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안빙몽유록〉의 양식적 특징과 서사의 의미 =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Anbingmong-yurok / 엄태식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창작의 배경과 양식적 특징 7

3. 〈안빙몽유록〉 서사의 의미 12

4. 맺음말 26

참고문헌 27

[요약]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어학 연구 성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한 소고 = Proposal for shar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results of Korean languages studies : 대학 교육의 위기와 국어학의 변화 방향 주지연 p. 5-28

보기
고전문학 교육의 위기와 변화 방향 =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이정원 p. 29-69

보기
고전시가 위기의 진단과 문제 해결의 좌표 : Diagnosis of crisis for classical poetry and coordinates of problem solving :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 관계성의 복원과 이해의 지평을 중심으로 최홍원 p. 71-111

보기
포스트휴먼 (인)문학과 SF의 사변적 상상력 = Posthuman literature and speculative imagination of science fiction 노대원 p. 113-136

보기
인문학 연구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및 적용 방향 :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humanities research : focu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digital humanities / 디지털 인문학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박경우 p. 137-179

보기
<안빙몽유록>의 양식적 특징과 서사의 의미 =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of Anbingmong-yurok 엄태식 p. 181-211

보기
학명 선사 선시의 중층적 이념 체계와 역동적 작품 구조 = A study on the overlayer ideology and dynamic structure of Hak-Myeong(鶴鳴)’s Seon poem(禪詩) 전재강 p. 213-244

보기
匪懈堂 李瑢 主纂 『唐宋八家詩選』 底本考 =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of The Poetry Book of Eight Masters of Tang and Song Dynasties, mainly compiled by Bihaedang Lee Yong 崔雄權, 陳思宇 p. 245-278

보기
체계기능언어학(SFL)을 통한 국어교육의 지평 확장 = The new horiz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s through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SFL) 남가영, 주세형 p. 279-325

보기
역사·웹소설의 역사성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ity of historical web novels : focusing on Euodia’s Gwanghae’s Lover / 유오디아의 <광해의 연인>을 중심으로 송명진 p. 327-352

보기
서정주의 새 자료 「해동사화초」 연구 = A study on “Sketch the Historical Story of Old Korea[海東史話抄]”, a new material by Seo Jeong-ju 윤재웅 p. 353-381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선왕조실록』(https://sillok․history.go.kr). 미소장
2 班固 撰, 『漢書』, 中華書局, 1962: 1〜4273쪽. 미소장
3 司馬遷 撰, 『史記』, 中華書局, 1959: 1〜3322쪽. 미소장
4 성백효 역주, 『현토완역 시경집전』 상, 전통문화연구회, 1993: 1〜460쪽. 미소장
5 성백효 역주, 『현토완역 시경집전』 하, 전통문화연구회, 1993: 1〜465쪽. 미소장
6 李昉 等 編, 『太平廣記』, 中華書局, 1961: 1〜4106쪽. 미소장
7 박헌순 역, 『기재기이』, 범우, 2008: 1〜258쪽. 미소장
8 윤주필 역, 『조선 전기 우언소설』, 문학동네, 2013: 1〜248쪽. 미소장
9 최용철 편,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 1〜596쪽. 미소장
10 권도경, 「16세기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사적 의의 연구 -현실성의 확대와 주체의 의지강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6, 한국고전연구학회, 2000: 33〜58쪽. 미소장
11 김민주, 「안빙몽유록의 서사적 전통과 의미」, 『문창어문논집』 41, 문창어문학회, 2004: 145〜175쪽. 미소장
12 김 엽, 「안빙몽유록의 인물 구도와 작가 의식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14: 1〜87쪽. 미소장
13 김인경, 「기재기이 연구 -형상화 방식과 기이의 성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04: 1〜72쪽. 미소장
14 김종철, 「서사문학사에서 본 초기소설의 성립 문제」, 『고소설연구논총』, 다곡 이수봉 선생 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8: 183〜207쪽. 미소장
15 김현화, 『기재기이의 창작 미학』, 보고사, 2014: 1〜281쪽. 미소장
16 남혜경, 「안빙몽유록 속 화원왕국과 모란의 성격 재고」, 『한국고전연구』 57,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315〜342쪽. 미소장
17 문범두, 「안빙몽유록 주제고」,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2003: 239〜264쪽. 미소장
18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1〜256쪽. 미소장
19 소인호, 『한국전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8: 1〜296쪽. 미소장
20 소재영, 『기재기이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1〜307쪽. 미소장
21 신범순, 「은자의 정원에 나타난 상징과 꿈의 의미 -안빙몽유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0: 75〜107쪽. 미소장
22 신상필, 「기재기이의 성격과 위상」,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소명출판, 2007: 223〜250쪽. 미소장
23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994: 1〜436쪽. 미소장
24 신해진, 『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박이정, 1998: 1〜324쪽. 미소장
25 신희경, 「조선시대 정원문화로 읽는 안빙몽유록」, 『한국고전연구』 4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281〜316쪽. 미소장
26 양혜승, 「안빙몽유록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와 의미지향」, 『문학과 종교』 24-2,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71〜95쪽. 미소장
27 엄기영, 『16세기 한문소설 연구』, 월인, 2009: 1〜254쪽. 미소장
28 엄기영, 「기재기이와 작자 신광한의 자기인식」, 『고소설연구』 32, 한국고소설학회, 2011: 97〜122쪽. 미소장
29 유기옥, 「기재기이의 연구 동향과 쟁점」,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75〜100쪽. 미소장
30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347쪽. 미소장
31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5: 1〜341쪽. 미소장
32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192쪽. 미소장
33 윤채근, 「기재기이의 창작 배경과 그 소설적 의미 -수사적 만연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9, 한국고전문학회, 2006: 339〜375쪽. 미소장
34 윤채근,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월인, 1999: 1〜496쪽. 미소장
35 이경규,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1999: 1〜88쪽. 미소장
36 이지영, 『금오신화와 기재기이의 비교 연구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6: 1〜103쪽. 미소장
37 전성운, 『신광한 기재기이』, 보고사, 2022: 1〜330쪽. 미소장
38 전인초, 『당대소설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1〜584쪽. 미소장
39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1〜372쪽. 미소장
4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 지식산업사, 2005: 1〜379쪽. 미소장
41 조재현,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월인, 2009: 265〜269쪽. 미소장
42 조현우, 『고전서사의 허구성과 유가적 사유』, 보고사, 2007: 1〜354쪽. 미소장
43 차용주,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 창학사, 1981: 1〜297쪽. 미소장
44 최승범, 「안빙몽유록에 대하여」, 『국어문학』 2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4: 125〜145쪽. 미소장
45 최재우, 『기재기이의 특성과 의미』, 박이정, 2008: 1〜433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