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 시가 연구 100년의 자취와 전망 = Traces and prospects of 100 years of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 이도흠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일제강점기의 1세대의 연구 동향과 성찰 3

3. 해방이후-70년대 초반의 2세대의 연구 동향과 성찰 12

4. 70년대 후반-90년대의 3세대의 연구동향과 전망 25

5. 21세기의 새로운 전망 32

6. 맺음말 36

참고문헌 39

Abstract 43

초록보기

고전시가에 대한 100여 년에 걸친 연구사를 학문 주체, 학문의 경향, 시대적 맥락에 따라 일제강점기의 1세대의 연구, 해방이후부터 70년대 초반의 2세대의 연구, 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사이의 3세대의 연구, 90년대 이후의 4세대의 연구로 나누어 되돌아보면서 앞으로의 길을 전망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김태준과 조윤제 등 1세대 학자들에 의한 시가연구의 핵심은 ‘타자의 발견으로서 근대’, ‘식민지적 침탈 대 저항으로서 민족문학 수립’, ‘실증주의와 마르크시즘 연구방법론’이다.

해방 직후부터 70년대 초반까지 구자균과 고정옥, 정병욱 등 2세대 학자들에 의한 시가 연구의 가장 큰 흐름은 ‘민족 문학의 정립’과 ‘한국 문학의 내재적 근대성,’ ‘한국문학의 ‘전후의 복구와 진보적 해석의 타자화/주변화,’ ‘남북한 문학의 분리’다.

최동원, 조동일, 박노준 등 3세대가 주도한 70년대-90년대 시가연구의 큰 흐름은 ‘역사·실증주의의 압도와 탈주,’ ‘(이에 따른) 시가연구의 화려한 개화’와 ‘굳건한 연구 토대의 구축’이다. 이들은 실증주의 방법론에 역사주의 비평을 접목하여 작품에 대한 치밀한 고증과 해석을 하였으며, 반면에 몇몇 학자들은 이에서 탈주하여 시가의 형식과 시학적 분석을 하고 미학적 가치를 드러내는 데 치중하였다.

21세기를 맞아 고전시가 연구자들은 형식주의 비평이나 기호학, 자율성의 미학에 맑스주의 비평과 타율성의 미학, 문화연구를 융합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이 동일성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차이의 패러다임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창조적 연구의 지평이 열릴 것이다. 아울러, 연구자들이 지배적 담론에서 벗어나 배제되거나 경계에 선 이들을 주목하며 서발턴(subaltern)의 입장에서 ‘결을 거스리는 읽기’를 하면 기존과 다른 해석들이 풍성하게 생산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시가 연구 100년의 자취와 전망 = Traces and prospects of 100 years of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이도흠 p. 5-48

보기
신라향가 연구의 성과와 과제 =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search on Silla Hyangga 황병익 p. 49-103

보기
고려속요 연구의 현황과 전망 = A retrospective & prospective analytic diagnosis on studies of Korean song in the Period of Goryeo(高麗) Dynasty 임주탁 p. 105-143

보기
경기체가 연구의 현황과 전망 = The history and future of Gyeonggichega studies 박영재 p. 145-179

보기
악장(樂章) 연구의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Akjang(樂章) poetry 김승우 p. 181-230

보기
주의식 시조의 전승양상과 그 의미 = The transmission pattern of Joo Ui-sik's Gagok-chang suite and its meaning 박연호 p. 231-262

보기
상장가류 가사에 나타난 전통 혼속의 특징과 부부 간 의사소통의 의미 = Characteristics of a traditional marital custom and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n Sangjangga-type of Gasa 정인숙 p. 263-295

보기
尹濟 父子의 家學 전수와 시조 향유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er of academic tradition of Yoon Je(윤제) family and the aspects of enjoyment of Sijo 송재연 p. 297-327

보기
<황강구곡가>의 구성적 특징과 작가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Hwangganggugokga 윤병용 p. 329-364

보기
『악부 나손본(건)』의 가집사적 위상 : The status of Akbu(Nason Version) in the history of Gajips : based on the works containing Gakjoeum / 각조음 항목 수록 작품을 바탕으로 배대웅 p. 365-392

보기

참고문헌 (6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운기, 「鄕歌의 근대1-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의 향가 해석이 이루어지기까지」, 『한국시가연구』25, 한국시가학회. 2008, 5~36면. 미소장
2 고운기, 「향가의 근대2-小倉進平가 『鄕歌及び吏讀の硏究』에 붙인 自筆메모」, 『한국시가연구』37권, 한국시가학회, 2014, 173~211면. 미소장
3 고정옥, 『朝鮮民謠硏究-原始藝術로서의 民謠一般과 庶民文學으로서의 朝鮮民謠』, 首善社, 1949. 미소장
4 고정옥. 김용찬 교주, 『고장시조선주(古長時調選註)』, 보고사, 2005. 미소장
5 具滋均, 『朝鮮平民文學史』, 民學社, 1974. 미소장
6 金大幸, 『韓國詩의 傳統硏究』, 開門社, 1980. 미소장
7 김대행, 『韓國詩歌構造硏究』, 三英社, 1982. 미소장
8 김대행, 『詩歌詩學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미소장
9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미소장
10 김영희, 「고정옥의 <조선민요연구>: 탈식민적 전환의 모색과 잉여경성제국대학학부 졸업논문(1938년)과 수선사 발간본(1949년)의 비교」, 『온지논총』49, 온지학회, 2016, 29~80면. 미소장
11 김완진,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2. 미소장
12 김태준, 김명준 교주, 『교주 조선가요집성』, 도서출판 다운샘, 2007. 미소장
13 김학성, 『한국 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출판부, 1980. 미소장
14 김학성, 『國文學의 探究』,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 미소장
15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87. 미소장
16 김학성, 『한국시가의 담론과 미학』, 서울: 보고사, 2004. 미소장
17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전통과 계승』, 성균관대출판부, 2009. 미소장
18 김학성, 『현대시조의 이론과 비평』, 보고사, 2015. 미소장
19 김학성, 『가사의 쟁점과 미학』, 월인, 2019. 미소장
20 김헌선, 「고정옥의 구비문학 연구」, 『구비문학연구』2, 한국구비문학회, 1995년 6월, 323~343면. 미소장
21 김흥규, 『朝鮮後期의 詩經論과 詩意識』, 서울: 高大民族文化硏究所出版部, 1982. 미소장
22 金興圭, 『욕망과 형식의 詩學: 韓國古典詩歌論』, 태학사, 1999. 미소장
23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미소장
24 김흥규·이형대·이상원·김용찬·권순회·신경숙·박규홍, 『고시조대전』,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12. 미소장
25 김흥규,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소명, 2016. 미소장
26 박노준, 『新羅歌謠의 硏究』, 悅話堂, 1982. 미소장
27 박노준,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社, 1995. 미소장
28 박노준, 『조선후기시가의 현실인식』,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1998. 미소장
29 박노준,『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미소장
30 박노준, 『향가여요 종횡론』, 보고사, 2014. 미소장
31 朴乙洙編, 『韓國時調大事典』, 亞細亞文化社, 1992. 미소장
32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社, 1986. 미소장
33 신동흔, 「국문학자 열전2-고정옥의 삶과 학문세계」(상), 『민족문학사연구』 7권, 민족문학사학회, 1995년 6월, 270~316면. 미소장
34 沈載完編, 『校本歷代時調全書』, 世宗文化社, 1972. 미소장
35 양주동, 『朝鮮古歌硏究』, 博文書館, 1942. 미소장
36 윤재민, 「중인문학 (中人文學) 의 개념과 성격」, 『韓國漢文學硏究』17, 한국한문학회, 1994, 391~405면. 미소장
37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미소장
38 이도흠, 「사설시조 담론 주도층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예술적 지향성 - 유가적 미학·놀이의 興·통속성·탈중세성」, 『한국시가연구』 36호, 한국시가학회, 2014, 80~117면. 미소장
39 이도흠, 「동아시아 문학,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법론」, 『비교문학』77, 한국비교문학회, 2019, 85~117면. 미소장
40 이도흠, 『18-19세기 한국문학-차이의 근대성』, 소명출판, 2022. 미소장
41 이민홍, 『朝鮮中期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93. 미소장
42 이민홍, 『韓國民族樂舞와 禮樂思想』, 集文堂, 1997. 미소장
43 이민홍, 『한국 민족예악과 시가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1. 미소장
44 임경화,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향가 해독: 차용체(借用體)에서 국문으로」, 『국어학』51, 국어학회, 2008년, 365~384면. 미소장
45 임기중, 『新羅歌謠와 記述物의 硏究: 呪力觀念을 中心으로』, 二友出版社, 1981. 미소장
46 임기중, 『歷代歌辭文學全集』1~30권, 東西文化院, 1992~1999. 미소장
47 임기중, 『한국가사문학 주해연구』 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미소장
48 鄭炳昱編, 『時調文學事典』, 新丘文化社, 1971. 미소장
49 鄭炳昱, 「李朝後期詩歌의 變異過程考」, 『창작과 비평』31, 1974년 봄호, 138~163면. 미소장
50 정병욱,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3. 미소장
51 정옥자, 「19세기 초 中人文學의 새로운 結集形態: 溪社遺唾」, 『泰東古典硏究』10, 翰林大學校泰東古典硏究所, 1993, 437~457면. 미소장
52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1982. 미소장
5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4. 미소장
5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이론』, 집문당, 1992. 미소장
55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미소장
56 최동원, 『고시조론』, 삼영사, 1986. 미소장
57 최철, 『新羅歌謠硏究: 그 作者와 背景說話를 中心으로』, 開文社, 1979. 미소장
58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0. 미소장
59 홍기문, 김지용 해제,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1990. 미소장
60 黃浿江, 『鄕歌麗謠硏究』, 二友出版社, 1985. 미소장
61 黃浿江, 尹元植, 『韓國古代歌謠』, 새문社, 1986. 미소장
62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미소장
63 밀그램, 스탠리, 정태연 옮김, 『권위에 대한 복종』, 서울: 에코리브르, 2009. 미소장
64 아렌트, 한나, 김선욱 옮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서울: 한길사, 2006. 미소장
65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京城: 京城帝国大学, 1931. 미소장
66 옹, 월터 J, 이기우·임명진 옮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00. 미소장
67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ne,com/word/literature#etymonline_v_12314(2022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
68 Moore, J, W, Anthropocene or Capitalocene? Nature, History, and the Crisis of Capitalism, Oakland: PM Press, 2016. 미소장