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5세기 왜(倭) 5왕의 성격과 실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five kings of Wae (倭) in the 5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Royal Petition (上表文) / 『송서(宋書)』에 나타난 「상표문(上表文)」을 중심으로 김주인 p. 7-48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고려본기」를 통해 본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 고찰 = Review of exact location of 'Salsu', 'Seonchunryeong', and 'Gongheumjin' according to 「Dangunsegi」 and 「Golyeobongi」 chapters of 「Hwandangogi」 신민식 p. 49-81
발해의 강역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Balhae Kingdom territory 전준호 p. 83-125
《세조실록》에 나타난 주역 관련 기록 고찰 = A study on the records of the Sejosillok appearing in the book of changes 윤세형 p. 127-155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correction of errors : focusing on [Spotlight on Sociological Art Aspects of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by Song Bangsong (2003) / 송방송(2003)의 「漢城妓生組合所의 藝術社會史的 照明」을 중심으로 水谷淸佳 p. 157-188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 : A critical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correction of academic errors : focusing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Ⅰ) - Focusing on Modern Reconstruction of Gisaeng Group by Suh Jiyoung (2005) / 서지영(2005)의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 양상」을 중심으로 이정남 p. 189-225
제주도 무극대도의 천황제 타도운동의 시말 =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ovement for overthrowing the emperor of Japan by Mugeukdaedogyo in Jeju Island 이시종 p. 227-251
무극대도 도주 용강 강승태의 대일항전과 새 사회건설 = Th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society by Kang Seung-tae, the master of the 'Mugeukdaedo' 이찬구 p. 253-299
연극연출가 사주(四柱)의 명리학적 특성 : Characteristics of theater directors' Saju from the perspective of Myeongli science / 연극연출가를 중심으로 이영은, 김만태 p. 301-331
금융영업직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 A study on the financial sales profession from the view of Myeongli science 김태수 p. 333-361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근대 문학 작품 연구 : A study on modern literature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 focusing on pro-Japanese and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친일과 일제강점기 시대 문학을 중심으로 이준영 p. 363-393
일제강점기 이원규의 소년운동과 아동 잡지의 발행 = Lee Wongyu's youth movement and publication of children's magazin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소년세계』의 특징과 검열 양상을 중심으로 김정화 p. 395-418

새로운 발굴자료 <남화전가>의 서지와 문예적 검토 = A review on the bibliography and literature of newly discovered material <Nam Hwajeonga> 이수진 p. 419-441
한중(韓中) 도학적 성향의 한시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ohak inclination poetry in Korea and China 양훈식 p. 443-477
New naming for old nation : 20세기 근대 민족주의 형성기 한민족 정체성 형성에 있어 배달의 의미와 역할 / understanding ‘Baedal’ in narrating Korean modern identity Cho, Yui-haeng p. 479-510
<강감찬열전> 번역과 시대 담론 연구 = A study of the translation and contemporary discourse on the Biography of Gang Gam-chan 김명옥 p. 511-542
소론 이후 강화학파에서 계승된 민족사학의 지식계보 = Knowledge genealogy of national history inherited from the Kanghwa school after Soron 송옥진, 김석원 p. 543-571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려사』 미소장
2 『三國史記』 미소장
3 『세종실록』 미소장
4 『성종실록』 미소장
5 『대명일통지』 미소장
6 『북사北史』 미소장
7 『수서隋書』 미소장
8 『성호사설』 미소장
9 『홍재전서弘齋全書』 미소장
10 신채호, 『조선 상고사』, 부크크, 2018. 미소장
11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상)』 을유문화사, 1996. 미소장
12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해재: 환단고기 진위논쟁」, 상생출판, 2012. 미소장
13 이종봉, 『한국중세도량형제연구』, 혜안출판사, 2001. 미소장
14 전병훈, 임채우역, 『완역 정신철학 통편』 인월담, 2021. 미소장
15 허우범, 『여말선초 서북 국경과 위화도』 성안당, 2021. 미소장
16 김진경, 「고대 요수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7 남의현, 「중국의 중조변계사를 통해 본 한중 국경문제」, 『인문과학연구』 57,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미소장
18 남창희, 「환발해만 제해권과 고대 동북아 국제관계」, 『한일군사문화연구』 15집. 2013. 미소장
19 복기대, 「동북아시아에서 한사군의 국제 정치적 의미」, 『강원사학』 28, 2016. 미소장
20 복기대,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선도문화』 25권, 2018. 미소장
21 복기대, 「경원부의 위치에 관한 소론」, 인문과학연구, 2021. 미소장
22 복기대,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 검토」, 『단군학연구(22)』, 단군학회, (2010) 미소장
23 신민식, 「압록수와 평양의 위치 재비정에 따른 살수 위치 검토」, 『국제 학술문화제 발표자료집』 1권 대한사랑, 2021. 미소장
24 이인철, 「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 9성의 위치연구」, 『선도문화』 23권, 2017. 미소장
25 윤여덕, 「수빈강 선춘령에 서린 천년한」, 『북한』, 2008. 미소장
26 이상태,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 고찰에 관한 연구」, 『學林』 제37집, 20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