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 변화는 산업의 변화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교육의 영역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소셜네트워크 영역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메타버스이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의 활동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관계망이 되고 있다. 그동안 교육의 영역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블렌디드 러닝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메타버스의 출현으로 온라인 교육이 더욱 정교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아직까지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현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실시하였다. 기독교교육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중 온라인 선행 메타버스 활동-주일 오프라인 교회 설교 및 메타버스 성경공부 활동-주중 실천중심 온라인 메타버스 활동-주중 오프라인 교회, 가정 신앙 적용활동 및 메타버스 평가로 구성된 네 단계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과정은 반드시 가상현실과 실제현실을 통합한 교육과정으로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4단계의 기독교교육 교수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가상공간과 메타버스에 대한 기독교교육신학 정립, 기독교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메타버스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개발, 메타버스 운영을 위한 교사교육 및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his change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industry changes but also on our daily lives and areas of education. In particular,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network area. One of them is Metaverse. Metaverse can be defined as a virtual reality. Recently,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social network that connects real and virtual reality. Until now, blended learning, which integrates online and offline,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with the advent of Metaverse,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etaverse has not yet been systematically implem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a model for designing a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using a metaverse was present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utilize Metaverse in Christian education, a four-step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weekday online Metaverse activity - Lord’s day offline sermon and Metaverse Bible study - weekday online Metaverse activity - weekday offline church, family application activity and Metaverse evaluation” can be designed. In this way, the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Metaverse must be composed of a way that integrates virtual and real world.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logical concept for virtual space and metaverse, establish a Christian metaverse platform, develop a Christian metaverse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 and produce teacher education and manuals for metaverse oper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신학함의 융합적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예비적 고찰 = A preliminary research for paradigm of convergence in doing theology 고원석, 양정호 p. 7-37
Triduum의 형성 과정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formation process for the Triduum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 focusing on the Western tradition and the major Protestant churches in North America / 서방 전통과 북미 주요 개신교회들을 중심으로 김형락 p. 39-68

초대교회 사순절(Lent) 기간의 다양성과 파스카 신비 : Lent duration and paschal mystery in the early church : "Lenten Catechesis" / "사순절 세례교육 (Lenten Catechesis)" 김정 p. 69-94
기독교대학 채플의 다양성에 접근하는 한 시도 = An attempt to approach the diversity of the Christian university chapel 김병석 p. 95-118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Public worship reinforces faith : focused on 'confessional yearning' as worship attitude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박관희 p. 119-140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신성한 사랑' 분석 : An analysis of 'the divine love' in Sermons by One Hundered Pastors & Teachers(1921) : focused on Myeong-jik Lee's "our friend Jesus" and Byeong-ju Lee's "God loves the world" / 이명직(李明稙)의 "우리의 親舊 예수"와 이병주(李秉周)의 "하나님이 世上을 愛하신다"를 중심으로 안수강 p. 141-171
메타버스 설교의 설교학적 평가 : Homiletical assessment on metaverse preaching,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contemporary homiletical discussions / 매체 특성과 현대설교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재웅 p. 173-208
문화간 영성지도 :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 The Spiritual Exercises and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 『영신수련』와 『천주실의』를 중심으로 이강학 p. 209-235
오방 최흥종 목사의 생애와 영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fe and spirituality of OBang Rev. Choi Heung Jong 조한상 p. 237-258
영성지도 수퍼비전 : Integrating the shadow in spiritual direction supervision / 그림자 통합 모델 이주형 p. 259-282
신비주의에서의 변화 기제 : The mechanism of transformation in mysticism : focusing on Julian of Norwich'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suffering / 노르위치 줄리안의 고난 경험과 이해를 중심으로 박신향 p. 283-313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 교리 재해석 : A reinterpretation of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eek fathers' ascetic deification / 그리스 교부들의 금욕적 신화의 관점에서 류재성 p. 315-353
대학 부적응 학생들의 대학 적응을 위한 이야기 치료적 개입 = Story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ollege adjustment for college maladjusted students 노성동 p. 355-382
언택트 시대의 관계단절과 Harry Emerson Fosdick의 상담학적 설교 연구 = Isolated relationship in un-tack era and a study on Harry Emerson Fosdick's counseling preaching 김해영 p. 383-408
사이버폭력의 가해·피해 순환성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 A Christian study on the circularity of perpetrators and victims of cyber violence 정혜연 p. 409-436

펫로스 증후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비블리오드라마 모형 = Pet loss syndrome and interactive bibliotherapy-bibliodrama model 박진경 p. 437-455
가정폭력 가해자의 목회상담적 접근 : A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for domestic violence offenders : focused on Bowen's self-differentiation / 보웬의 자아분화를 중심으로 송준용 p. 457-487
코로나 블루의 사회적 현상에 대한 목회상담적 고찰 = A pastoral counseling study on the social phenomenon of COVID-19 blue 이상현 p. 489-515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의 향후 과제와 목회적 돌봄 : Future tasks and pastoral care of bibliodrama : focusing on children's bibliodrama using method training / 메소드 훈련(Method Training)을 적용한 아동 비블리오드라마를 중심으로 곽우영 p. 517-539
관음증-중독청년의 애착문제의 상담치료 : Counseling-therapy for attachment problems in voyeurist-addicted youth : focusing on Freud's libidor theory / 프로이트의 리비도론을 중심으로 서현 p. 541-561
독일교회 교육에 있어서 개신교 기독교회 청소년 선도(善導)사업에 대한 고찰 = Discussion on juvenile guidance projects by Protestant Churches in terms of German church education 강문규 p. 563-591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독교교육 교수학습 모형 설계와 제언 = Design and suggestion of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metaverse 함영주 p. 593-617

인공지능(A.I.) 시대의 신학 교육의 방향성 재고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오경환 p. 619-643

기독청년의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ristian young adults'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김성원 p. 803-838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을 촉진하는 교육 기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n educational mechanism for accellerating the social expansion of a person's spirituality : focusing on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황인혜 p. 679-709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을 통한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Reconnection) :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by practicing missional public church :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 질적 사례연구 중심으로 주상락 p. 711-736

세속 도시의 거룩한 장소에 관한 도시 신학적 연구 = A study of urban theology on the sacred places in the secular city 김승환 p. 737-760

존 칼빈의 개혁교리를 통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 = A revision for the principles of Christian living through the ideas of John Calvin's reformed doctrines 손수호 p. 761-778
기독교 신학, 윤리, 정치의 상관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theology, ethics, and politics : focusing on Stanley Hauerwas's theological ethics /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신학적 윤리를 중심으로 김희준 p. 779-802
국방개혁 2.0과 통일신학의 변증적 통합 : The dialectical integration of defense reform 2.0 and unification theology : a new paradigm of unification theology / 통일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최성훈 p. 839-861
한국 시민운동에 대한 개신교 복음주의 운동의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Protestant evangelical movement on the Korean civil movement : the case of the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CCEJ)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아 p. 863-888
교단 총회 본부 조직문화의 발전방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denomination 양영태 p. 889-914
사랑의 공동체의 '포기', '기도', '용서' : "Renouncing," "prayer, " and "forgiveness" in community of love : Dietrich Bonhoe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ourses about ecclesiological community education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담론 김성호 p. 645-678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선영.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 설계.” 「미래음악교육연구」 6(2021), 137-159. 미소장
2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8(2021), 7-16. 미소장
3 김대식. 『메타버스 사피엔스』. 서울: 동아시아, 2011. 미소장
4 김상균. 『메타버스: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경기: 블랜비디자인, 2020. 미소장
5 김상균, 신병호.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서울: 베가북스, 2021. 미소장
6 김아현, 김용진, 김상수. “SPICE를 활용한 메타버스 세계관 별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지식경영연구」 23(2022), 61-82. 미소장
7 김영수. “게임중독과 개신교인들의 영성생활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77(2021), 241-264. 미소장
8 김태진, 권오병, 강주영. “메타버스와 기독교 세계관: 성경적 기업의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요인 분석.” 「신앙과 학문」 26(2021), 137-172. 미소장
9 김형락. “기독교 메타버스(Metaverse) 공동체의 예배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76(2021), 41-66. 미소장
10 남창우, 이민효. “대학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평생학습사회」 17(2021), 111-137. 미소장
11 박수홍, 황영미. “초등학교 미디어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006), 361-394. 미소장
12 박하나.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 설계와 개발.” 「시민교육연구」 52(2020), 197-227. 미소장
13 손혜숙.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독서 교육방안 연구.” 「리터러시 연구」 12(2021), 163-190. 미소장
14 송원철, 정동훈.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 28(2021), 3-22. 미소장
15 신현광. “교육목회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32(2012), 477-514. 미소장
16 양성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자동화와 연결성을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59(2018), 567-597. 미소장
17 옥장흠. “메타버스의 기독교교육적 적용방안.” 「기독교교육논총」 70(2022), 37-74. 미소장
18 원종서, 이원석, 허상훈, 유후용. 『가상 증강현실 라이브 플래닝』. 서울: 크라운출판사, 2019. 미소장
19 이경호.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 혁신방안 탐구: 미국 미네르바 스쿨 혁신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020), 179-199. 미소장
20 이승진. “뉴미디어 생태계가 기독교적인 의사소통 환경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54(2017), 227-264. 미소장
21 이시한. 『메타버스의 시대』. 경기: 다산북스, 2021. 미소장
22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5(2019), 59-84. 미소장
23 이호철. “블렌디드 러닝 기반 초등학교 체육수업 설계전략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7(2021), 1-20. 미소장
24 임준섭. “과학주의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인간학적 고찰: 경계와 관계의 인간학.”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미소장
25 전윤경. “제주축제의 잠재적 관객개발을 위한 메타버스 축제 특성에 관한 연구.” 「제주도개발」 57(2022), 117-151. 미소장
26 전종희. “교육중심대학인 미네르바 스쿨 사례를 토대로 한 향후 대학교육 방향 모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21), 105-128. 미소장
27 정한호. “교회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플립드러닝에 대한 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기독교교육정보」 57(2018), 185-222. 미소장
28 조안나, 조재범, 배준호, 이석, 최동영, 손용식.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탐구생활』. 경기: 지노, 2022. 미소장
29 필립샤프/ 이길상 역. 『교회사전집 2』.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미소장
30 함영주.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블록형 코딩을 활용한 기독교교육 콘텐츠 개발모형 연구.” 「신학과 실천」 74(2021), 703-734. 미소장
31 함영주.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이해와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신학과 실천」 48(2016), 415-441. 미소장
32 함영주. “전통과 혁신을 활용한 미래형 교회교육방법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ACTS 신학저널」 48(2021), 173-204. 미소장
33 함영주. “플립드러닝을 활용한 성경교수실행모형 개발.” 「개혁논총」 34(2015), 241-267. 미소장
34 Bergmann, Jonathan, and Sams, Aaron. Flip Your Class: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Day. Eugene, OR: ISTE,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