017).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미소장
4 문상준(2022). 팬데믹 상황의 아동 정서지원을 위한 비대면 무용/동작심리치료 효과성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문송이, 남현우(202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전후 예술심리치료 연구 동향 분석, 문화와 융합 44, 209-234. 미소장
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2017).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7 심영희(2016).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유명선(2019).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위기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와 면역세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치료사례연구,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3(2), 5-27. 미소장
9 이예슬, 신범철, 정양순(2021).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교육학연구 59(1), 131-165. 미소장
10 정재임(2021).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의 무용동작치료의 방향 탐색: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5(2), 25-40. 미소장
11 주현옥(202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애착관계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최주희, 남현우(2017).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2), 181-202. 미소장
13 최주희, 문송이, 남현우(2020).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47-78. 미소장
14 최준섭(2021).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1년, 초등학생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59(2), 159-189. 미소장
15 하요상, 문가람(2022).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 777-800. 미소장
16 한명선(2014). 한국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한국교육평가원(2020). 국외 COVID-19 학교 교육 대처 방안 사례 분석을 통한 후속 추진 과제. 미소장
18 Atkins, S. S., 최애나, 이병국 역(2008). Expressive arts therapy,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 푸른솔. 미소장
19 Giorgi, A.(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0. 미소장
20 Lakhani, P. K., Jain, K., & Chandel, P. K.(2017).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ciences 7(10), 333-34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