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안빙몽유록〉의 양식적 특징과 서사의 의미 =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Anbingmong-yurok / 엄태식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창작의 배경과 양식적 특징 7
3. 〈안빙몽유록〉 서사의 의미 12
4. 맺음말 26
참고문헌 27
[요약] 3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조선왕조실록』(https://sillok․history.go.kr). | 미소장 |
2 | 班固 撰, 『漢書』, 中華書局, 1962: 1〜4273쪽. | 미소장 |
3 | 司馬遷 撰, 『史記』, 中華書局, 1959: 1〜3322쪽. | 미소장 |
4 | 성백효 역주, 『현토완역 시경집전』 상, 전통문화연구회, 1993: 1〜460쪽. | 미소장 |
5 | 성백효 역주, 『현토완역 시경집전』 하, 전통문화연구회, 1993: 1〜465쪽. | 미소장 |
6 | 李昉 等 編, 『太平廣記』, 中華書局, 1961: 1〜4106쪽. | 미소장 |
7 | 박헌순 역, 『기재기이』, 범우, 2008: 1〜258쪽. | 미소장 |
8 | 윤주필 역, 『조선 전기 우언소설』, 문학동네, 2013: 1〜248쪽. | 미소장 |
9 | 최용철 편,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 1〜596쪽. | 미소장 |
10 | 권도경, 「16세기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사적 의의 연구 -현실성의 확대와 주체의 의지강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6, 한국고전연구학회, 2000: 33〜58쪽. | 미소장 |
11 | 김민주, 「안빙몽유록의 서사적 전통과 의미」, 『문창어문논집』 41, 문창어문학회, 2004: 145〜175쪽. | 미소장 |
12 | 김 엽, 「안빙몽유록의 인물 구도와 작가 의식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14: 1〜87쪽. | 미소장 |
13 | 김인경, 「기재기이 연구 -형상화 방식과 기이의 성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04: 1〜72쪽. | 미소장 |
14 | 김종철, 「서사문학사에서 본 초기소설의 성립 문제」, 『고소설연구논총』, 다곡 이수봉 선생 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8: 183〜207쪽. | 미소장 |
15 | 김현화, 『기재기이의 창작 미학』, 보고사, 2014: 1〜281쪽. | 미소장 |
16 | 남혜경, 「안빙몽유록 속 화원왕국과 모란의 성격 재고」, 『한국고전연구』 57,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315〜342쪽. | 미소장 |
17 | 문범두, 「안빙몽유록 주제고」,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2003: 239〜264쪽. | 미소장 |
18 |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1〜256쪽. | 미소장 |
19 | 소인호, 『한국전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8: 1〜296쪽. | 미소장 |
20 | 소재영, 『기재기이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1〜307쪽. | 미소장 |
21 | 신범순, 「은자의 정원에 나타난 상징과 꿈의 의미 -안빙몽유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0: 75〜107쪽. | 미소장 |
22 | 신상필, 「기재기이의 성격과 위상」,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소명출판, 2007: 223〜250쪽. | 미소장 |
23 |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994: 1〜436쪽. | 미소장 |
24 | 신해진, 『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박이정, 1998: 1〜324쪽. | 미소장 |
25 | 신희경, 「조선시대 정원문화로 읽는 안빙몽유록」, 『한국고전연구』 4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281〜316쪽. | 미소장 |
26 | 양혜승, 「안빙몽유록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와 의미지향」, 『문학과 종교』 24-2,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71〜95쪽. | 미소장 |
27 | 엄기영, 『16세기 한문소설 연구』, 월인, 2009: 1〜254쪽. | 미소장 |
28 | 엄기영, 「기재기이와 작자 신광한의 자기인식」, 『고소설연구』 32, 한국고소설학회, 2011: 97〜122쪽. | 미소장 |
29 | 유기옥, 「기재기이의 연구 동향과 쟁점」,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75〜100쪽. | 미소장 |
30 |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347쪽. | 미소장 |
31 |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5: 1〜341쪽. | 미소장 |
32 |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192쪽. | 미소장 |
33 | 윤채근, 「기재기이의 창작 배경과 그 소설적 의미 -수사적 만연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9, 한국고전문학회, 2006: 339〜375쪽. | 미소장 |
34 | 윤채근,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월인, 1999: 1〜496쪽. | 미소장 |
35 | 이경규,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1999: 1〜88쪽. | 미소장 |
36 | 이지영, 『금오신화와 기재기이의 비교 연구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6: 1〜103쪽. | 미소장 |
37 | 전성운, 『신광한 기재기이』, 보고사, 2022: 1〜330쪽. | 미소장 |
38 | 전인초, 『당대소설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1〜584쪽. | 미소장 |
39 |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1〜372쪽. | 미소장 |
40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 지식산업사, 2005: 1〜379쪽. | 미소장 |
41 | 조재현,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월인, 2009: 265〜269쪽. | 미소장 |
42 | 조현우, 『고전서사의 허구성과 유가적 사유』, 보고사, 2007: 1〜354쪽. | 미소장 |
43 | 차용주,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 창학사, 1981: 1〜297쪽. | 미소장 |
44 | 최승범, 「안빙몽유록에 대하여」, 『국어문학』 2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4: 125〜145쪽. | 미소장 |
45 | 최재우, 『기재기이의 특성과 의미』, 박이정, 2008: 1〜433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