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소희(2015),허수경 시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한국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
미소장 |
2 |
김순아(2014),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상상력과 언술 특징-이선영,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한어문교육 31,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205-236. |
미소장 |
3 |
맹문재(2002),허수경,페미니즘과 에로티즘 문학,월인. |
미소장 |
4 |
박소영(2019),허수경 시의 연대의식 연구,한국리터러시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리터러시학회,217-224. |
미소장 |
5 |
방소현(2015),허수경 시 이미지 연구,고려대 석사 학위 논문. |
미소장 |
6 |
방승호(2019),허수경 시의 공간 양상과 내면의식,現代文學理論硏究 77,현대문학이론학회,106-129. |
미소장 |
7 |
이경수(2018),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여성문학연구 43,한국여성문학학회,37-78. |
미소장 |
8 |
이유선(2016),리처드 로티,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9 |
이은영(2018),허수경 시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양상,여성문학연구 45,한국여성문학학회,507-535. |
미소장 |
10 |
이찬(2019),몸들의 주술,산책자의 몸들,시/몸의 향연,파란. |
미소장 |
11 |
이혜원(2019),허수경 시에 나타난 전쟁 표상과 생명의식,문학과 환경 18(1),문학과 환경학회,135-166. |
미소장 |
12 |
최현식(2011),난쉐(Nanshe)의 귀환에 부치는 몇 가지 주석-허수경 시집<빌어먹을, 차가운 심장>론,문학동네 18(1),문학동네,1-20. |
미소장 |
13 |
허수경(1988),슬픔만 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실천문학사. |
미소장 |
14 |
허수경(1992),혼자 가는 먼 집,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5 |
허수경(2001),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창비. |
미소장 |
16 |
허수경(2005),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7 |
허수경(2011),빌어먹을,차가운 심장,문학동네. |
미소장 |
18 |
허수경(2015),너 없이 걸었다,난다. |
미소장 |
19 |
허수경(2016),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20 |
허수경(2019),가기 전에 쓰는 글들,난다. |
미소장 |
21 |
Martha C. Nussbaum(1995), Poetic Justice, 박용준 역(2013), 궁리. |
미소장 |
22 |
Richard Rorty(1989), Contingency, irony, solidarity, 김동식, 이유선 역(2020), 사월의책. |
미소장 |
23 |
파라다이스,제6회 전숙희 문학상 수상자 허수경 시인 인터뷰&전숙희 평전 출판 소식,2016.10.13.https://blog.paradise.co.kr/574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