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였을 때 노트 필기를 병행하며 학습을 하는 경우에 대해 학습 효과 및 만족도,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 도구로 사용하기 위한 양식으로 코넬노트를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온라인 학습에서의 노트 필기가 수업 참여의 성실성, 적극성, 집중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통계 분석 결과, 노트 필기 제출 횟수와 학업성취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단일/다중 회귀분석을 통해서 노트 필기 제출 횟수와 학업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학생들의 노트 필기 제출 횟수가 1회 증가할 경우, 이는 중간고사 점수 0.253점, 기말고사 점수 0.287점 상승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부트스트래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필기노트 제출 횟수가 성적과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 단일/다중회귀 분석의 결과가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상에서 강의를 수강하며 노트를 필기하고 온라인 제출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의 성취도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utcome assessment of competency-based major sub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용연, 김주리, 강승찬 p. 225-234

체계적 공학설계 방법론을 적용한 기계공학 교과목 운영 사례 : Operation case of mechanical engineering subject applying systematic engineering design approach : design of golf ball dispenser / 골프공디스펜서 설계 유선중 p. 235-244

산업공학 전공 교과목 강의를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활용 : Using Python programming language for teaching industrial engineering subjects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conomy / 경제성공학 교육 사례 연구 조용규 p. 245-258

K대학 교수들의 대학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K-university professors' perception of university on job satisfaction 백승희, 설순욱 p. 259-266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업성취도 예측 시스템 : Learning ability prediction system for developing competence ba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ase of D-university /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국, 오창헌 p. 267-277

합성곱 신경망 기초 실습 사례 개발 = Development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ic practice cases 허경 p. 279-285

학습자 대상 위드 코로나 시대의 교수법 고찰 = A study on coexist With COVID-19 teaching methods for learners 정애리, 조영복 p. 287-294

Active Learning Classroom과 고정식 강의실에서의 플립러닝 비교 사례연구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 vs. fixed classroom 이상은, 송봉식 p. 295-303

데이터 예측 모델 최적화를 위한 경사하강법 교육 방법 = Gradient descent training method for optimizing data prediction models 허경 p. 305-312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폐기학습, 학습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gility, un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 condition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gender / 성별에 따른 조건부 효과 위영은, 김우철, 이지영 p. 313-325

LC-MS/MS를 이용한 단백질 의약품 맵핑 교수법 = Educational peptide mapping of protein-based biopharmaceuticals by using LC-MS/MS 김준석 p. 327-332

노트 필기를 사용한 온라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using note-taking on academic achievement 윤석범, 장은영 p. 333-339

구음장애 환자용 영우글자판 개발 = Development of Youngwoo keyboard for dysarthria patients 윤현진, 김영철 p. 341-350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기반의 온라인 학습 도구 웹사이트 구축 = Development of metacognitive-based online learning tools website for effective learning 이현준, 빈기범, 김은서, 문일영 p. 351-359

비대면 시대에 메타버스를 이용한 교육의 효과와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and application cases of education using metaverse in the non-face-to-face era 송은지 p. 361-366

메타버스의 수업활용에 관한 사용자 경험 분석 : Analysis of user experience for the class using metaverse : focus on ‘spatial’ / 스페이셜(Spatial)을 중심으로 이예진, 정광태 p. 367-376

일학습병행제 계약학과 신설에 따른 교과과정 개발 연구 = Research on establishment of contract-based department and its curriculum development in work-study parallel program 박동규, 최환영 p. 377-385

지붕 설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 위치 추적 구조물 설계 및 설치 실증 기법의 교육과정 연계 = A study on automatic solar tracking design of rooftop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linkage with education curriculum 우덕건, 서춘원, 이효재 p. 387-392

교육훈련과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 문헌분석 : A literature review of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studies using the Human Capital Enterprise Panel (HCCP) / 인적자본기업패널 (HCCP) 활용 논문을 중심으로 문동철, 한지영, 박지원 p. 393-404

정부의 디지털 신기술 분야 직업훈련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 in digital new technology of government 이우영, 이문수, 김국원 p. 405-411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job competency assessor 이진구, 정일찬, 김지영 p. 413-423

에듀테크 기반 평생직업능력개발 선도사업 모델 수립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tech-base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임경화, 신정민, 김주리 p. 425-437

YCbCr 컬러모델 기반의 키프레임 추출을 통한 티저 영상 제작 방법에 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teaser video production method by keyframe extraction based on YCbCr color model 이서영, 박효경, 용성중, 유연휘, 문일영 p. 439-445

장애학생 원격교육 및 교육지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dista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구정아, 손지영 p. 447-457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 Presidents, “The online education status of University and best case study due to COVID-19,” pp. 3, July 2021. 미소장
2 Ministry of Education,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response to COVID-19 in the education sector,” Press Release, 2nd March, 2021. 미소장
3 E. Y. Kim and S. H. Park, “The effect of note-taking strategies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ttentional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KJEP, vol. 24, no. 3, pp. 525-543, 2010. 미소장
4 D. W. Han and M. C. Kang, “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in learner interaction, social pres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on applying SNS to lectur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2, pp. 494-503, 2014. 미소장
5 J. Y. Ju, N. Y. Kim, and H. K. Cho,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line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and Media, vol. 14, no. 3, pp. 115-135, 2008. 미소장
6 W. H. Choi and Y. C. Jun, “Case review of untact online courses based on video recording vs. synchronous video conferencing,” Journal of Field-based Lesson Studies, vol. 1, no. 2, pp. 1-28, 2020. 미소장
7 E. J. Kim,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s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6, no. 3, pp. 107-129, 2015. 미소장
8 Y. Noh,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learner’s satisfaction -focus on cornell note system,”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vol. 20, no. 1, pp. 107- 125, 2018. 미소장
9 D. A. Freedman, “Bootstrapping regression models,” Annals of Statistics, vol. 9, no. 6, pp. 1218-1228, November 1981. 미소장
10 J. Neter, M. H. Kutner, C. J. Nachtsheim, and W. Wasserman,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McGraw-Hill/Irwin, 4th Edition, 199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