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려사』 |
미소장 |
2 |
『三國史記』 |
미소장 |
3 |
『세종실록』 |
미소장 |
4 |
『성종실록』 |
미소장 |
5 |
『대명일통지』 |
미소장 |
6 |
『북사北史』 |
미소장 |
7 |
『수서隋書』 |
미소장 |
8 |
『성호사설』 |
미소장 |
9 |
『홍재전서弘齋全書』 |
미소장 |
10 |
신채호, 『조선 상고사』, 부크크, 2018. |
미소장 |
11 |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상)』 을유문화사, 1996. |
미소장 |
12 |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해재: 환단고기 진위논쟁」, 상생출판, 2012. |
미소장 |
13 |
이종봉, 『한국중세도량형제연구』, 혜안출판사, 2001. |
미소장 |
14 |
전병훈, 임채우역, 『완역 정신철학 통편』 인월담, 2021. |
미소장 |
15 |
허우범, 『여말선초 서북 국경과 위화도』 성안당, 2021. |
미소장 |
16 |
김진경, 「고대 요수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17 |
남의현, 「중국의 중조변계사를 통해 본 한중 국경문제」, 『인문과학연구』 57,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
미소장 |
18 |
남창희, 「환발해만 제해권과 고대 동북아 국제관계」, 『한일군사문화연구』 15집. 2013. |
미소장 |
19 |
복기대, 「동북아시아에서 한사군의 국제 정치적 의미」, 『강원사학』 28, 2016. |
미소장 |
20 |
복기대,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선도문화』 25권, 2018. |
미소장 |
21 |
복기대, 「경원부의 위치에 관한 소론」, 인문과학연구, 2021. |
미소장 |
22 |
복기대,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 검토」, 『단군학연구(22)』, 단군학회, (2010) |
미소장 |
23 |
신민식, 「압록수와 평양의 위치 재비정에 따른 살수 위치 검토」, 『국제 학술문화제 발표자료집』 1권 대한사랑, 2021. |
미소장 |
24 |
이인철, 「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 9성의 위치연구」, 『선도문화』 23권, 2017. |
미소장 |
25 |
윤여덕, 「수빈강 선춘령에 서린 천년한」, 『북한』, 2008. |
미소장 |
26 |
이상태,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 고찰에 관한 연구」, 『學林』 제37집, 201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