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기 남부 향촌 사회의 근대적인 중인들 : Middle status people (jungin) in modern era at the local society of southern Gyeonggi area : an essay on regional social system and periphery/mediacy of communities / 공동체의 경계/매개와 지역사회체계 시론(試論) 안승택 p. 9-44
분단의 현실과 접경지역의 어민사회 :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and the fishermen community in the border area : the case of Daejin-ri, Hyeonnae-myeon, Goseong-gun /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의 사례 이중구 p. 45-78
차전(車戰)의 놀이도구와 놀이방법에 관한 시론 : Play methods in Chajeon : focused on Chajeon handed down in Chuncheon / 춘천차전을 중심으로 한양명 p. 81-107
서사가 있는 만석중연희, 땅설법 <만석중득도기(曼碩衆得道記)> 고찰 = A review of Ttangseolbeob Manseogjungdeugdogi(曼碩衆得道記) with a story 김형근 p. 109-153

한국전쟁 이후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 = Changes in the roles of women in Onggi workshops after the Korean War 이한승 p. 155-191
한산모시짜기 모시농업 도구의 변화 : The change of tools of Mosi farming of Hansan Mosi weaving : focusing on the 'Daekal' of the 1950s and 60s / 1950~60년대 '대칼'을 중심으로 노영미 p. 193-218
일제강점기 이후 숭덕전 제례의 전승 양상 : Aspects of transmission of the ritual at Sungdeokjeon(崇德殿)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the transmission group / 전승집단의 조직과 운영을 중심으로 김유신 p. 219-250
뉴욕 무계를 통해 본 한국무속의 해외전파와 디아스포라적 변이 양상 = Overseas propagation of Korean shamanism through diaspora movements and the lineage 'New York Musok' 쎄살 푸촐, 조성실 p. 251-281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승정원일기』 미소장
2 『독립신문』 미소장
3 『황성신문』 미소장
4 『대한매일신보』 미소장
5 『부녀일보』 미소장
6 『대구시보』 미소장
7 禹夏永, 『千一錄』 . 미소장
8 玄檃, 『中人 來歷의 略考』 . 미소장
9 골드버그, 찰스, 「양반, 상놈과 인류학자: 인류학적 이론과 cross-cultural studies를 비추어 본 한국사회 계급과 동족집단의 조사」, 『한국문화인류학』 6, 한국문화인류학회, 1973. 미소장
10 김용섭, 『증보판 조선후기농업사연구』 Ⅰ, 지식산업사, 1995. 미소장
11 배영동, 「근대 신분제 유습 해체와 마을공동체 민속의 단절 또는 변화에 대한 시론: 경북지역 반촌의 경우에 대한 문제제기」, 『실천민속학연구』 32, 실천민속학회, 2018. 미소장
12 송양섭, 「19세기 유학호의 구조와 성격: 『단성호적대장』 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4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4. 미소장
13 시마 무츠히코(嶋 陸奧彦), 「한국농촌구조 연구 노우트」, 『한국문화인류학』 15,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미소장
14 시마 무츠히코(嶋 陸奧彦), 「한국 농촌에 있어서의 세대의 장기적 유동성과 그 함의」, 『한국문화인류학』 31(2), 한국문화인류학회, 1998. 미소장
15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현 법물야면 유학호의 분포와 성격」, 『역사와 현실』 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미소장
16 안승택, 「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아랫것들’과 공동체의 ‘살갗’: 경기남부의 사례」, 『한국문화인류학』 52(1),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미소장
17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미소장
18 양평군지편찬위원회, 『양평군지』 (중): 양평의 문화유산, 양평문화원, 2005. 미소장
19 오창현, 「농지개혁과 마을 공동체의 변형: 경기동남부의 두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4(2),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미소장
20 이용기, 「1940~50년대 농촌의 마을질서와 국가: 경기도 이천의 어느 집성촌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10, 역사문제연구소, 2003. 미소장
21 장수현, 「농지개혁이후 한국의 농민층 분화에 관한 연구: 경남 김해군의 한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
22 정승모, 「장례와 관련한 동계(洞契)의 변화와 ‘유학’계: 19세기 후반 이후의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5,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미소장
23 정승모, 「18~19세기 농민층 분화와 ‘향촌중인’」, 『대동문화연구』 5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 미소장
24 정승모, 『한국의 농업세시』 , 일조각, 2012. 미소장
25 홍성흡, 「토지소유와 지주소작 관계의 성격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