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전념치료 매트릭스(ACT Matrix) 기반 프로그램이 가정폭력피해 여성의 외상후 스트레스, 불안, 우울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Y시에 위치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쉼터에 입소한 여성 8명으로서 집단 치료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중재는 2021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매주 1회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7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피해 여성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불안, 우울 영역 모두에서 중재 이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개인별로 중재의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외상후 스트레스 지수에서 2명, 불안 지수에서 1명의 참여자가 중재 이후 변화가 없었다. 이는 ACT Matrix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트라우마를 직접 통제하지 않고 지속적인 알아차림의 훈련을 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정적 정서의 상위 개념인 삶의 유연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 및 매개변인 분석 등과 같은 ACT Matrix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CT matrix-based program on changes to the post 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The subjects include eight women that entered a shelter 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Y City, Jeonnam Province. They received group therapy. A total of seven intervention sessions were provided with a session per week in November, 2021∼December, 2021 except for the pre- and post-test.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d significant changes in all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dex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tervention effects among the individuals. Two participants showed no changes to their post-traumatic stress after the intervention, and one participant was the same case of anxiety. These findings are feasible, considering the ACT Matrix is a process of training for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have continuous awareness instead of controlling their trauma directly. These findings propose a direction of consistent research for the ACT Matrix program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life flexibility, an upper concept of negative emotions, and the analysis of parameter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2021. 01. 21). [법률 제17499호] https://www.law.go.kr 에서 2022. 8. 17 인출. | 미소장 |
2 | 고순배, 최은영, 공마리아 (2008). 상호작용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 가정폭력피해 모-자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4(4), 285-315. | 미소장 |
3 | 고윤정, 김정민 (2015). 사회불안장애 여자 대학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의효과 비교.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175-197. | 미소장 |
4 | 권주희 (2019). 수용전념치료(ACT) 관점에서 본 발표불안 경험: 자서전적 내러티브. 명상심리상담, 22, 71-80. | 미소장 |
5 | 권진숙 (1996. 05.). 배우자학대와 사회사업적 개입.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47-58. 서울: 숭실대학교. | 미소장 |
6 |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건강, 18(2), 301-321. | 미소장 |
7 | 김선엽, 신윤정, 박보미, 박선영, 신정원 (2021). 수용전념치료에 기반한 심화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와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비교의 예비연구. Journal of sleep medicine, 18(2), 78-87. | 미소장 |
8 | 김아름, 손정락 (2015). 수용전념치료(ACT)가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경험회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건강, 20(2), 407-423. | 미소장 |
9 | 김정규, 이상하, 이린아, 김정한, 신지영, 이동훈 (2014).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하나원 거주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자아개념, 사회성, 충동성, 불안과 우울을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8(1), 89-103. | 미소장 |
10 | 김창윤, 고진경, 노은여 (2002).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척도의 문항 특성. 신경정신의학, 41(5), 905-911. | 미소장 |
11 | 김혜은, 박경 (2013). 우울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과정 및 연구동향. 심리치료, 13(1), 99-112. | 미소장 |
12 | 대법원 (2020). 2020 사법연감. 서울: 저자. | 미소장 |
13 | 류정자, 최문정 (2007).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 증상에 대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에니어그램연구, 4(2), 29-68. | 미소장 |
14 | 문준희, 김영숙 (2020). 치매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효과성연구: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3(2), 245-270. | 미소장 |
15 | 박애경 (201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인지행동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8(1), 31-59. | 미소장 |
16 | 송성자 (2000). 해결중심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에 대한 해결중심치료언어게임 개념의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8(1), 87-112. | 미소장 |
17 | 송현종, 정광주 (2016). 특수아동과 상담.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8 | 신은주 (1995). 아내학대의 실태 및 ‘가정폭력방지법(가칭)’. 사회복지연구, 1, 95-117. | 미소장 |
19 | 신나래 (2022).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쉼터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쉼터 구성원들 간의 관계경험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3(1). 35-73. | 미소장 |
20 | 엄수현, 김병석 (2016). 마음챙김 훈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명상학회지, 6(1), 29-44. | 미소장 |
21 | 여성가족부 (2019). 2019 가정폭력 실태조사보고서. 서울: 저자. | 미소장 |
22 | 여성가족부 (2021). 2020년 상반기 기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상담소, 보호시설) 운영실적. 서울: 저자. | 미소장 |
23 | 유다선, 손정락 (2014). 수용전념치료(ACT)가 제1형 당뇨 청소년의 당뇨 스트레스, 자기관리, 삶의 질 및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19(3), 637-658. | 미소장 |
24 | 유영달 (201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적-부정 정서, 무망감, 자살생각에 대한 반구조화인간중심 집단 상담의 개입 효과. 가족과 문화, 23(4), 41-66. | 미소장 |
25 |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4(3), 303-310. | 미소장 |
26 | 이미숙, 장민경, 김민경, 김진경 (2011).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분노와 뇌기능 지수의 변화에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아동복지연구, 9(3), 1-18. | 미소장 |
27 |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254. | 미소장 |
28 | 이은주, 최외선 (2005). 미술치료가 가정폭력피해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2(1), 255-279. | 미소장 |
29 | 이종원 (2010).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일치적 의사소통 향상을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4), 102-123. | 미소장 |
30 | 이종하, 신철민, 고영훈, 임재형, 조숙행, 김승현, 정인과, 한창수 (2012). 한글판 스트레스자각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정신신체의학, 20(2), 127-134. | 미소장 |
31 | 장서윤, 손정락 (2012).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 분노, 문제행동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4), 1059-1076. | 미소장 |
32 | 전철은, 현명호 (2003).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763-776. | 미소장 |
33 | 정나래, 이민규 (2014). 수용전념치료(ACT)가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909-930. | 미소장 |
34 | 정은주 (2020).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 기반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7(6), 1257-1274. | 미소장 |
35 | 조연정,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3), 445-467. | 미소장 |
36 | 조현아 (2013). 수용전념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6), 3811-3828. | 미소장 |
37 | 허도련, 권도하, 김화수 (2016). 수용⋅전념 치료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25(1), 23-36. | 미소장 |
38 | 허선무, 이봉건 (2016). 사회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ACT) 치료변인의 효과. 인지행동치료, 16(4), 445-467. | 미소장 |
39 | Bond, F. W., & Flaxman, P. E. (2006). The ability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job control to predict learning, job performanc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26(1), 113-130. | 미소장 |
40 | Follette, V., Palm, K., & Pearson, A. (2006). Mindfulness and trauma: Implications for treatment.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 Behavior Therapy, 24, 45-61. | 미소장 |
41 | Kevin, L. P., Schoendorff, B., Webster, M., & Olaz, F. O. (2018). 수용전념치료의 혁신매트릭스 [The essential guide to the ACT matrix A Step-By-Step]. (곽욱환, 조철래, 김도훈, 김상엽, 이강욱, 전봉희, 정진 역.), 서울: 삶과 지식. (원저 2016 출판). | 미소장 |
42 |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 미소장 |
43 | Weingourt, R. (1985). Never to be alone: Existential therapy with battered woman.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17, 24-29. | 미소장 |
44 | Wicksell, R. K., Olsson, G. L., & Hayes, S. C. (2011). Mediators of change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pediatric chronic pain. Pain, 152(12), 2792-280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