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인문학의 실천과 교양교육 = Humanities practice and liberal education / 김중철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는 말 2
2. 현대사회와 인문학의 위치 3
2.1. 현대사회의 풍경 3
2.2. 인문학의 역할 8
3. 현대사회의 인간과 상(像) 10
4. 인문학 실천으로서의 방향과 방법 14
4.1. 인문학의 실천 14
4.2. 인문학 실천으로서의 글쓰기 18
5. 나오는 말 22
참고문헌 24
Abstract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병헌, 「실천인문학의 다양한 가능성과 효과성 고찰」, 『수행인문학』 37(1), 한양대수행인문학연구소, 2007, 59-84. | 미소장 |
2 | 김성우⋅최종덕,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시대와 철학』 20(1),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11-42. | 미소장 |
3 | 김성제, 「후마니타스의 위기와 수행인문학」, 『수행인문학』 37(1), 한양대 수행인문학연구소, 2007, 5-24. | 미소장 |
4 | 김우영⋅이병승,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한 자율성의 개념」, 『교양교육연구』8(4), 2014, 207-242. | 미소장 |
5 | 박수정⋅박상완⋅이현정⋅박정우⋅김경은, 「교사 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4C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2),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167-192. | 미소장 |
6 |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의 철학을 위하여』, 지와사랑, 2009. | 미소장 |
7 | 서경식⋅노마 필드⋅가토 슈이치, 『교양, 모든 것의 시작』, 이목 옮김, 노마드북스, 2007. | 미소장 |
8 | 손동현,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 37, 성균관대인문과학연구소, 2006, 203-231. | 미소장 |
9 | 이승우, 「전기수(傳奇叟) 이야기」, 『2007년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현대문학사, 2007. | 미소장 |
10 | 정기섭,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강현출판사, 2019. | 미소장 |
11 | 정대현 외, 『표현인문학』, 생각의나무, 2000. | 미소장 |
12 | 정철민⋅유재봉,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6(3),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189-210. | 미소장 |
13 | 조정래, 『한강』, 해냄, 2007. | 미소장 |
14 | 최순호 외 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8. | 미소장 |
15 | 최희봉,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 치료」, 『인문과학연구』 25,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010, 327-346. | 미소장 |
16 | Bauman, Z., 『쓰레기가 되는 삶들』, 정일준 옮김, 새물결, 2008. | 미소장 |
17 | Shorris, E., 『희망의 인문학: 클레멘트 코스, 기적을 만들다』, 고병헌⋅이병곤⋅임정아 옮김, 2006, 이매진.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