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영어수업에서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ollege English class :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nd task value / 자기주도영어학습력과 과제가치의 매개효과 정소영, 엄철주 p. 1-17
'어린이 작가되기'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Becoming a Child Writer” program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김수연, 박종효 p. 19-38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Nutrition education reality in nutrition teachers and awareness and demand for online nutrition education 이슬기, 계승희 p. 39-54
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 A case study on the linkages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based on the curriculum 박은주 p. 55-77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적용 방안 = A study on the plan to apply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이한진 p. 79-94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major,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서동미, 백승학, 엄은나 p. 95-112
우리나라 문화재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3D modeling of cultural assets in Korea : focusing on the students at S gifted school / S 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최경식 p. 113-131
국내 진로분야의 삶의 의미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meaning in life on career : a literature review in Korea 백정기, 이제경 p. 133-156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문미혜, 김정원 p. 157-169

중국 고등학교 「사상정치」 교과서의 시장실패 양상 분석 = An analysis of market failure aspects in Chinese high school's 「Ideological and Political」 textbooks 안지영 p. 171-193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현혜순, 김윤영 p. 195-204
COVID-19 스트레스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VID-19 related stres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지영 p. 205-213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 양성교육 비교연구 = Acomparative study on the education of prospective principals in Australia and Canada 김연 p. 215-235
디스토피아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및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distopian fiction 오윤주 p. 237-253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만난 영유아와의 경험에 대한 의미 = The meaning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child care practice 안지영 p. 255-266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선택과목으로서 미용교과 수요자 요구조사 및 구조화 = Survey and structuralization of the demand for beauty curriculum as an elective subject by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d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이상원, 정재형 p. 267-280
뉴노멀 시대 대학생들의 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career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era of new normal 권수창, 황혜정 p. 281-293
어머니의 부모감독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Mothers’ parental monitoring on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 부모애착의 조절 효과 엽홍, 이유미, 이상미 p. 295-309
간호대학생의 인문 고전 읽기 수업의 효과 = The effects of a humanity classics reading class for nursing students 이다슴, 정경숙 p. 311-323
고등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 이기남, 조규판 p. 325-340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이명심, 하대현 p. 341-364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김수영, 홍명희, 강승희 p. 365-37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애착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attach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on their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 부모 학교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임소진, 주현정 p. 377-391
패러디 그림책 활용 스마로그형 영어 독서 활동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marlogue type reading activities using parody picture 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itical literacy 박경진 p. 393-412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 Exploring the latent profile on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김화록, 김보현, 박미경, 이홍재 p. 413-428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고교-대학 연계 시-영상 통합 수업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 The influence that the integration lectures of poetry and video affect the student's ability to media literacy when college and high schools are connected 유지선, 김소영 p. 429-448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 Measurement and utilization of major ability in university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창, 한송이, 박상훈 p. 449-465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changing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choo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정지영, 정혜원 p. 467-482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remuneration,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on job satisfaction 방효국 p. 483-495
진로와 직업 교과를 가르치는 저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f inquiry proces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inexperienced teacher teaching career and vocation subject 강신혜, 홍재영 p. 497-515
정서 관련 척도 연구의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emotion-related scale research 이현진 p. 517-532
직업계고 실습수업 개선을 위한 참여 관찰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practice class a participatory observational study : a study on architectural woodworking at S technical high school in Seoul / 서울 S공고 건축목공 실습을 중심으로 이민지, 김민규 p. 533-550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강경희, 최웅용 p. 551-570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분노대처방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ger strategies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 학업성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연화 p. 571-587

영유아의 보육⋅사교육비 지출 실태와 비용 결정 요인 = Expenses and cost determinants for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최정윤, 양정호 p. 589-608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그릿, 진로결정 간의 경로분석 = Path analysis among optimism, grit, and career deci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장현기, 이희영 p. 609-620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어려움에 대한 대학생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difficulty 정재은 p. 631-649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조직효과성,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nursing performance 황경미 p. 651-674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공격성, 우울감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athy, aggression, and depression on self-regulation in nursing students 유장학, 김효정 p. 621-629
청년 사회활동에서 배움의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learning in youth social activities : focusing 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of experiential learning / 경험학습의 세 가지 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강수민, 최순리, 송지훈 p. 675-694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의 넓이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 Analysis of the teach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 for the area of a circle by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임훈택, 고은성 p. 695-709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윤정희, 황혜정 p. 711-725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가치와 태도를 담아내는 방법 : How to embrace values and attitudes i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 comparison of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IBDP mathematics curriculum’s document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DP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비교 김빛나, 조현영 p. 727-742
코로나19로 변화된 어린이집 일상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aily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s changed by COVID-19 강혜원, 홍성호 p. 743-766
Analyzing collaborative talk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fine art activity = 학습자 주도 과제기반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협력적 대화 분석 Jina Lee, Eun Kyung Kim p. 767-782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mong graduate students 김예지, 강진령 p. 963-979
백워드 단원 설계를 통한 다문화 교실 수업의 실천 방안 : A study on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class through backward design : focusing on equitable learning and language development / 공평한 학습과 언어발달을 중심으로 김수영, 이지은, 강현석 p. 783-800
Dialogflow를 이용한 영어 교과서 연계 과제형 챗봇 개발 : Development of task-based chatbots using English textbooks by Dialogflow : based on TBLT / TBLT를 중심으로 서소담, 김정렬 p. 801-816
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미술 감상교육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 A study on grounded theory for teachers’ experience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metaverse 이지연, 송주현, 봉정아, 고건, 김대권 p. 817-837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social anxiety and cognitiv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이회재 p. 839-852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ce 이주영, 권기한 p. 853-875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배선희, 최선영 p. 877-894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차이 = Differences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high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ext types 황상현, 박영민 p. 895-909
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 A qualitative study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practic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a critical analysis into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 현장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비판적 탐구 정정훈, 조재성 p. 911-930
인공지능 BERT 모델 기반 텍스트 임베딩과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국내 경제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economic education using BERT-based text embedding and clustering 김동진, 이하림, 이길재 p. 931-947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조미원, 박영주 p. 949-961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광순, 김은영 (2017). 호흡기 감염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315-326. 미소장
2 김성희, 고진영, 김경철 (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유아교사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63-265. 미소장
3 김승미, 김정규 (2021).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5), 3133-3147. 미소장
4 김영심 (2021). 코로나19가 수도권 어린이집 원장의 삶과 어린이집 운영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4), 227-251. 미소장
5 김영희, 주현정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영유아의 스트레스와 보육교사의 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 167-189. 미소장
6 박영숙, 박정화, 정현정 (2021).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의 또래 집단활동 통제로 인한 유아발달 분석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5(2), 265-272. 미소장
7 보건복지부 (2020a).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비어린이집 등 대응요령.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8 보건복지부 (2020b). 어린이집 코로나19 방역 강화한다. 세종: 보건복지부. 미소장
9 신명희, 서은희, 송수지, 김은경, 원영실, 노원경, ... 임호용 (2021).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 연합뉴스 (2020.03.12.). [2보] WHO, 코로나19에 팬데믹 선언. https://m.yna.co.kr/view/AKR20200312002151088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11 이상순 (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정성식 (2020). 코로나 블루, 이렇게 예방할 수 있다. 정책브리핑 2020년 4월 2일 발표. 미소장
13 질병관리청 (2021).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11.14). www.kdca.go.kr/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미소장
14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이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미소장
15 최윤경 (2020). 코로나19 유치원⋅어린이집 대응체계 점검 및 현황 분석. 육아정책포럼, 65, 6-19. 미소장
16 한국연구재단 (2014). 연구윤리 실무 매뉴얼집. 10-13. 미소장
17 홍성호, 강혜원, 김애숙, 김유진, 김정숙, 김태정, ... 최선숙 (2021).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실습지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475-1503. 미소장
18 홍성호, 강혜원, 유미림 (2020).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777-807. 미소장
19 홍성호, 강혜원, 홍유림, 김주현, 정춘미 (2022). 코로나19로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과 극복요인에 관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423-440. 미소장
20 황니나 (2021). 코로나19 유행 대비 어린이집용 대응 지침분석. 마이너리티연구, 4(1), 49-65. 미소장
21 Guba, E. G. (1985). The alternative paradigm dialog In E. G. Guva (Ed.). The paradigm dialog (pp. 123-143).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22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