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nowboard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 조석연 ; 윤형기 ; 오세이 ; 김대훈 1

Abstract 1

Ⅰ.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Ⅱ.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2. 연구도구 3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4. 자료처리 5

Ⅲ. 결과 5

1. 상관관계분석 5

2.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6

2.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7

3. 스누보드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7

Ⅳ. 논의 7

1.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7

2.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8

3.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9

Ⅴ. 결론 9

참고문헌 1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생활체육 관련 1인미디어의 선택속성이 생활체육에 대한 기대감과 참여의도에 이르는 경로분석 = A path analysis on choice attributes of single person media, expectation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이영준, 오경아 p. 1-10

보기
웨이트트레이닝 참여자의 협상효능감과 여가제약협상,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여가제약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otiation efficacy,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of weight training participants 정명숙, 황선환 p. 11-26

보기
비대면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재미가 진지한 여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un factor on serious leisure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leisure activities 사혜지, 한지훈, 이평원 p. 27-40

보기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nowboard participa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조석연, 윤형기, 오세이, 김대훈 p. 41-52

보기
MZ세대의 자기애성향, SNS 이용동기, 과시적 여가소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conspicuous leisure consumption among MZ generation 장나연, 주진영, 신규리 p. 53-64

보기
델파이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힐링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healing program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Delphi analysis 김현아, 김현나 p. 65-82

보기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cla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utdoor recreation = 여가동기와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관계에 미치는 사회계층 조절 효과 Jun, Jinhee p. 83-92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금자(2002). 여성들의 휘트니스 클럽 참여동기와 만족도 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 김양례(2000). 스포츠사회학 : 동계스포츠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영향 – 스키와스노우보드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39(2), 116-125. 미소장
3 김원광(2006). 청소년의 유도 참여동기가 참여만족도와 몰입도 및 참여 후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 김정식, 김대훈(2015). 스키슬로프 서비스 엔카운터가 대학생의 수업만족과 지속적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0(3), 41-50. 미소장
5 김홍재(2012). 생활체육 테니스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도, 참여만족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대학원. 미소장
6 문영재(2011). 체험스쿠버 다이버들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7 박명국, 김성국, 윤영선(2007). 생활체육 축구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4), 111-122. 미소장
8 박태근(2014). 대학교 교양체육 참가자의 스포츠몰입과 참여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3), 311-324. 미소장
9 서병세, 박철홍(2006). 노인의 사회체육 활동 참여동기가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지, 26, 365-375. 미소장
10 서희진, 김용준(2004). 스포츠 사회학 : 중,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가요인과 운동선수 만족, 운동지속 및 탈퇴의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2), 97-107. 미소장
11 신승훈, 정경회(2016). 유소년 스포츠클럽활동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2), 155-162. 미소장
12 양명환(1994).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동기에 관한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5(1), 107-122. 미소장
13 양명환(2009). 운동 동기와 참여수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타개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 121-138. 미소장
14 윤신혜, 김병식(2017). 유소년 농구클럽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술발달과 즐거움이 운동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1), 359-370. 미소장
15 이광수(2003).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동기가스포츠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6 이대로(2012).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미소장
17 이대로, 최성애(2012).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공기가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12(1), 81-82. 미소장
18 이영희(2006).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동기, 만족 및 지속 참여의도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이준희(2005). 댄스스포츠 강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강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4), 215-224. 미소장
21 임수영(2006). 스키장에서의 서비스조우(Serviceencou nter)가 대학동계스포츠 참가학생들의 수업만족과 지속적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2 전종현, 강효민(1997).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스포츠 활동만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8, 165-176. 미소장
23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4 정주진(2011). 생활체육 골프참여자의 참여동기가참여만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5 조장원(2017). 방과 후 체육활동 참가에 대한 자의적 선택과 참여만족 및 재참여 의도 간의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6 주우영(2012). 야구동호회 참가자의 참여동기가재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7 최영진(2002). 상업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8 Beard J. G. &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미소장
29 Deci, E. L. & Ryan, R. M.(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미소장
30 Graham, M. H. (2003). Confronting multicollinearity in ecological multiple regression. Ecology, 84(11), 2809-2815. 미소장
31 Keller, K. L.(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미소장
32 Kenyon, G. S., Schutz R.W.(1970). Patterns of involvement in sport: A stochastic view. In Kenyon G. S., Grogg, T. M. (dir.), Contemporary psychology of sport. Chicago: Athletic Institute. 미소장
33 Vallerand, R. J., Pelletier, L. G., Blais, N. M., Senecal, C., Vallieres, E. F.(1992).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extrinsic and motivation in educ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1003-1017. 미소장
34 Weiner, B.(1986). Attribution, emotion, and action. In R. M. Sorrentino & E. T. Higgins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1, pp. 281–312).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