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묵자(墨子)의 '평화(平和)' 개념과 유가(儒家)의 '화평(和平)' 개념 비교 : 그들의 음악관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peace between Mozi and Confucianists : focused on their idea on music / 최순규 1

[목차] 1

Ⅰ. 들어가는 말 2

Ⅱ. 묵자의 음악관 3

1. 악(樂) 4

2. 리(利) 5

3. 력[力] 7

4. 평(平) 9

5. 화(和) 10

6. 묵자의 음악관에 담긴 평화사상 12

Ⅲ. 유가의 『여씨춘추』, 「악기」, 그리고 『순자』의 「악론」에 나타난 음악관 13

1. 음악(樂) 13

2. 예(禮) 14

3. 기(氣) 15

4. 화(和) 17

5. 평(平) 19

6. 유가의 음악관에 담긴 화평사상 20

Ⅳ. 음악에 대한 견해 차이로 발생한 묵자의 평화론(平和論)과 유가의 화평론(和平論) 20

Ⅴ. 맺는 말 25

참고문헌 27

국문초록 28

Abstract 2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솔로몬 시대 국제평화의 요인과 국제교류 사례 분석 =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international peace and international exchanges in Solomon's period 김상래 p. 10-39

보기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 『엔더의 게임(Ender's Game)』에 나타난 제노사이드의 그림자 : The shadow of the genocide in Orson Scott Card's Ender's Game : compared with the pacifism of Mormonism / 몰몬교의 평화주의와 비교하여 백숭기 p. 40-75

보기
묵자(墨子)의 '평화(平和)' 개념과 유가(儒家)의 '화평(和平)' 개념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peace between Mozi and Confucianists : focused on their idea on music / 그들의 음악관을 중심으로 최순규 p. 76-106

보기
양손 협응에 대한 운동조절학적 고찰 : Motor control studies on bimanual coordination : does the left hand not know what the right hand is doing? /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를까? 김진민 p. 108-129

보기
바울이 말하는 예수의 십자가의 '화목' 행위의 구약 제의적 배경연구 = A study on the cultic backgrounds in the Old Testament for Paul's concept of 'reconciliation' 성기문 p. 132-156

보기
Christological character of Johannine discipleship : 요한의 제자도의 기독론적 성격 : 아프리카 선교에 대한 시사점 / implications for missions in Africa John Appiah p. 159-194

보기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담사동. 『인학』. 임형석 역. 서울: 산지니, 2016. 미소장
2 여불위. 『여씨춘추』. 정영호 역. 서울: 자유문고, 1992. 미소장
3 레이 로렌스. 『로마 제국 쾌락의 역사; 역사상 가장 강렬했던 쾌락의 기록』. 최기철 역. 서울: 미래의 창, 2011. 미소장
4 묵자. 『묵자』. 최환 역. 서울: 을유문화사, 2019. 미소장
5 아자가트. 『전쟁과 평화-전쟁의 원인과 평화의 확산』. 서울: 교유서가, 2017. 미소장
6 김태완, 최영경. “고대자형으로 본 ‘樂’의 구조와 의미 고찰.” 『공연문화연구』 26 (2013),41-80. 미소장
7 박언진. “묵자 겸애교리의 주 수준 공리주의 연구.” 『윤리연구』 125 (2019), 130-152. 미소장
8 이상은. “순자 「樂論」의 특징과 영향.” 『유교사상연구』 44 (2011), 213-235. 미소장
9 이상호. “묵자(墨子)의 반전(反戰) 평화론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 9 (2021), 1-23. 미소장
10 이운구. “諸子의 墨家思想批判에 관한 考察; 『墨子』 「節葬」편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21 (198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53-72. 미소장
11 이종성. “묵자 전쟁 비판론의 기본 입장.” 『인문학연구』 40:2 (2012), 205-228. 미소장
12 윤무학. “묵가 겸애의 원리와 실천.” 『한국철학논집』 55 (2017), 222-245. 미소장
13 임형석. “평등해야 평화롭다: 청말 사상가 담사동의 평등평화론.” 『동아시아불교문화』 36(2018), 677-708. 미소장
14 정수연. “묵자의 비악(非樂)론에 나타난 제도 공연 비판의 쟁점.” 『한국연극학』 45 (2019),164-195. 미소장
15 조정은.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철학사상』 43 (2012), 3-31. 미소장
16 최순규. “조선 후기 두레 공동체에 나타난 평화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 『신학과 학문』3 (2021), 99-124. 미소장
17 한성구. “중국 평화주의의 연원과 현대적 함의.” 『중국학 논총』 56 (2017), 251-273. 미소장
18 황성규. “순자 ‘악론’과 묵자 ‘비악’의 내재적 동일성 고찰.” 『儒學硏究』 47 (2019), 209-23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