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圓眞國師 承逈은 그의 활동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당대 高麗를 좌우했던 崔氏武臣政權에 협력한 승려로 단순하게 소개되곤 한다. 하지만 그의 행적을 당시 정치 변동 양상과 함께 자세히 조사해 보면, 그가 최씨무신정권과 맺은 관계는 세 단계의 형태로 점차 변화해 갔음을 알게 된다.

첫 단계는 최씨무신정권에 대해 상당한 반감을 품고 그에 맞설 종교적 움직임을 모색했던 시기이다. 승형은 자신의 성장에 도움을 주었던 숙부 申光漢과 禪宗 승려들이 明宗 폐위 과정에서 희생되는 모습을 목격하면서, 이를 주도했던 崔忠獻에 대해 거부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면서 그는 수도開京에서 벗어나 재야에서 수행하기를 선호했고, 무신정권에서 소외된 문인들을 최충헌에 대항하려는 움직임에 끌어들이고자 李資玄의 居士佛敎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자신이 호감을 가졌던 왕실과의 협력을 내세워 최씨무신정권의 포용 정책에 일정 부분 부응했던 시기이다. 승형은 최충헌의 반대세력에 대한 감형과 자신에 호의적인 왕실 및 문인들의 권유를 계기로, 金剛山 楡岾寺 住持 임명 명령을 수용해 주변의 眞表系 法相宗 세력들을 달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과거에는 꺼렸던 개경에서의 法會에도 참여한다.

마지막 단계는 최씨무신정권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현실을 인정하고, 그와의 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도모한 시기이다.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한 熙宗의 폐위와 여기에 가담한 승려들의 희생은, 승형이 최씨무신정권에 대한 입장에 큰 변화를 주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승형은 최충헌의 측근이었던 崔俊文과의 관계를 고려해 그의 고향 인근에 위치한 寶鏡寺에 住錫하였으며, 그가 지지하였던 최충헌의 막내아들 崔珦의 정치적 위상 상승을 위해 雲門과 八公山 일대의 문제들을 해결했다. 그러나 崔怡가 최충헌의 후계자가 돼 최준문을 제거하면서 승형은 이를 의식해 보경사를 떠나 활동할 수밖에 없었고, 승형의 사후 그의 僧團은 정치적 지원을 얻지 못하면서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高麗史』 미소장
2 『高麗史節要』 미소장
3 『三國遺事』 미소장
4 『東國李相國集』 미소장
5 『破閑集』 미소장
6 『補閑集』 미소장
7 『東文選』 미소장
8 『曹溪眞覺國師語錄』 미소장
9 『無衣子詩集』 미소장
10 『湖山錄』 미소장
11 「寶鏡寺 圓眞國師碑文」 미소장
12 「鳳巖寺 智證大師 寂照塔碑文」 미소장
13 「鳳巖寺 靜眞大師 圓悟塔碑文」 미소장
14 「斷俗寺 神行禪師碑文」 미소장
15 「松廣寺 佛日普照國師碑銘文」 미소장
16 「月南寺 眞覺國師 圓炤塔碑文」 미소장
17 「鉢淵藪 眞表律師 藏骨塔碑文」 미소장
18 「眞樂公 文殊院記」 미소장
19 「麟角寺 普覺國尊 靜照塔碑文」 미소장
20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新羅篇』, 伽山文庫, 1994. 미소장
21 李智冠 譯註,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 高麗編 1~4』, 伽山佛敎文化硏究院, 2000. 미소장
22 趙明濟 編著, 『韓國金石文集成 24 - 高麗 8 碑文 8』, 韓國國學振興院·靑溟文化財團, 2011. 미소장
23 許興植 編著, 『韓國金石全文』 中世 上~下, 亞細亞文化社, 1984. 미소장
24 정화 외 共譯, 『普覺國師 一然 碑銘 解釋』, 문현, 2021. 미소장
25 조동원 외 編, 『고려시대 금석문 탁본전 - 돌에 새겨진 고려시대 禪師들의삶』,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2005. 미소장
26 楡岾寺 編, 『金剛大本山 楡岾寺本末寺誌』, 楡岾寺, 1942(『韓國寺志叢書』3, 亞細亞文化社, 1977). 미소장
27 朝鮮總督府 內務部 地方局 編, 『朝鮮寺刹史料』 上, 朝鮮總督府 內務部 地方局, 1911. 미소장
28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 한국금석문』, https://porta l.nrich.go.kr. 미소장
29 吉熙星, 『知訥의 禪思想』, 소나무, 2001. 미소장
30 金光植, 『高麗武人政權과 佛敎界』, 民族社, 1995. 미소장
31 김윤곤, 『한국 중세 영남불교의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미소장
32 김진열, 『楞嚴經硏究入門』, 운주사, 1993. 미소장
33 金晧東, 『고려 무신정권시대 文人知識層의 현실대응』, 景仁文化社, 2003. 미소장
34 朴胤珍, 『高麗時代 王師·國師 硏究』, 景仁文化社, 2006. 미소장
35 李丙旭,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혜안, 2002. 미소장
36 李炳熙, 『高麗時期 寺院經濟 硏究』, 景仁文化社, 2009. 미소장
37 李貞信, 『高麗 武臣政權期 農民·賤民抗爭 硏究』,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1. 미소장
38 趙明濟, 『高麗後期 看話禪 硏究』, 혜안, 2004. 미소장
39 진현종, 『한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1997. 미소장
40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1991. 미소장
41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미소장
42 황인규, 『고려후기·조선초 불교사 연구』, 혜안, 2003. 미소장
43 李鍾益 編, 『海東 名刹 寶鏡寺의 事蹟과 史話』, 甘露堂, 1980. 미소장
44 佛敎學會 編. 『高麗中·後期佛敎史論』, 民族社, 1986. 미소장
45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 春秋社, 1930. 미소장
46 고수미, 「고려 무인집권기 거사불교의 推移와 고려대장경」, 『佛敎硏究』 50, 2019. 미소장
47 金光植, 「崔忠獻의 寺院政策」, 『史學硏究』 46, 1993. 미소장
48 金南允, 「眞表의 傳記 資料 檢討」, 『國史館論叢』 78, 1997. 미소장
49 김창현, 「고려시대 금강산과 그 불교신앙」, 『지역과 역사』 31, 2012. 미소장
50 金惠瓊, 「高麗時代 『楞嚴經』 思想의 受容硏究 - 『普幻解』 成立을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0. 미소장
51 金皓東, 「高麗 武臣執權下에서의 慶州民의 動態와 新羅復興運動」, 『民族文化論叢』 2·3, 1982. 미소장
52 김흥삼, 「無極의 「關東楓岳鉢淵藪石記」 撰述」,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34, 2013. 미소장
53 朴玲姬, 「楞嚴經의 魔境 硏究」, 東國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9. 미소장
54 신규탁, 「고려 중기 거사 불교와 이자현의 선 사상」, 『江原文化硏究』 23, 2004. 미소장
55 李璥馥, 「圓眞國師 承逈의 活動과 崔忠獻」, 『湖西史學』 36, 2003. 미소장
56 李興鍾, 「高麗 武臣執權期 文人의 思想 硏究」, 『東西史學』 創刊號, 1995. 미소장
57 임형수, 「文集을 통해 본 李仁老의 交遊 關係」, 『史叢』 83, 2014. 미소장
58 정동락, 「신라·고려시대 符仁寺의 변천과 현실대응」, 『民族文化論叢』 39, 2008. 미소장
59 조경철, 「『삼국유사』 「진표전간」의 진표행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4, 2013. 미소장
60 趙明濟, 「高麗後期 戒環解 楞嚴經의 盛行과 思想史的 意義 - 麗末 性理學의 수용기반과 관련하여」, 『釜大史學』 12, 1988. 미소장
61 趙龍憲, 「이자현의 능엄선 연구」, 『宗敎硏究』 12, 1996. 미소장
62 蔡尙植, 「高麗後期 佛敎史의 전개양상과 그 경향」, 『歷史敎育』 35, 1984. 미소장
63 蔡尙植, 「『破閑集』에 보이는 李仁老의 사상적 경향」, 『考古歷史學誌』 7, 1991. 미소장
64 崔柄憲, 「高麗中期 李資玄의 禪과 居士佛敎의 性格」,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3(『高麗中·後期佛敎史論』, 民族社, 1986). 미소장
65 최봉준, 「죽림고회를 통해 본 무신정권기 문인들의 네트워크와 古文論」, 『學林』 44, 2019. 미소장
66 한기문, 「고려시대 봉암사와 희양산파의 추이」, 『佛敎硏究』 34, 2011. 미소장
67 許興植, 「高麗中期 禪宗의 復興과 看話禪의 展開」, 『奎章閣』 6, 1982(『高麗中·後期佛敎史論』, 民族社, 198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